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59

국가 전염병 관리 및 감시 체계

국가 전염병 관리 및 감시 체계. 국립보건원 전염병정보관리과장 정은경. 주요내용. 최근 전염병 발생현황 전염병 감시 중요성 국가전염병 관리체계 전염병 감시체계 국가전염병 관리체계 발전방향. 전염병을 둘러싼 환경변화. 도시화 , 인구증가 , 기근  인구이동 , 전쟁 전염병 확산 및 유행 발생 , 주요 사망원인 : 두창 , 발진티푸스 , 페스트 , 홍역 , 장티푸스 , 이질. 항생제 개발 백신 개발 전반적인 위생상태 개선. 전염병 치료 가능 백신으로 예방

casper
Download Presentation

국가 전염병 관리 및 감시 체계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국가 전염병 관리 및 감시 체계 국립보건원 전염병정보관리과장 정은경

  2. 주요내용 • 최근 전염병 발생현황 • 전염병 감시 중요성 • 국가전염병 관리체계 • 전염병 감시체계 • 국가전염병 관리체계 발전방향

  3. 전염병을 둘러싼 환경변화 • 도시화, 인구증가, 기근  인구이동, 전쟁 • 전염병 확산 및 유행 발생, 주요 사망원인 : 두창,발진티푸스,페스트,홍역,장티푸스,이질 • 항생제 개발 • 백신 개발 • 전반적인 위생상태 개선 • 전염병 치료 가능 • 백신으로 예방 • 두창, 폴리오, 홍역 퇴치 선언

  4. 전염병을 둘러싼 환경변화 • We change the way we live - 여행, 여가활용 증대 - 성생활 변화 • Microbes evolve - 항생제 내성 증가 - 항원성 변이 • New threats emerge - 생물테러 - Biotechnology발전

  5. 전염병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United States: E. coli O157 Food recall / destruction Periodic Malaysia: Nipah virus Pig destruction – US$540 million 1999 United Kingdom: BSE US$ 9 billion 1990–1998 United States: Anthrax US$ ? million 2001 India: Plague US$ 2 billion 1994 UR Tanzania: Cholera US$ 36 million 1998 Peru: Cholera US$ 770 million 1991 Hong Kong SAR: influenza A (H5N1) Poultry destruction US$22 million 1997 & 2001

  6. 우리나라 신종 및 재출현 전염병 • Hantaan virus (HFRS) (1976), Seoul virus (1983) • Leptospirosis (1984): “pulmonary hemorrhage syndrome” (1975) • Scrub typhus (1986) • Vibrio vulnificus (1980s) • Legionellosis : Pontiac fever (1984); Legionnare’s disease • Resurgence of Malaria (1993) • HIV infection (1985) and AIDS

  7. 우리나라 신종 및 재출현 전염병 • Nosocomial infections - Antibiotic-resistant pathogens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1980s)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1992) vancomycin-resistant S. aureus (1999) penicillin-resistant S. pneumoniae (1990s) multidrug-resistant M. tuberculosis - Infections in immunocompromised hosts • E. coli O157:H7 (1999) • Reemergence of human rabies (1999)

  8. <전염병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 전염병 감시 및 대처능력 향상 • 항생제 개발 • 백신 개발 • 전반적인 위생상태 개선 • 전염병 치료 가능 • 백신으로 예방 • 두창, 폴리오, 홍역 퇴치 선언 • 항생제 내성증가 • 신종 병원체 분리 동정 • 만성질환 발병에 기여 • 생물테러 위협증가 신종 및 재출현 전염병이 주요 보건문제로 재등장

  9. 국가 전염병 관리체계

  10. 21세기 대비 전염병 관리 추진 전략

  11. 1. 전염병 관리 조직 강화 • 국립보건원 전염병관리부 신설 • 방역과 • 역학조사과 • 전염병정보관리과 • 질병관리본부 확대 개편 계획

  12. 2. 전염병예방법 개정 • 법정전염병 종류 및 분류기준 개선 • 환자권리보호, 국가, 지방자치단체,의료기관의 책무 강조 • 전염병 감시 및 역학조사 강화 • 신고보고 주기 단축, 전산보고 도입 • 표본감시체계 도입 • 전염병 역학조사, 역학조사관 근거조항 • 예방접종 관련 조항 •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정기예방접종대상 추가 • 취학시 예방접종력 확인

  13. 3.전염병 감시 정보망 구축 • 전산 신고보고 프로그램 도입 • 신속한 정보분석 및 환류 • 주보, 월보, 연보 등 • 전염병 포탈사이트 구축 • 전염병 관련 지침, 정보 제공 • 예방접종전산등록사업 추진

