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5

지구와 별

지구와 별. 20516 전은아. 1. 지구의 모양과 크기. [1] 지구의 모양. (1) 지구의 모양 :B.C. 4 세기경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 는 월식때 달에 비친 지구의 그림자가 둥근것을 보고 처음으로 지구의 모양이 둥글다 고 주장 (2) 실제 지구의 모양 ①인공 위성에서 찍은 사진에서 지구의 모습은 둥근 모양 ②지구는 적도 쪽이 약간 부풀어 오른 구에 가까운 타원체. [1] 지구의 모양. (3) 지구의 모양이 둥근 증거 ①높은 곳으로 올라갈수록 시야가 넓어짐

Download Presentation

지구와 별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지구와 별 20516 전은아

  2. 1.지구의 모양과 크기

  3. [1]지구의 모양 (1)지구의 모양:B.C. 4세기경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는 월식때 달에 비친 지구의 그림자가 둥근것을 보고 처음으로 지구의 모양이둥글다 고 주장 (2)실제 지구의 모양 ①인공 위성에서 찍은 사진에서 지구의 모습은 둥근 모양 ②지구는 적도 쪽이 약간 부풀어 오른 구에 가까운 타원체

  4. [1]지구의 모양 (3)지구의 모양이 둥근 증거 ①높은 곳으로 올라갈수록 시야가 넓어짐 ②월식 때 달에 비친 지구의 그림자가 둥근 모양

  5. [1]지구의 모양 ③고위도로 갈수록 북극성의 고도가 높아짐 ④먼 바다에서 항구로 들어오는 배는 돛대부터 보임 ⑤태양이나 달이 뜨는 시각이 동쪽으로 갈수록 빨라짐 ⑥어느 한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면 제자리로 돌아옴 ⑦인공 위성에서 찍은 둥근 지구의 사진이 가장 확실한 증거

  6. [2]지구의 크기 (1)에랕라토스테네스의 지구 크기 측정:약 2200년 전에 처음으 로 지구의 크기를 측정 ①에라토스테네스의 가정 ­지구는 완전한 구형 ­지표에 입사하는 햇빛은 어디서나 평행 ②측정원리:원에서 부채꼴의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비례

  7. [2]지구의 크기 (2)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 크기 측정 과정 ①하짓날 정오에 시에네에서는 햇빛이 우물 속을 수직으 로 비추고 알렉산드리아에서는 첨탑의 그림자 끝이 북 쪽으로 약 7.2˚기울어짐 ②햇빛이 평행하다면 첨탑의 그림자 끝과 첨탑이 이루는 각도 7.2˚는 중심각의 크기와 엇각으로 같음 ③시에네와 알렉산드리아 사이의 거리측정 →약 925㎞㎞km

  8. [2]지구의 크기 ④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비례함을 이용하여 지구의 둘레를 구함 C:360˚=두 지점 사이의 거리:중심각의크기 C:360˚=925km:7.2˚ → C=360˚×925km/7.2˚≒46250km ⑤지구의 둘레를 이용하여 지구의 반지름을 구함 C=2파이R이므로 R=46450km/2×3.14≒7365km

  9. [2]지구의 크기 (3)오차의 원인:에라토스테네스가 측정한 값(7365km)은 현재 인공 위성으로 측정한 값(6370km)보다 약 15% 큼 ①지구는 완전한 구형이 아님 ②시에네와 알렉산드리아는 같은 경도상에 위치하지 않음 ③시에네와 알렉산드리아 사이의 거리가 정확하지않 음

  10. [2]지구의 크기 (4)지구 모형의 크기 측정:에라토스테네스와 같은 원리로 측정 ①측정해야 할 값:두 막대 사이의 거리,막대 BB’과 그림자 끝이 이루는 각 ②지구 모형의 반지름(R) 구하는 식 2파이R:360˚=l:크기

  11. 2.태양계

  12. [1]천제 망원경 (1)천체 망원경:천체로부터 오는 빛을 모아 상을 맺게 하고 이를 확대하여 보는 장치

  13. [1]천체 망원경 (2)천체 망원경의 종류

  14. [2]태양

  15. [2]태양

  16. [3]달 (1)달의 물리량 ①반지름:지구의 1/4 ②질량:지구의 1/8 ③표면 중력:지구의 1/6 (2)달의 표면:수많은 운석 구덩이로 덮혀 있음 ①고지:밝은부분→밝은 색 암석 ②바다:어두운부분→현무암질 암석 (3)달의 특징:대기와 물이 없어 풓풍화/침식 작용이 일어나지 않으며 낮에도 하늘이 까맣게 보임

  17. [4]태양계의 구성 (1)태양계 행성: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9개의 천체 ①지구형 행성 수성:물과 대기가 없어 밤낮 의 기온차가 큼 표면에 운석 구덩이가 많아 표면의 모습이 달과 비슷함

  18. [4]태양계의 구성 금성:약 90기압에 이르는 이산화탄소의 대기로 인한 온실 효과로 표면 온도는 약 500˚C 행성 중 가장 밝으며 크기는 지구와 바슷함

  19. [4]태양계의 구성 지구:물과 공기가 있어 태양계 내 행성 중 유일하게 생명체가 살고있음 화성:표면은 적갈색의 사막으로 희박 한 대기가 있음 양극에 물과 이산화탄소가 얼어 붙은 극관이 있음 계절의 변화가 있음 물이 흐른 흔적이 있음 태양계에서 가장 높은 화산이 있음

  20. [4]태양계의 구성 ②목성형 행성 목성:행성 중 가장 큼 가로줄 무늬와 붉은 점(대 적점)이 있음 희미한 고리,많은 수의 위성이 있음 토성:표면에는 가로중 무늬가 있으며 아름다운고리를 가짐 밀도가 물보다 작음

