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0 likes | 1.09k Views
1. 한국 문 학의 개념과 범위 [1] 한국 문학의 개념. 02 추야우중. 한 시. 갈래 정리. 갈래 정리. 한시 ( 漢詩 ) 의 정의. 한자 ( 漢字 ) 로 창작된 시 일반적으로는 중국의 것뿐만 아니라 주변의 한자문화권에서 한자로 기록한 시까지 포함하여 한시라고 함. 갈래 정리. 한시 ( 漢詩 ) 의 형식. 갈래 정리. 근체시의 종류. 오언시 ( 五言詩 ) 한 구절의 글자 수가 5 자로 이루어진 시 칠언시 ( 七言詩 ) 한 구절의 글자 수가 7 자로 이루어진 시
E N D
1.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1] 한국 문학의 개념 02 추야우중
한 시 갈래 정리
갈래 정리 • 한시(漢詩)의 정의 • 한자(漢字)로 창작된 시 • 일반적으로는 중국의 것뿐만 아니라 주변의 한자문화권에서 한자로 기록한 시까지 포함하여 한시라고 함.
갈래 정리 • 한시(漢詩)의 형식
갈래 정리 • 근체시의 종류 오언시(五言詩) 한 구절의 글자 수가 5자로 이루어진 시 칠언시(七言詩) 한 구절의 글자 수가 7자로 이루어진 시 절구(絶句) 전체 4구절로 이루어진 시 율시(律詩) 전체 8구절로 이루어진 시 배율(排律)전체 10구절 이상으로 이루어진 시
갈래 정리 • 한시(漢詩)의 특징
갈래 정리 • 한시(漢詩)의 감상법 시인의 삶과 시대 상황은 작품 파악에 도움이 된다. 시의 제목을 통해 제재나 내용을 짐작 할 수 있다. 대체로 시의 후반부에 주제가 담겨 있다. 비유하거나 상징하는 것의 원관념을 찾아야 한다. 형식에 따른 시상의 전개 방식을 알아야 한다.
최치원의생애와 작품 세계
1. 최치원의 생애 • 최치원은 (崔致遠, 857~?)은 신라 말기의 문장가, 학자이다. 본관은 경주, 자는 고운(孤雲) 혹은 해운(海雲)이다. • 견일(肩逸)의 아들이며. 신라 골품제에서6두품(六頭品)으로 신라의 유교를 대표할만한 많은 학자들을 배출한 최씨 가문 출신이다.
최치원의 생애 • 868년(경문왕8년) 당나라 유학을 떠나 12세의 나이로 당나라에 유학한 지 7년 만에 과거에 급제, 선주 율수현위(宣州 水縣尉)가 되고 승무랑(承務郞), 시어사(侍御史), 내공봉(內供奉)에 올라 자금어대(紫金魚袋)를 하사받았다. • 874년 빈공과에 급제하였다. 양저우 지방으로 벼슬을 제수받았고 황소의 난 당시 이를 비난하는 토황소격문을 지었다.
최치원의 생애 • 884년 음력 10월 귀국했다. • 885년 시독 겸 한림학사(侍讀兼翰林學士), 수병부시랑(守兵部侍郞)지서서감(知瑞書監)이 되었으나 문란한 국정을 통탄하고 외직(外職)을 자청, 태산(太山 : 지금의 전북 태인) 등지의 태수(太守)를 지냈다. ▶부산 해운대 동백공원의 최치원 기념비와 동상
최치원의 생애 • 894년 진성여왕에게 시무(時務) 10조(條)를 상소해서 아찬이 되었다. • 그러나 귀족들의 거센 반발로 인하여 그 후 관직을 내놓고 난세(亂世)를 비관, 각지를 유랑하다가 가야산 해인사에서 여생을 마쳤다. ◀최치원의 유묵
2. 최치원의 작품 세계 • 최치원은 868년(경문왕8년)에 12세의 어린 나이로 중국 당나라에 유학을떠났다. 이는 최치원이 작품 활동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된다. • 그 때 아버지는 과거에 합격하도록 부담을 주었고 이것이 나중에 최치원 자신이 6두품을 ‘득난’이라고도 하는 것에서 큰 도움이 되었고, 이것이 신흥가문출신의 기백을 잘 나타내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치원의 작품 세계 • 최치원이 당나라에서 펼친 시작 활동 내역을 살펴보면 그는 당나라에 유학한 지 7년 만인 874년에 18세의 나이로 예부시랑배찬이 주관한 빈공과에 합격하였다. 그리고 2년간 낙양을 유랑하면서 시작에 몰두하였는데, 그때 지은 작품이 “금체시” 5수 1권, “오언칠언금체시” 100수 1권, “잡시부” 30수 1권 등이다.
