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 likes | 855 Views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 주제 4 통일 신라와 발해의 성립과 변천. 4. 주제. 통일 신라와 발해의 성립과 변천.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 학습 목표. 통일 후 신라가 마련한 여러 제도와 문화의 발전상 , 대외 교류 등을 살펴보고 , 통일 신라가 민족 문화의 기틀을 세웠음을 설명할 수 있다 .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하였음을 이해하고 발해의 정치 체제 , 대외 교류 , 문화 발전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4. 주제. 통일 신라와 발해의 성립과 변천.
E N D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 주제4 통일 신라와 발해의 성립과 변천
4 주제 통일 신라와 발해의 성립과 변천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 학습 목표 • 통일 후 신라가 마련한 여러 제도와 문화의 발전상, 대외 교류 등을 살펴보고, 통일 신라가 민족 문화의 기틀을 세웠음을 설명할 수 있다. •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하였음을 이해하고 발해의 정치 체제, 대외 교류, 문화 발전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4 주제 통일 신라와 발해의 성립과 변천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 미리보기 신라의 왕권 강화 신라 통치 체제의 변화 통일 후 제도의 변화 문화의 발달 통일 신라의 문화와 대외 교류 통일 신라와 발해의 성립과 변천 대외 교류 발해의 건국과 발전 발해의 발전과 문화 발해의 문화와 대외 교류 신라 말의 혼란 신라의 동요와 후삼국 건국 후삼국의 성립
4 주제 통일 신라와 발해의 성립과 변천 내용 정리 신라 통치 체제의 변화 1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 • 왕권 강화 • ① 무열왕계 왕위 세습: 진골 출신 무열왕의 직 • 계 자손이 왕위 독점 → 문무왕의 삼국 통일 • → 신문왕의 왕권 전제화(진골 세력 숙청, 관 • 료전 지급, 녹읍 폐지, 지방 행정 조직 정비, • 국학 설립) • ② 6두품 세력의 약진: 왕권 강화로 진골 세력 • 약화 → 왕의 정치적 조언자로 활동(행정 실 • 무 담당)
4 주제 통일 신라와 발해의 성립과 변천 5세기 고구려의 세력 확대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 (2) 여러 제도의 정비 ① 중앙 정치: 집사부 중심, 관료 기구 기능 강화, 사정부 설치 ② 지방 통치 ㆍ행정: 9주(군ㆍ현 설치, 지방관 파견), 5소경(수도의 편재성 보완, 지방 세력 성장 감시), 촌주가 촌 지배, 향ㆍ부곡 설치 ㆍ지방 세력 견제: 상수리 제도, 외사정 파견(지방관 감찰) ㆍ군사 조직: 9서당(중앙, 민족 융합책), 10정(지방)
4 주제 통일 신라와 발해의 성립과 변천 통일 신라의 문화와 대외 교류 2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 • 문화의 발달 (2) 대외 교류: 대당 교류 활발(산둥 반도와 양쯔 강 하류에 신라인 거주지 형성), 일본과 공ㆍ사 무역, 울산항과 당항성 등 번성, 청해진 설치(장보고, 황ㆍ남해 무역권 장악)
석굴암 본존불상 불국사 3층 석탑 불국사 다보탑 무구정광대다리니경 보충 –통일 신라의 문화재
4 주제 통일 신라와 발해의 성립과 변천 발해의 발전과 문화 3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 ① 건국(698): 고구려 출신 대조영, 고구려인(지배층)+말갈인(피지배층)의 주민 구성 → 고구려 계승 의식 표방 ② 성장: 북만주 장악, 당의 산둥 반도 공격, ‘인안’ 연호(무왕) → 당과 친선 수립, 신라와 상설 교통로 개설, ‘대흥’ 연호(문왕) → 9세기 고구려의 영토 대부분 차지, ‘해동성국’이라 불림 • 건국과 성장 (2) 제도의 정비 ① 중앙 정치: 3성 6부(당 모방) → 정당성 중심의 독자적 운영 - 특징: 2원적 통치체제, 유교식 6부 명칭 ② 지방 행정: 5경 15부 62주, 주ㆍ현에 지방관 파견, 토착 세력가의 촌락 지배 ③ 군사 조직: 10위(중앙군), 지방은 해당 지방관이 지휘
4 주제 통일 신라와 발해의 성립과 변천 나란히 앉은 두 부처상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 (3) 문화 ① 유학 발달: 주자감 설치, 당에 유학생 파견(신라와 경쟁, 빈공과 급제자 배출) ② 고구려의 영향: 정혜공주 무덤(굴식 돌방무덤의 모 줄임 천장 구조), 온돌 장치 등 ③ 당의 영향: 상경 건설(당의 장안 모방, 외성과 주작대로) (4) 대외 교류 ① 초기에 당ㆍ신라와 적대, 일본ㆍ돌궐과 친선 ② 문왕 이후 당ㆍ신라와 관계 개선
4 주제 통일 신라와 발해의 성립과 변천 신라의 동요와 후삼국 건국 4 후삼국의 성립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 • 신라 말의 혼란 ① 정치 혼란: 진골 귀족 간의 권력 다툼․왕위 쟁탈(왕권 약화) → 지배층의 사치와 향락 심화, 대토지 소유 확대 → 농민의 조세 부담 과중 → 농민 봉기(진성 여왕 때 절정, 원종과 애노의 난-889) ②새로운 세력 성장: 호족 세력의 성장, 6두품의 사회 비판 고조(골품제의 모순, 유교정치이념제시) → 호족과 6두품 세력의 연합 ③ 새로운 사상 유행: 선종불교(정신 수양을 통한 해탈 강조, 호족의 후원), 풍수지리설 → 중앙 정부의 권위 약화, 유학과 함께 새로운사회 건설의 사상적 배경
4 주제 통일 신라와 발해의 성립과 변천 신라의 동요와 후삼국 건국 4 후삼국의 성립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 (2) 후삼국의 성립 ① 배경: 신라 사회의 혼란(권력다툼, 농민 봉기)을 이용하여 호족 세력 성장 → 견훤과 궁예가 독자적인 정권 수립 ② 후백제 건국(900): 군인 출신 견훤, 전라도 지방에서 세력 확대 → 완산주에 도읍 ③ 후고구려 건국(901): 신라 왕족 출신 궁예, 강원도, 경기도 일대, 황해도 지역에서 세력 확대 → 송악에 도읍
4 주제 통일 신라와 발해의 성립과 변천 [ ]은 관리들에게 관료전을 지급하고 녹읍을 폐지하여 백성들에 대 한 통제력을 강화하였다. 1 통일 신라의 군사 조직은? 발해의 중앙 정치 조직과 지방 행정 구역은? 4 2 다음 관련 있는 것끼리 바르게 연결하시오. 3 ㄱ. 원효 ㄴ. 의상 ㄷ. 혜초 ①화엄 사상 정립 ② 불교 대중화 ③ 왕오천축국전 저술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 확인 학습 신문왕 9서당 10정 3성 6부, 5경 15부 62주
Ⅱ단원 주제1 ‘고려의 성립과 발전’에 대해 수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