110 likes | 400 Views
다국어 지원 응용프로그램. Microsoft Korea. 다국어 지원 개발 유형. #1 응용프로그램 독립 방법. 언어와 바이너리 일체. 개요 각 언어별로 실행파일 ( 바이너리 ) 을 독립하여 작성한다 . 장점 구현하기 쉽다 단점 각 언어별로 분리된 소스를 별도로 관리 하여야 한다 . 언어의 일부분이 변경되어도 모든 소스를 컴파일 해야 한다 . 언어를 Switch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응용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E N D
다국어 지원 응용프로그램 Microsoft Korea
#1 응용프로그램 독립 방법 언어와 바이너리 일체 • 개요 • 각 언어별로 실행파일(바이너리)을 독립하여 작성한다. • 장점 • 구현하기 쉽다 • 단점 • 각 언어별로 분리된 소스를 별도로 관리 하여야 한다. • 언어의 일부분이 변경되어도 모든 소스를 컴파일 해야 한다. • 언어를 Switch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응용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비즈니스 로직이 중첩되어 관리하기 쉽지 않으며 로직 변경 시 언어별로 모든 프로그램을 수정해야 한다.
#2 단일 리소스 분리형 바이너리와 리소스 분리 • 개요 • 실행 파일(바이너리)과 언어정보를 담고 있는 하나의 리소스를 분리하여 작성한다. • 장점 • 복수 리소스 분리형보다는 다소 구현하기 쉽다. • 사용자 화면 언어를 Switch하기 쉽다. • 컴파일 없이 언어정보(리소스)만을 별도 수정 가능하다. • 단점 • 새로운 언어를 추가하기 어렵다. • 언어별로 화면의 구성이 자연스러운지 테스트가 필요하다. • 불필요한 언어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메모리와 디스크공간을 낭비한다. • 언어를 로딩하기 위해 다소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LoadMenu, LoadString, etc.)
#3 복수 리소스 분리형 단일 바이너리와 복수개의 리소스 분리 • 개요 • 실행 파일(바이너리)과 언어정보를 담고 있는 리소스를 분리하되 각 언어별로 별도의 리소스를 작성한다. • 장점 • 컴파일 없이 언어정보(리소스)만을 별도 수정 가능하다 • 원하는 언어(리소스)만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언어선택방법이 쉽다. • 새로운 언어를 추가하기 쉽다. • 다른 언어에 영향을 주지 않고 특정언어만을 수정 할 수 있다. • 단점 • 언어별로 화면의 구성이 자연스러운지 테스트가 필요하다. • 테스트가 가장 복잡 • 모든 언어가 서로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응용 프로그램 유지보수 영향 요소 • 비즈니스 로직 변경 • 단일 리소스 분리형, 복수 리소스 분리형은 바이너리 코드만 변경하면 된다. • 응용프로그램 독립방법은 각 프로그램 모두를 수정해야 한다. 공통 비즈니스 로직을 Component를 이용하여 분리 하는 것으로 중복 수정을 피할 수 있다. • 사용자 화면 (UI)변경 • 단일 리소스 분리형, 복수 리소스 분리형은 화면이 모든 언어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고려해야 한다.예를 들어 각 언어의 길이(“Import”, “가져오기”)에 따른 버튼의 크기 등을 고려해야 한다. • 응용프로그램 독립방법은 각 프로그램 모두를 수정해야 한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각 언어에 맞게만 화면을 구성하면 된다.
종합 고려 사항 • 다국어를 지원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있으며 각 방법마다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메모리와 실행파일 사이즈에 대한 문제는 어떠한 방법을 선택하느냐에 그리 많은 영향을 주진 못한다. • 가장 고려사항은 어떠한 방법이 배포와 관리 유지에 도움이 주는지가 가장 핵심일 것이다. • IT인력이 많지 않을 경우 응용프로그램 독립방법이 가장 사용자에게 Simple하게 다가온다. • 여러 언어를 단일 PC에서 Switch해야 할 경우가 많은 상황에서는 단일 리소스 분리형 방법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 복수 리소스 분리형은 가장 진보된 형태로 볼 수 있으나 초기 개발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며 변경 시 테스트가 가장 어렵다.
참고 http://www.microsoft.com/globaldev/handson/dev/muiapp.ms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