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0 likes | 1.22k Views
4 장의 주요 문제. 01 왜 기업인가. 거래비용학파 ( 신제도학파 ) 의 설명 거래 마다 적절한 상대방을 탐색하여 거래조건을 협상하는 시장거래보다는 거래상대방들이 기업이라는 하나의 조직을 구성하여 경제활동을 내부화하는 것이 거래비용을 줄이는 데 보다 효과적임. 02 생산기술과 생산함수. 기본 개념. 생산요소 : 생산을 위해 투입되는 모든 것 토지 : 자연에 의하여 부여된 생산요소 노동 : 사람이 제공하는 생산요소
E N D
01 왜 기업인가 • 거래비용학파(신제도학파)의 설명 • 거래마다 적절한 상대방을탐색하여 거래조건을 • 협상하는 시장거래보다는 거래상대방들이 기업이라는 • 하나의 조직을 구성하여 경제활동을 내부화하는 것이 • 거래비용을 줄이는 데 보다효과적임
02 생산기술과 생산함수 기본 개념 • 생산요소: 생산을 위해 투입되는 모든 것 • 토지: 자연에 의하여 부여된 생산요소 • 노동: 사람이 제공하는 생산요소 • 자본: 사람이 만들어낸 생산요소 • 생산함수: 생산요소의 투입과 생산물의 산출 간의 관계를함수형태로 표시한 것 • 노동 L과 자본 K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최대 생산량 (4.1)
02 생산기술과 생산함수 기본 개념 • 단기와 장기 • 노동(L): 수시로 그 양을 변경할 수 있음 • 자본(K): 단시일 내에 그 규모를 조정하기 어려움 • → 요소 투입량의 변경 가능성에 따라 장∙단기 구분 • 단기: 자본 투입량 고정, 노동 고용량만 조정 가능 • 장기: 두 생산요소의 투입량을 모두 조정 가능
02 생산기술과 생산함수 1. 단기생산함수 • 단기에서는 공장의 시설규모를 변화시키기 어려움 : • 단기생산함수에서는 자본량(K)이 고정 • 생산량의 변화는 노동 고용량(L)의 변화에 의해 결정 (5.2)
02 생산기술과 생산함수 1. 단기생산함수 • 한계생산체감의 법칙 • 어떤 요소의 투입량은 고정시키고 다른 가변요소의 • 투입량을 증가시킬 때, 총생산은 증가하되 한계생산은체감한다는 법칙
02 생산기술과 생산함수 총생산량(Total Product) 생산요소의 투입량 노동의 한계생산(Marginal Product) 노동의 평균생산(Average Product)
02 생산기술과 생산함수 1. 단기생산함수 총생산곡선, 평균생산곡선, 한계생산곡선 그림 4-1 • 원점에서 B까지 • -TP의 기울기 증가 • - B’까지 한계생산 증가 • B에서부터 D까지 • - TP의 기울기 감소 • - B’ 이후 한계생산 감소 :접선의 기울기 증가구간 감소구간
02 생산기술과 생산함수 :O와 C를 연결한선분의 기울기 1. 단기생산함수 총생산곡선, 평균생산곡선, 한계생산곡선 그림 4-1 • 노동의 평균생산 • -총생산량/ 노동투입량 • - 원점에서 TP의 한 점을연결한 선분의 기울기 • - 평균생산은 총생산곡선이C에 이를 때까지 증가하고이후 감소 접선의 기울기=OC의 기울기 AP 극대, AP=MP
02 생산기술과 생산함수 1. 단기생산함수 총생산곡선, 평균생산곡선, 한계생산곡선 그림 4-1 • 생산의 제1단계(원점-L3) • - TP, MP, AP 모두 증가 • 생산의 제2단계(L3-L4) • - TP 증가, MP, AP 감소 • - MP<AP • 생산의 제3단계(L4이후) • - MP<0, TP 감소
02 생산기술과 생산함수 MP<0, TP ↓ TP ↑, MP, AP ↓ TP, MP, AP ↑
02 생산기술과 생산함수 1. 단기생산함수 총생산곡선, 평균생산곡선, 한계생산곡선 그림 4-1 • AP와 MP의 관계 • - AP가 증가하는 경우 → MP>AP (①) • - AP가 일정하거나극대 또는 극소인 경우 → MP=AP (②) • - AP가 감소하는 경우 → MP<AP (③) ① ② ③
02 생산기술과 생산함수 2. 장기생산함수 • 단기에서는 자본 투입량이 고정 • 장기에서는 시설의 대체, 폐쇄, 신설, 확충으로공장의 시설규모도 변화할 수 있음장기에는 모든 생산요소의 투입량변화 가능 (4.1)