  14. 4. 전염병 관리 전문인력개발 • FETP(Field Epidemiology Training Program) • 공중보건의사 선발 • 2년간 역학조사관 배치 • FMTP(Field Management Training Program) • 보건소 관리자, 실무자 • 1-2년간 연수

  15. 5.연구 및 개발 지원 • 예방접종에 관한 정책연구 • 예방접종사업 개선 • 신종 및 재출현 전염병 관리 • 생물테러 전염병 관리 • 전염병 감시 강화 • 사스 대비 방안 개발 • 전염병 기초연구 : 진단방법, 백신개발 등

  16. 전염병 관리 세부내용

  17. 1. 전염병 실험실 감시 사업 및 예보제 • 일본뇌염 유행예측 사업 • 인플루엔자 표본감시 • 비브리오 패혈증 실험실 표본감시 사업 • 콜레라 해수 검사 사업 • 장내바이러스(무균성뇌수막염) 유행예측사업 • 장출혈성대중균감염증 실험실 감시 사업 • MMR 유행예측사업 • 탄저균 유행예측사업 • 말라리아 유행예측사업

  18. 2.예방접종사업 • 정기예방접종 ① 디프테리아 ② 백일해 ③ 파상풍 ④ 홍역 ⑤ 유행성이하선염 ⑥ 풍진 ⑦ 폴리오 ⑧ 결핵 ⑨ B형간염 • 임시예방접종 ① 일본뇌염, ② 장티푸스, ③ 신증후군출혈열 ④ 인플루엔자

  19. 3. 소독 • 취약지역 파악 및 소독 약제 선정 • 소독활동 : 4∼6월 2주당 1회, 7∼9월 주당 1회 • 모기성충구제(작은 빨간집모기, 중국얼룩날개모기) • 재해시 : 우물, 간이상수도 급수원 소독.(0.4ppm) • 식기, 행주, 도마 소독을 위한 차아염소산나트륨제제 제공 • 화장실, 하수구, 쓰레기장, 축사 등 취약지역 소독 • 소독 장비 및 약품관리 • 재해대비 전염병예방약품 비축관리 • 소독업소 및 소독의무대상시설 지도·감독

  20. 4.보균자 찾기 사업 5. 검역 6. 전염병 환자 신고시 조치 • 사례조사 • 겸체채취 및 확진 • 환자 및 접촉자 관리 : 격리, 업무종사 제한 등 7. 집단발생시 조치 • 역학조사 및 방역조치 8.해외유입 전염병 관리

  21. 전염병 감시체계

  22. 전염병 감시체계 최근 변화 • 전염병예방법 개정(2000.1) • 법정전염병 분류기준 및 종류 변경 • 전염병 신고, 보고주기 단축 • 표본감시체계 도입 • 전염병 신고, 보고 양식 변경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고시 제정 • 전염병 전산화 추진 • 전자문서(EDI) 보고시스템 도입(2000.8) • 응용프로그램 개발 : 정보관리 및 통계프로그램 • 전염병정보관리과 신설(2001.3)

  23. 전염병 감시체계 개요 법정 전염병 신고 보고 체계 표본감시 병원체 감시 매개체 감시 혈청역학적 감시 증후군 감시, 소아전염병표본감시, 학교감시

  24. 법정전염병 신고보고체계

  25. 법정전염병 분류기준 및 종류 • 제1군(6종) • 전파속도가 빠르고 건강에 미치는 위해정도가 커서 발생 또는 유행 즉시 방역대책을 수립하여야 하는 전염병 • 즉시 신고, 즉시 보고 • 격리수용 대상 전염병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 이질,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페스트

  26. 법정전염병 분류기준 및 종류 • 제2군(9종) • 예방접종을 통하여 예방 또는 관리가 가능하여 국가예방접종사업의 대상이 되는 전염병 • 즉시 신고, 매주 보고(유행의심시 즉시보고) • 정기예방접종대상 전염병 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 폴리오,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B형간염, 일본뇌염

  27. 법정전염병 분류기준 및 종류 • 제3군(18종) • 간헐적으로 유행할 가능성이 있어 지속적으로 발생을 감시하고 예방대책의 수립이 필요한 전염병 • 7일이내 신고, 매주 보고(탄저: 즉시신고,보고) 말라리아, 결핵, 한센병, 성홍열, 수막구균성수막염, 발진티푸스, 발진열,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탄저, 공수병, 신증후군출혈열, AIDS, 성병, 인플루엔자, 레지오넬라증, 비브리오패혈증, 브루셀라증