  21. [4]태양계의 구성 천왕성:메탄으로 인해 청록색 으로 보임 자전축이 공전 궤도면 과 평행하며 가는 고리가 있음 해왕성:푸른색으로 보이며 대기의 소용돌이로 인한 검은 점(대흑점)이 있음 얇은 고리가 있음

  22. [4]태양계의 구성 ③명왕성:태양계에서 가장 작은 행성으로 가장 멀리 있으며 한 개의 위성이있음 (2)그 밖의 천체들 위성:행성의 둘레를 도는 작은 천체 지구의 달 토성의 타이탄 목성의 이오,에우로파, 가니메데,칼리스토 등

  23. [4]태양계의 구성 소행성:크기가 작고 모양이 불규 칙한 천체 화성과 목성의 궤도 사 이에서 태양의 둘레를 도는 작은 행성들

  24. [4]태양계의 구성 혜성:얼음과 먼지로 된 작은 천체로 태양둘레를 타원 궤도로 공전 태양 가까이 오면 태양 의 반대편으로 꼬리가 생김

  25. [4]태양계의 구성 유성:작은 천체 조각이 지구의 인력에 끌려 떨어지면서 대기와의 마찰로 타면서 빛을 내는 것 다 타지 않고 지표에 떨 어진 것은 운석이라고 함

  26. 3.별과 우리 은하

  27. [1]별자리 (1)별자리:별들을 몇 개씩 연결하여 신화 속의 인물, 동물 또는 기타 사물의 이름을 붙인 것 (2)별자리의 종류:황도상에12개 북반구에28개 남반구에 48개로 총 88개의 별자리 (3)별자리의 이용:별자리는 성운이나 성단 은하 등의 위치 를 찾기 위한 길잡이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어두운 밤에 방향을 판단하는 데에도 이용

  28. [2]계절에 따른 별자리 (1)북극성:지구 자전축의 연장선상에 있어 계절 시간에 관계없이 위치가 바뀌지 않으므로 길을 찾는데 이용 (2)북쪽 하늘의 별자리:북반구에서는 북극성 주변의 별자리는 1년 내내 관측 가능 예))큰곰자리(북두칠성).작은곰자리(북극성) 카시오페이아자리,세페우스자리 (3)계절에 따른 별자리 ①계절에 따른 별자리 변화의 원인:지구의 공전 때문

  29. [2]계절에 따른 별자리 ②계절의 대표 별자리:어떤 계절에 저녁9시경 남쪽 하늘에서 볼 수 있는 별자리 봄:처녀자리,사자자리,목자자리,사냥개자리 [목자자리의 아르크투루스,처녀자리의 스피카,사자자리의 데네볼라가 봄철의 대삼각형을 이룸] 여름:거문고자리,독수리자리,백조자리,전갈자리 [백조자리의 데네브,독수리자리의 알타이르(견우), 거문고자리의 베가(직녀)가 여름철의 대삼각형을 이룸

  30. [2]계절에 따른 별자리 가을:페가수스자리,물고기자리,안드로메다자리,고래자리 [남쪽 하늘에서 사각형 모양의 페가수스의 몸통을 찾음] 겨울:오리온자리,황소자리,쌍둥이자리,큰개자리 [오리온자리의 베텔게우스,큰개자리의 시리우스, 작은개자리의 프로키온이 겨울철 대삼각형을 이룸]

  31. [3]별의 밝기 (1)별의 등급:그리스의 히파르코스는 맨눈으로 볼 수 있는가장 밝은 별을 1등성,가장 어두운 별을 6등성으로 분류 (2)별의 등급과 밝기차:1등급간에는 2.5배 밝기 차이가 나며 1등급은6등급보다 약 100배 밝음 (3)별의 밝기와 거리:거리가 2배,3배로 멀어질수록 별의 밝기는 ¼배,1/9배로 어둡게 보임

  32. [3]별의 밝기 (4)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 ①겉보기 등급:별의 실제 거리와 관계없이 눈에 보이는 대로의 밝기를 나타낸 등급으로, 겉보기 등급이 낮을수록 우리 눈에 밝게 관측 ②절대 등급:별이 32.6광년의 거리에 있다고 가정했을 때의 밝기를 나타낸 등급으로,절대 등급이 낮 을수록 실제로 밝은 별 (5)별의 등급과 거리 ①32.6 광년 이내에 있는 별:겉보기 등급<절대등급 ②32.6 광년에 있는 별:겉보기 등급=절대 등급 ③32.6 광년 밖에 있는 별:겉보기 등급>절대 등급

  33. [4]우리 은하 (1)은하수:우리 은하의 일부분으로,무수히 많은 별들의 집단 ①북반구와 남반구에서 모두 관측 가능 ②하늘을 한 바퀴 휘감고 있으며, 여름에 별들이 많이 모여 있는 우리 은하의 중심 발향을 보기 떄때문에 넓고 밝게 보임 (2)우리 은하:태양계가 속해 있는 은하로 수많은 별과 성단 및 선눙,성간 물질 등으로 구성

  34. [5]성단과 성운 (1)성단:수많은 별들이 무리를 지어 모여 있는 집단

  35. [5]성단과 성운 (2)성운:별과 별 사이에 분포하는 가스나 티끌이 한 곳에 모여 구름처럼 보이는 것 발광 성운:주변의 별로부터 에너지를 흡수하여 빛을 내는 성운 반사 성운:주변의 별빛을 반사하여 밝게 보이는 성운 암흑 성운:짙은 가스나 티끌이 별빛을 가려 검게 보이는 성운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