02 생산기술과 생산함수 2. 장기생산함수 • 등량선 • -동일한 양의 생산을가능하게 하는 두 생산요소의 결합 • - 원점에서 멀어질수록더 많은 생산량 표시 • - 주어진 기술수준에서 • 생산 가능한 최대한의 • 생산수준 등량선 그림 4-2 생산량 증가
02 생산기술과 생산함수 2. 장기생산함수 등량선 그림 4-2 • 등량선의 특징 1 • -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 (∵ 등량선이교차하면동일요소의 투입으로서로 다른 수준의 • 생산 가능)
02 생산기술과 생산비용 2. 장기생산함수 등량선 그림 4-2 • 등량선의 특징 2 • - 우하향한다: • 생산요소(자본과 노동)의대체가능성 노동투입량을 늘이고자본투입량을 줄여서같은 생산수준 도달 가능
02 생산기술과 생산함수 2. 장기생산함수 등량선 그림 4-2 • 등량선의 특징 3 • - 원점에 대해 볼록하다 : • 생산요소간 대체율 체감 • 한계기술대체율체감의 • 법칙
02 생산기술과 생산함수 2. 장기생산함수 등량선 그림 4-2 • 한계기술대체율 • - 생산량을 일정하게유지하면서 노동증가, 자본 감소 • - 노동과 자본의 증감에따른 생산량 변화가동일해야 함 등량선위의 한 점에서접선의 기울기 = 한계기술대체율
02 생산기술과 생산함수 2. 장기생산함수 등량선 그림 4-2 • 한계기술대체율체감 • - 생산요소 간의 대체가가능할 때 한 요소의투입이 감소할수록상대적 중요성이 증가함 노동의 증가에 따라 접선의 기울기 감소 한계기술대체율 체감
02 생산기술과 생산함수 2. 장기생산함수 • 규모에 대한 수익 • 모든 생산요소가 동시에 변화할 때 생산량의 변화 • 규모수익체증(increasing returns to scale: IRS) :자본과 노동의 투입규모를 1단위 증가시켰을 때생산수준은 1단위보다 더 크게 증가하는 경우 • 규모수익체감(decreasing returns to scale: DRS) :생산수준이 1단위보다 적게 증가하는 경우 • 규모수익불변(constant returns to scale: CRS) :정확히 1단위의 산출이 증가하는 경우
02 생산기술과 생산함수 2. 장기생산함수
02 생산기술과 생산함수 3. 기술진보 • 장기적으로 생산수준은 과학의 발달, 새로운 자원의 개발및 사회환경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변화 • → 기술의 변화는 투입요소와 생산량의 관계를 변화 • 기술진보 • 주어진 생산요소로 더 많은 생산을 할 수 있도록 • 생산요소를기존과 다른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 • 자연과학적 생산기술의 진보외에도 슘페터가 지적한혁신(innovation)의 개념처럼 기업의 이윤극대화에부합하는 일체의 활동을 포함
02 생산기술과 생산함수 3. 기술진보
02 생산기술과 생산함수 3. 기술진보 • 기술진보의 원인 • 1. 기업의 이윤추구 과정에서 발생 • - 연구 및 개발에 많은 지출을 하며 새로운 기술 개발 • - 슘페터: 혁신 = ‘창조적 파괴의 끊임없는 강풍’ • 2. 역사적 필요성의 결과 • - 과학과 기술은 자체의 역동성에 의해서 진보 • - 지식의 갈구와 창조력에 따라 자동적으로 이루어짐
03 생산비용 최소화 1. 생산비용과 기회비용 • 생산비용: 생산요소의 기회비용(cf. 회계적 비용과 차이) • 기회비용과 회계적 비용이 다른 경우 • 생산요소가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을 때 • 구입과 사용 시기가 일치하지 않을 때 • 시장실패가 발생할 때
03 생산비용 최소화 1. 생산비용과 기회비용 • 사례 1 • 어떤 예술가가 1억을 이자율 10%에 빌려 커피사업 시작 • 커피전문점에는 2명의 노동 필요 • 종업원 월급 300만원, 예술가 수입 연 5,000만원 • 어떤 계획을 따르든지 간에 공장운영의 수입에는 차이 없음 • [1안] 필요 인력 모두 고용 • [2안] 한 사람만 고용, 자신이 예술활동 포기하고 직접 일함