  28. 법정전염병 분류기준 및 종류 • 제4군(15종) • 국내에서 새로 발생한 신종전염병증후군, 재출현전염병 또는 국내유입이 우려되는 해외유행전염병 • 즉시 신고, 즉시 보고 황열, 뎅기열, 마버그열, 에볼라열, 라싸열, 리슈마니아증, 바베시아증, 아프리카수면병, 크립토스포리디움증, 주혈흡충증, 요우스, 핀타, 두창, 보툴리누스 중독증, 신종전염병증후군(사스)

  29. 법정전염병 분류기준 및 종류 • 지정(9종) • 유행여부조사를 위하여 감시활동이 필요하다고 인정되어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하는 전염병 • 7일이내 신고, 매주 보고 A형간염, C형간염, VRSA감염증, 샤가스병, 광동주혈선충증, 유극악구층증, 사상충증, 포충증, 크로이츠펠트 야콥병

  30. 전염병 환자분류 • 환자(확진) : 전염병의 병원체가 인체내에 침입하여 증상을 나타내는 자로서 제4조 제2항의 진단기준에 의한 의사의 진단 또는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기관의 실험실 검사를 통하여 확인된 자 • 의사환자:전염병병원체가 인체내에 침입한 것으로 의심이 되나 제4조 제2항의 진단기준에 의한 의사의 진단 또는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기관의 실험실검사를 통하여 확인되기 전단계의 자 • 병원체보유자: 임상적인 증상은 없으나 전염병병원체를 보유하고 있는 자

  31. 법정전염병 신고범위 • B형간염 신고범위 - 급성B형간염환자 - 주산기 B형간염바이러스 감염자 - HBsAg양성 산모 • 매독 신고범위 - 1기, 2기 매독, 선천성 매독

  32. 전염병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전염병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표준화 • 보건복지부 고시 2000-59 • 의료기관에 진단기준 책자 배부

  33.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예시-장티푸스) • 신고범위 : 환자, 의사환자, 병원체 보유자 • 신고시기 : 즉시 신고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장티푸스에 합당한 임상적 특징을 나타내면서, 다음 검사방법 등에 의해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자 • 검체(혈액, 소변, 대변 등)에서 균 분리동정 • 의사환자 : 임상적 특징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장티푸스임이 의심되나 검사방법에 의해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되지 아니한 자 • 병원체 보유자: 임상증상은 없으나 해당 병원체가 분리동정된 자

  34. 전염병환자 신고서식

  35. 미신고시 행정처분 • 전염병예방법 제4조 또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신고를 게을리하거나 허위신고를 한 의사 또는 한의사에게 동법 제56조에 따라 2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

  36. 전염병 신고 및 보고체계 의사, 한의사 신고 (서면/Fax) 자료 환류 시군구 보건소(243개) 검사의뢰 결과환류 자료환류 보고(EDI) 보건환경연구원 시도 보건과(16개) 보고(EDI) 자료환류 검사의뢰 결과환류 CDWR CDMR 국립보건원

  37. 전염병 정보 흐름

  38. 전염병 EDI 보고프로그램

  39. 전염병 정보관리프로그램

  40. 전염병 통계분석프로그램 • 주간단위로 DB 갱신 • 자료분석 • 시간 • 발병일, 신고일 기준 분석가능 • 일별, 주별, 월별, 전년대비, 연도별 • 지역 • 전국, 시도, 시군구, 읍면동 단위 분석 • 주민등록상 주소 기준으로 분석 • 인적특성 • 성별, 연령별, 직업별 • 기타 • 환자분류, 확진검사 결과, 역학적 연관성

  41. 전염병 통계분석프로그램

  42. 전염병 정보 환류 • 감염병발생주보(CDWR) • 매주 금요일 • 인터넷, 메일로 제공 • 감염병발생정보(CDMR) • 매월 발행 • 인쇄물, 인터넷, 메일로 제공 • 전염병통계연보(Annual Report)

  43. 전염병 감시 정보망 포탈사이트http://dis.mohw.go.kr

  44. 전염병 인터넷 통계

  45. 감염병발생주보(CDWR)

  46. 감염병발생정보(CDMR)

  47. 전염병환자 신고시 조치

  48. 표본감시

  49. 표본감시(Sentinel surveillance) • 전염병의 전수(全數)보고가 어렵거나, 전염병 관리를 위해 조기발견이 매우 중요한 질환에 대해서 • 일부 표본감시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전염병 발생 상황을 지속적으로 감시·분석하여, 보건증진과 전염병 예방 활동을 지원하는 전염병 감시 방법임 • Sentinel physician/hospital surveillance • Sentinel event surveillance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