최치원의 작품 세계 • 그 뒤 최치원은 876년(헌강왕2년) 당나라의 선주 표수현위가 되었다. 이 때 공, 사간에 지은 글들을 추려 모은 것이 “중산복궤집” 1부 5권이다. • 그리고 나서 887년 겨울 표수현위를 사직하고 일시 경제적 곤란을 받게 되었으나, 양양 이위의 문객이 되었고, 곧이어 회남절도사고변의 추천으로 관역순관이 되었다.
최치원의 작품 세계 • 그러나 문명을 천하에 떨치게 된 것은 879년 황소가 반란을 일으키자 고변이제도행영병마도통이 되어 이를 칠 때 고변의종사관이 되어 서기의 책임을 맡으면서부터였다. 최치원의 친필 ▲
최치원의 작품 세계 • 그 뒤 4년간 고변의 군막에서 표 · 장 · 서계 · 격문 등을 제작하는 일을 맡게 되었다. 그 공적으로 879년 승무랑 전중시어사내공봉으로도통순관에 승차되었으며, 겸하여 포장으로 비은어대를하사받았으며, 이어 882년에는 자금어대를하사받았다.
최치원의 작품 세계 • 고변의종사관으로 있을 때, 공사간에 지은 글이 표·장·격·서·위곡·거첩·제문·소계장·잡서·시 등 1만 여 수에 달하였는데, 귀국 후 정선하여 “계원필경” 20권을 이루게 되었다. 이 가운데 특히 ‘토황소격’은 명문으로 이름이 높다고 한다. ”계원필경”中 ‘격황소서’▲
최치원의 작품 세계 ‘토황소격문’ • ‘격황소서’라고도 하며 신라 제 49대 왕 헌강왕 때 최치원(崔致遠)이 중국 당(唐)나라에서 벼슬하며 황소(黃巢)를 치기 위하여 지은 격문(檄文)으로 중국에서 황소의 난이 일어나자, 881년(헌강왕7년) 최치원은 그 토벌총사령관인 고변(高)의 휘하에 종군하였는데, 황소가 이 격문을 보다가 저도 모르게 침상에서 내려앉았다는 일화가 전할 만큼 뛰어난 명문이었다 한다.
최치원의 작품 세계 ‘우정야우(郵亭夜雨)’ • 가을날의 쓸쓸한 정서를 담고 있는 최치원의 시로 ‘추야우중’과 유사한 작품이다. • 이 시에서 나그네는 비 내리는 가을 밤 등불 아래 시름에 겨워 앉아 있다. 그러나 시적 자아는 이러한 고독을 선승(禪僧)의 고행처럼 여기고 있다. 쓸쓸하고 처연한 분위기는 이내 곧 이를 초극하려는 의지로 가득 차 있음을 볼 수 있다.
최치원의 작품 세계 ‘여수장우중문시(與隋將于仲文詩)’ • 우리나라 현전(現傳)하는 최고(最古)의 한시(漢詩)로 수나라 장수 우중문에게, 겉으로는 칭송하는 듯 하면서도 결국 반전을 이루어 군사를 철수할 것을 요구하는 조롱조의 노래이다. • 고구려인의 당당한 기개와 자주적 기상이 잘 나타나 있다.
