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 likes | 359 Views
9 장 프로토콜. 강원도립대학교 정보통신개론. 학습목표. 프로토콜의 의미와 구조를 이해한다 . 프로토콜이 왜 필요한지를 가늠하는 프로토콜의 기능에 대해 이해한다 . 대표적인 프로토콜의 종류에 대해 이해한다 . 프로토콜. 1. 프로토콜 (Protocol) 의 정의.
E N D
9장 프로토콜 강원도립대학교 정보통신개론
학습목표 • 프로토콜의 의미와 구조를 이해한다. • 프로토콜이 왜 필요한지를 가늠하는 프로토콜의 기능에 대해 이해한다. • 대표적인 프로토콜의 종류에 대해 이해한다. 정보통신개론
프로토콜 1. 프로토콜(Protocol)의 정의 사람과 사람이 대화를 하는 경우에 언어, 화제, 대화수단 등에 대해서 사전에 또는 대화중에 약속을 서로 정해 두어야 의사소통이나 정보교환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컴퓨터나 단말장치 등이 상호통신하는 경우에도 이와같이 정보의 표현수단, 정보의 의미내용, 통신수단 등에 대해서 여러 가지의 약속을 정해두는 일이 필요한데, OSI 규약에서는 이와같은 통신규정의 약속을 프로토콜이라 부른다. 정보통신개론
프로토콜 데이터교환을 위한 약속 구문(Syntax) 의미(Semantics) 순서(Timings) OSI규약에서 프로토콜의 정의 통신을 하는 두 실체(Entity)간에 무엇을, 어떻게, 언제, 통신할 것인가에 대해 서로 약속한 규정이다. 실체(Entity) 실체를 구체적으로 들어보면 사용자 응용프로그램, 파일전송 패키지,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컴퓨터 등을 포함한 단말장치의 모든것을 말한다. 프로토콜의 기본요소 ① 구문(Syntax) : 데이터 형식, 부호화(Coding) 및 신호의 크기 등 규정 ② 의미(Semantics) : 전송제어와 에러 복원을 위한 제어 정보의 규정 ③ 순서(Timing) : 속도의 정합과 순서의 규정 표시 정보통신개론
2. 프로토콜의 구조 3. 프로토콜의 기능 ① 데이터 대열의 분할 및 재조립(Fragmentation & Reassembly) ② 캡슐화(Encapsulation) ③ 연결제어(Connection Control) ④ 흐름 제어(Flow Control) ⑤ 오류제어(Error Control) ⑥ 순서제어(Sequence Control) ⑦ 동기화(Synchronization) ⑧ 다중화(Multiplexing) ⑨ 주소설정(Addressing) 정보통신개론
4. 프로토콜의 종류 ①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정보통신개론
FTP, HTTP, Telnet, DHCP, SMTP, POP, SNMP, DNS,RIP TCP, UDP, PPP, S2TP IP, ICMP, IGMP, ARP Ethernet, LAN, X.25, ATM Frame Relay, Async ②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TCP는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나누고, 분배하는 역할을 하며, IP는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ICMP는 호스트 서버와 인터넷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메시지를 제어하고 에러를 알려주는 프로토콜로서 RFC 792에 정의되어있다. ICMP는 IP데이터그램을 사용하지만, 메시지는 TCP/IP소프트웨어에 의해 처리되며, 응용프로그램 사용자에게 직접 분명하게 보이지는 않는다. 일례로서, ping명령어는 인터넷 접속을 테스트하기 위해 ICMP를 사용한다. 정보통신개론
③ SNA(Systems Network Architecture) IBM사의 네트워크 아키텍처 계층개념을 채택한 최초의 네트워크 구조로 이후 다른 네트워크 구조에 영향을 미쳤다. 정보통신개론
④ DNA(Digital Network Arichitecture)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DFC)사의 계층 구조 네트워크 Architecture로 모두 8개의 계층으로 이루어진다. 정보통신개론
5. 표준화 기관의 종류와 기능 ① ISO(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② ANSI(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미 국립 표준국) ③ EIA(Electronic Industries Organozation, 전자산업 협의회) ④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국제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 ITU-T[아이티유 티]는 통신장비 및 시스템의 조합표준을 육성하기 위한 제일의 세계적인 조직체이다. 전에는 CCITT로 알려져 있었으며,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다. ⑤CCITT(Consulative Committee International Telegraph and Telephone, 국제 전신 전화 자문 위원회) ⑥ IAB(Internet Activities Board) ⑦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국제 전기 통신 연합) ⑧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nference, 국제 전기 협의회) ⑨ NIST(National Institute Standards and Technology) 정보통신개론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 국제표준화기구 ISO[아이에스오], 즉 국제표준화기구는 1947년에 설립되었으며, 100 여개 나라에서 온 대표자들로 구성된 국가표준화기구의 세계적인 연합체이다. ISO가 육성하는 표준들 가운데 하나인 OSI는 통신 프로토콜의 보편적인 참조 모델이다. 많은 나라들이 ANSI등과 같은 국가표준화기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ISO의 표준안 작성에 참여하고 기여한다. "ISO"는 약자가 아니다. 이 용어는 그리스어의 isos에 근원을 두고 파생된 말로서, "같다"는 의미인 "equal"의 뜻을 가지고 있는데, "iso-"라는 접두어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 ("isometric"은 동일한 치수를 의미하며, "isonomy"는 모든 사람들은 권리가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ISO라는 이름은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을 각 나라에서 이 기구의 이름을 나름대로 번역하면서 생길지도 모르는 여러 가지의 약어들의 과잉을 막기 위해, 전세계적으로 사용된다 (이를테면, 영어권에서는 약어를 IOS라고 쓰고, 프랑스에서는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normalisation의 약어로서 OIN 등으로 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어느 나라에서든 이 기구를 의미하는 약어는 항상 ISO로 쓰인다. 정보통신개론
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 미국 표준 협회 ANSI[앤씨]는 미국 내에서 기술표준 개발을 육성하기 위해 설립된 제1차 기관이다. ANSI는 산업계에 소속된 기술자 그룹들과 함께 일하며, 세계표준화기구인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및 세계전자기술 위원회인 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의 일원이다. ANSI가 제정한 컴퓨터에 관한 표준 중 비교적 오래된 것으로는 아스키와 스쿠지가 있다. 정보통신개론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 미국 전기 전자 학회 IEEE[아이-트리플-이]는 "인류의 이익을 위한 전자기술 및 과학의 개발과 활용을 촉진하고, 동업자들의 발전과 회원들의 행복을 도모하는 - 세계에서 가장 큰 기술 전문가 모임"이라고 그 자신들이 스스로를 정의하고 있다. IEEE는 표준의 개발을 추진하는데, 이는 종종 국가표준 및 세계표준이 되곤 한다. 이 조직은 여러 종류의 저널을 발행하고, 많은 지역에 지부를 두고 있으며, 그리고 'IEEE 컴퓨터학회' 등과 같이 특수한 분야에 몇 개의 커다란 학회를 가지고 있다. IEEE 컴퓨터학회의 웹사이트입니다. IEEE의 공식 웹사이트입니다. 정보통신개론
CCITT (Comite Consultatif Internationale de Telegraphique et Telephonique or Consultative Committee on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y) CCITT[씨씨 아이티티]는 통신장비 및 시스템의 협동조합 표준을 육성하기 위한 최초의 세계기구이며, 지금은 이름이 ITU-T (for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of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로 바뀌었다. 스위스의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다. 정보통신개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