03 생산비용 최소화 1. 생산비용과 기회비용 • 사례 1 • ⇒ 기회비용을 고려한다면 [1안]이 더 경제적으로 합리적
03생산비용 최소화 1. 생산비용과 기회비용 • 사례 2 • 기업주가 기계를 1,000만원에 구입; 수명은 10년 • 회계적 비용: 감가상각비 100만원 포함 • **감가상각: 자연적 노후화, 사용으로 인한 소모, • 새로운 기계 발명에 의한 기술적 노후화로 • 감소되는 가치 • 경제적 비용: 기회비용(기계를 다른 용도에 쓸 때 수입)이 • 중요
03 생산비용 최소화 1. 생산비용과 기회비용 • 사례 2 • 기계 구입 후 용도가 같은 값싼 기계 발명 • 50만원에 임대가능, 한번 설치 후 전매/전용 불가능 • ⇒그대로 사용 시 기회비용 = 0 • 새로운 기계 임대 시 기회비용= 50만원 • 2. 50만원에 임대가능, 전용/전매 가능(70만원에 대여 가능) • ⇒그대로 사용 시 기회비용=70만원 • 새로운 기계 임대 시 기회비용 = 50만원
03 생산비용 최소화 1. 생산비용과 기회비용 • 매몰비용 • 생산요소를 재판매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을 때 • 그 생산요소 취득에 사용된 (회수 불가능한)역사적 비용 • “사례 1”의 경우기회비용은 100만원이 아닌 0원 • 지나간 일이 현재의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없음 결론적으로기회비용이 의사결정의 기준이 되며 경제학자는 기회비용으로써의 생산비를 고려해야 함
03 생산비용 최소화 생활과 경제학 : 매몰비용과 콩코드 여객기 • 1947년 최초의 초음속 전투기 • 개발 후주요 선진국이 여객기에 • 기술을 적용 • 문제점: 막대한 연료, 승객 수 • 100명 제한, 소음 등 • 초음속 여객기 개발 및 운용이 경제적 타산이 맞지 않을 • 가능성이 높아, 미국은 일찍 포기했으나 프랑스와 독일은 • 운항을 시작하였고, 결국 수요 부족 및 기계 결함으로 중단 • ⇒ 의사결정에매몰비용을 고려한 불합리한 결정
03 생산비용 최소화 2. 비용함수 • 비용함수 : • 기업의 생산량 변화에 따른 생산비를 나타내는 함수 • 노동(L)과 자본(K)를 투입하여 생산하는 경우, 각 요소의가격이 w와 r일 때,X1을 생산하기 위한 최소비용 요소결합이 L*와 K*라면 비용함수는 wL*+rK*로 주어짐 • 생산요소 투입이 가변적인지 고정되어 있는지에 따라최소비용 요소결합에 차이가 발생
03 생산비용 최소화 2. 비용함수 • 단기: 자본(생산기계)의 투입량이 일정하게 고정 → 특정 산출량을 달성할 수 있는 노동(기술자)투입량이 • 유일하게 결정 • 장기: 생산요소가 모두 가변적→ 등비용선의 개념 활용 • - “등량선 : 무차별곡선 = 등비용선 : 가격선” • - 등비용선: 일정한 비용으로 구입할 수 있는 노동(기술자) • 과 자본(생산기계)의 결합을 나타내는 직선 (4.3)
03 생산비용 최소화 2. 비용함수 등비용선 (단위 만원) 그림 4-5 등비용선의 기울기의 절대값= 요소가격의 비율(w/r)=1/2 등비용선의 기울기의 절대값= 요소가격의 비율(w/r) = 1
03 생산비용 최소화 3. 확장경로 비용최소화와 최적점의 이동 그림 4-6(a) • 점 B • - 등비용선과 등량선이접하는 점 • - X1에 대한 최소비용 생산 • - 주어진 총생산비에 대한최대생산량 • → 비용최소화의 최적점,경제적 효율성이 가장 높은 점
03 생산비용 최소화 3. 확장경로 비용최소화와 최적점의 이동 그림 4-6(a) • 점 B • - 노동의 한계생산과자본의 한계생산 간 비율이일치 • 한계기술대체율 • = 등비용선의 기울기 등비용선의 기울기의 절대값= 요소가격의 비율(w/r) = 등량선의 기울기 (4.4)
03 생산비용 최소화 3. 확장경로 노동가격의 상승과 생산자 균형의 이동 그림 4-6(b) • 노동가격(임금)의 상승 • (w↑) • - 등비용선의 기울기가 커짐 • - 균형점 B→C로 이동 • - 자본가격의 상대적 하락 • → B보다 자본집약적인 • C에서 최소비용