1.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1] 한국 문학의 개념 02 추야우중 작품 정리
학습 목표 • ‘추야우중’은 신라 시대 작품으로 구성과 운율에서 한시의 맛을 잘 보여 주고 있으며, 우리 역사와 작가 최치원의 개성이 잘 드러나 있다. 귀족, 양반층의 필수 교양이자 자기표현의 서정 양식으로 널리 자리 잡았던 한시를 이해하는 한편, 한국 문학의 영역으로서의 한문 문학에 대해 살펴보자.
작품연구 • 갈래: 한시, 5언 절구 • 시대: 통일 신라 말기 • 성격 : 서정적 • 표현: 대구법 • 제재: 비 내리는 가을 밤 • 주제: 뜻을 펴지 못한 지식인의 고뇌, 또는 고국에 대한 그리움
작품 연구 • 특징 • 대구의 구조로 이루어짐. • 한 구 또는 여러 구의 끝에 같은 계열의 운자를 배치하는 압운법을 사용함. ‘음(吟)’, 음(音)’과 ‘심(心)’이 동일 계통의 음으로 운율감을 형성함. • 시적 배경이 화자의 심정을 드러냄. • 오언절구의 짧은 형식을 통해 비 내리는 가을밤의 심회를 표현함.
글쓴이 소개 최치원(崔致遠 857~?) • 신라 말의 학자, 문장가 • 13세로 당나라에 유학하여, 과거에 장원 급제. • 879년 황소의 난 때 〈토황소격문〉을 지어서 문장가로 이름을 떨침. • 884년 귀국한 뒤 국정 개혁을 주장했으나, 뜻을 펼치지 못하고 말년에는 전국을 다니며 은둔했음.
핵심 강의 • ‘추야우중’의 구성 : ‘기-승-전-결’의 4단 구성 기 시로 외로움을 달램 : 시적 동기-고뇌 승 소외감 또는 객수(客愁) : 고뇌 이유 전 고독한 심회 : 고뇌 심화 결 번뇌와 방황 또는 고독과 향수
핵심 강의 • 최치원이 당나라에 유학하던 시기로 볼 경우 • 최치원이 신라로 돌아온 후의 시기로 볼 경우 • ‘추야우중’은 자신의 포부를 펼칠 수 없어 괴로워하는 시인의 심정을 노래한 시다. • ‘추야우중’은 멀리 떨어진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한 시다. • ‘추야우중’의 창작 시기 : 두 가지 견해가 • 있으며, 이에 따라 ‘추야우중’의 해석이 달라진다.
핵심 강의 • ‘추야우중’의 시어 이해
핵심 강의 • 어휘 및 시구 풀이 • 少(소): 적다. 드물다. 여기서는 없다는 뜻으로도 이해할 수 있음. • 知音(지음): 소리를 알아듣는다는 뜻으로, 속마음을 알아줄 만한 친구를 뜻함. • 三更(삼경) : 밤 11시부터 새벽 1시 사이의 시간
핵심 강의 • 秋風惟孤吟가을바람에 오직 괴로이 읊조리나니 • 世路少知音 세상에는 나를 알아주는 이 드물구나. • 窓外三更雨창밖엔 비가 밤 깊도록 내리는데 • 燈前萬里心등불 앞엔 내 마음 만 리 먼 곳을 내닫네. 세상을 등지고 고뇌하는 시적 화자의 처지 세상과의 단절과 세상에 대한 미련을 내포 시적 화자의 고뇌 심화, 세상으로 향한 길 차단 시적 화자와 세상 사이의 심리적 거리
핵심 강의 • ‘추야우중’과 한국 문학 • 근대 이전에 한문은 동아시아에서 공유하던 문자로최치원이 살던 신라 시대 때 한문은 동아시아 공동문어였다. 최치원의 작품은 표기 수단이 한문이지만 창작 주체인 최치원의 한국인으로서의 생활과 경험, 정신과 가치관이 반영되어 있는 한국 문학이다.