03 생산비용 최소화 3. 확장경로 확장경로 그림 4-7 • 확장경로 • - 요소가격이 불변일 때각 산출량을 최소비용에생산할 수 있는 요소결합 • - 정상투입요소와 열등투입요소에 따라 차이 최적 생산점들을 이은 선
03 생산비용 최소화 3. 확장경로 확장경로 그림 4-7 • 정상투입요소와 확장경로 • - 정상투입요소: 산출량이증가할 때 투입량이 감소하지 않는 요소 • - 생산량이 증가할 때최적생산량 A→C로 이동 • - 요소집약도(K/L)는 감소 • 각각의절대적 투입량 증가
03 생산비용 최소화 4. 비용함수와 생산함수 • 완전경쟁적 요소시장 → 비용함수는 생산함수의 특징 반영 • 단기 생산함수: 생산량과 가변요소 간 대응관계 • 단기비용함수= 고정요소비용 + (가변요소 x 요소가격) • 장기 생산함수 : 등량선에반영 • 장기비용함수는 등량선과 등비용선의 접점에서결정된 최소비용 요소결합에 각 요소가격을 곱한 것
04 단기생산비용 • 고정비용: 고정요소 투입에 따른 비용 • 기업의 생산활동을 계속 유지시키기 위한 최소 이윤인정상이윤도 고정비용에 포함 • 가변비용: 가변요소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 • 가변요소 : 조업률에 따라 변화하는 생산요소 • 생산이 0일 때, 가변비용=0생산이 증가하면, 가변비용 증가 • 단기총비용(TC)= 총고정비용(TFC)+ 총가변비용(TVC)
04 단기생산비용 1. 총비용 단기비용곡선 – 고정비용과 등량선 그림 4-8(a) • 단기 • - 자본 투입 고정 • → 고정비용= • - 노동은 산출량 증가에따라 L1→L2→L3로 증가 • → 가변비용은 각 산출량수준에서 자본이 고정된 상태에서 산출량 증가는 노동 투입량을 늘리고 이는 가변비용의 증가 유발
04 단기생산비용 1. 총비용 총고정비용, 총가변비용, 총비용 그림 4-8(b) • 단기 • - 총고정비용곡선(TFC) : • 에서수평선 • - 총가변비용곡선(TVC) : • 체감적증가 이후 체증적 • 증가← 한계생산의 법칙 • - 총비용곡선 : • TFC와 TVC의 수직합 총고정비용 (TFC)
04 단기생산비용 2. 평균비용과 한계비용 • 평균비용(AC) : 총비용을 생산량으로 나눈 것 ( ) • → 생산물의 단위당 생산비를 의미 • 한계비용(MC) : 생산물을 추가로 한 단위 더 생산할 때총비용의 증가분( ) • 같은 방식으로 평균가변비용(AVC), 한계가변비용(MVC),평균고정비용(AFC) 도출
04 단기생산비용 2. 평균비용과 한계비용 총비용곡선-TC 그림 4-9(a) • 평균비용(AC) : • 비용곡선 위의한 점과 • 원점 잇는선분의 기울기 • 한계비용(MC) : • 비용곡선 위의한 점에서 • 접선의 기울기 평균비용(AC) 한계비용(MC) 평균가변비용(AVC)
04 단기생산비용 2. 평균비용과 한계비용 평균 및 한계비용곡선-AC, MC 그림 4-9(b) • 평균고정비용(AFC) • - 생산량 증가에 따라 하락 • → AFC 곡선은 우하향 • 평균가변비용(AVC) • - 생산량에 따라 가변적 • 평균총비용(AC) • - AC=AFC+AVC • AVC와 AC는U자형
04 단기생산비용 2. 평균비용과 한계비용 평균 및 한계비용곡선-AC, MC 그림 4-9(b) • 한계비용(MC) • - 고정비용은 생산량과관계없이 일정 • → MFC=0, MC=MVC • - AC가 감소하는 경우MC<AC • - AC가 증가하는 경우MC>AC • - AC최소점: MC=AC AC=MC AC 증가구간 AC<MC AC 감소구간 AC>MC
04 단기생산비용 2. 평균비용과 한계비용 평균 및 한계비용곡선-AC, MC 그림 4-9(b) • 단기평균비용곡선은항상 U자형을 이룬다 • ← 고정비용이 존재하기때문에 어느 수준까지 AC 감소, 이후 AC 증가 • 단기의 평균총비용이U자형인 것과 한계생산체감은 서로 관계 없음
05 장기생산비용 1. 단기총비용과 장기총비용 단기총비용곡선과 장기총비용곡선의 관계 그림 4-10 1000만대 산출시최적 요소결합 2000만대 산출시최적 요소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