1-[1] 한국 문학의 개념 • ’추야우중’ 을 읽고,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 이 시의 다음 구절에 담긴 시인의 심정은 어떤 것일지 짐작해 보자. • •世路少知音 세상에는 나를 알아주는 이 드물구나. : 예시 답|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지 못하는 데 대한 아쉬움과 외로움
•燈前萬里心등불 앞엔 내 마음 만 리 먼 곳을 내닫네. : 예시 답| 자신(의 능력)을 인정해 주는 장소(시간)에 대한 그리움 • (2) 이 시에서 ‘가을바람’과 ‘비’의 시적 기능에 대해 설명해 보자. 예시 답| ‘가을바람’과 ‘비’는 쓸쓸하고 적막한 배경을 이루어, 시적 화자의 괴로움과 외로움, 고뇌의 정서를 심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어둡고 우울한 분위기를 조성하여 시적 화자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3) 다음 글을 참고하여 이 시의 ‘만리심(萬里心)’의 함축적 의미를 파악해 보자. 예시 답| 자신의 뜻을 펼칠 수 있는[있었던] 공간을 그리워하는 마음 – ‘만리심’은 현재 자신이 머물고 있는 곳과는 만리 만큼이나 멀리 떨어진 공간을 향한 그리움의 심정을 담은 말이다. ‘추야우중’의 창작 시기에 대해서는 두 가지 견해(작품 해설 아래쪽의 ‘참고’부분 참조)가 있는데, 문제와 함께 제시한 “삼국사기”의 ‘최치원이 신라에서 자신의 뜻과 재주를 마음껏 펼치지 못했다.’는
내용에 주목하면 신라로 돌아온 이후의 작품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추야우중’은 귀국 후에 최치원이 느낀 괴로움과 외로움을 표현한 작품으로 해석할 수 있고, ‘만리심’ 은 그러한 고달픈 현실과 구별되는 공간에 대한 그리움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음은 한국 문학의 개념과 영역에 대한 비평문의 일부분이다. 이 글을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 (1) 이 글에서 한국 문학의 여부를 판가름하는 기준으로 내세운 것은 무엇인가? 예시 답|표현 언어가 조선문, 즉 국문인가의 여부 ※ 주의 : ‘말’이 아닌 ‘글’이다. 이광수를 비롯한 근대 초기 문학자의 상당수는 말로 된 문학인 구비 문학을 문학의 영역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2) ‘최치원은 중국 문학 제작자였다.’는 주장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말해 보자. 예시 답| 최치원이 살던 신라 시대 때 한문은 동아시아의 공동 문어로 문학 작품이 한문으로 창작되었다. 최치원의 작품은 표기 수단이 한문이지만 창작 주체인 한국인 작가인 최치원의 개성 즉 한국인으로서의 생활과 경험, 정신과 가치관이 반영되어 있으므로 최치원의 작품은 한국 문학에 속한다.
(3) 한문 문학이 한국 문학의 영역에 포함되는 이유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예시 답| 근대 이전에 한문은 동아시아에서 공유하던 문자(혹은 표기 수단)였다. 따라서 한문 문학은 한국 문학의 범위에 포함된다.
다음의 시를 ‘추야우중’과 비교하면서 읽고,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 (1) 최치원의 ‘추야우중’과 도종환의 ‘가을비’는 공통적으로 ‘가을’과 ‘비’를 소재로 하고 있다. 두 작품에 나타난 ‘가을비’의 정서를 비교해 보자. 예시 답| ‘추야우중’의 가을비는 제대로 뜻을 펴지 못하게 된 현실에서의 화자의 고독하고 외로운 정서를, ‘가을비’에서는 가을비는 사랑하는 임과 헤어진 현실에서의 쓸쓸한 정서를 드러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가을비’는자연 현상
으로부터 인생의 유한함을 이끌어 내고 있다는 점에서 관조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추야우중’과 다른 점이라 볼 수 있다. • (2) 두 작품을 참고하여 ‘가을비’가 오면 자신은 어떤 느낌이나 생각이 드는지 말해 보자. 예시 답| 지루한 여름 늦더위를 끝내며 내리는 가을비는 청량한 느낌과 함께 선선한 가을바람과 높고 푸른 하늘, 낙엽 등에 대한 설렘을 불러일으킨다.
(3) (2)를 바탕으로 하여, ‘가을비’를 소재로 자신의 느낌을 전달할 수 있도록 시를 한 편 써 보자. 예시 답| 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