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0

기상분석시스템 개발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

2010 기상분석시스템 사용자 워크숍. 기상분석시스템 개발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 - 정보통신기술과 서동일 -. 2010.07.14. CONTENTS. FAS History. Linux FAS 운영환경 개선. 향후계획. Linux FAS?. Open WebFAS ( 외부제공용 ). 1. Linux FAS ?. 배경 및 목적. 이상기상 빈발 및 기상재해의 대형화로 위험기상현상의 신속 / 정확한 분석 및 초단시간 예측기능을 갖춘 선진형 예보분석시스템의 구축 필요성 증대

caden
Download Presentation

기상분석시스템 개발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2010기상분석시스템 사용자 워크숍 기상분석시스템개발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 - 정보통신기술과 서동일- 2010.07.14

  2. CONTENTS FAS History Linux FAS 운영환경 개선 향후계획 Linux FAS? Open WebFAS (외부제공용)

  3. 1 Linux FAS ?

  4. 배경 및 목적 • 이상기상 빈발 및 기상재해의 대형화로 위험기상현상의 신속/정확한 분석 및 초단시간 예측기능을 갖춘 선진형 예보분석시스템의 구축 필요성 증대 • 2000년도부터6개년 사업으로 미국 예보시스템연구소(구FSL, 현 GSD)와 국제공동개발로 한국형 기상분석시스템(FAS) 개발 • ☞ FSL : Forecast Systems Laboratory, GSD : Global Systems Division, FAS: Forecaster’s Analysis System • 예보관전용의 대화형 기상분석시스템과 초단시간 예측시스템을 구축하여 위험기상 분석 및 예측능력을 강화하고, 종이 없는 선진형 사이버 예보체계 구축

  5. Version Upgrade 현업사용 최종버전(fas OB3.4) AWIPS Ⅱ(OB9.2 Migration) AWIPS Build OB9.1/OB9.2 AWIPS Build OB8.1/OB8.2/OB8.3 AWIPS Build OB7.1/OB7.2 AWIPS Build OB6 AWIPS Build OB5 AWIPS Build OB4 AWIPS Build OB3 AWIPS Build OB2 AWIPS Build OB1 AWIPS Build 5.2.2 AWIPS Build 5.2.1 fas vOB3.4 fas vOB3.3 fas vOB3.2 fas vOB3.1 fas vOB3 fas v5.2.8 fas v5.2.7 fas v5.2.6 fas v5.2.5 fas v5.2.4 fas v5.2.3 fas v5.2.2 ’06.09.14 ’06.04.10 ’05.07.11 ’05.06.10 ’05.04.11 ’04.08.10 ’04.05.03 ’04.03.22 ’04.02.10 ’03.09.01 ’03.05.01 ’02.12.27 ’09.12.02 ’08.08.15 ’07.04.16 ’07.01.17 ’06.08.19 ’05.05.10 ’04.08.23 ’04.02.06 ’03.09.06 ’03.04.01 ’02.12.05 ’02.08.06 WebFAS개발 SCAN 탑재를 위한 버전 SCAN(System for Convection Analysis and Nowcasting} 한국형 FAS 초기버전

  6. Version Upgrade AWIPS FAS • 리눅스 기반의 AWIPS 최종 버전 OB9 • 2006년 부터AWIPS Ⅱ 개발 진행-SOA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플랫폼 • 기존 시스템의 기능 및 외관을 그대로 SOA기반으로 이전하는 형태로 개발 • 리눅스 기반의 AWIPS 최종 버전 OB3.4 • 2006년 부터WebFAS로 개발-HTTP 프로토콜(Active X) 기반 플랫폼 • Linux FAS의 주요기능을 위주로 웹 기반시스템으로 이전하는 독자적인 시스템

  7. WebFASvs Linux FAS

  8. 2 FAS history

  9. Linux FAS history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 단시간기상예측개발사업 • 대만기상청 기술조사단 파견 • 미국 FSL(GSD) 기술협력 방문 • 기상연구소- FSL(GSD)MOU 체결 • FSL 에 공동연구 실무자 파견(2인)(7월) • 공동개발을 위한 단기파견(3인)(12월)

  10. Linux FAS history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 기상분석시스템 알파버전 시험운영 • 한국형 수치예보모델 개발사업단 구성 • 단시간기상예측기술개발사업단 해체 • FSL 공동연구 실무자 파견(2인)(3월) • 기상분석시스템개발 2차년도 이행약정서 • (IA#2) 체결

  11. Linux FAS history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 기상분석시스템 베타버전 시험운영 실시 • 홈페이지 운영 실시(http://fas.kma.go.kr) • 기상분석시스템개발 3차년도 이행약정서(IA#3) 체결 • FSL 공동연구 실무자 파견(2인) (2월), 단기파견(12월) • FSL 현지 사용자 교육 실시(6인) (5월) • FAS 한글메뉴 설치 • 본청, 지방청 및 항공기상대 FAS 설치(7월) • FAS 전담관리자 지정 운영 • FSL 현지 사용자 교육 실시(6인) (10월)

  12. Linux FAS history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 기상분석시스템개발 4차년 이행약정서(IA#4) 체결 • 기상분석시스템 사용자 지침서 (8월) –제5판- • - 기상분석시스템 개발반 • 3차 기상분석시스템 개발자 교육(24인) (3월) • FSL 단기파견 실시(2인) (3월) • FAS 순회교육 실시(8.4~8.9) • FSL 현지교육 (10인, 10월), 단기파견실시(11월) • 기상대 FAS 설치(38개소*3AE) • 2003년도 기상분석시스템 워크숍 개최(대전, 46명)

  13. Linux FAS history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 기상분석시스템개발 5차년도 이행약정서(IA#5) 체결 • 기상분석시스템 사용자 지침서 (10월) –제8판- • 공군기상분석시스템(AFAS) 시범운용시스템 지원(2월) • 리눅스 전문기술교육 실시(1기, 2기, 총 40인) • 2004년도 기상분석시스템 워크숍(용인, 87명)(5월) • FSL 장기파견 (3인), 현지교육 실시(11인) (10월) • FAS 시스템 성능보강(11월) • 기상분석시스템 경진대회 실시(11월) • 미국기상청 단기파견 실시(2인) (11월) • FAS 전담관리자 집중교육(12인), 리눅스원(12월)

  14. Linux FAS history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 기상분석시스템개발 6차년도 이행약정서(IA#6) 체결 • FAS 학계보급, 과거자료 제공 (1월) • SCAN/MDA 개발을 위한 파견(2인) • 웹기반 기상분석시스템(FAS Pilot) 개발 (2월~12월) • 리눅스 전문교육 실시(38명, 리눅스원) (3월) • 기상분석시스템 현업버전(FAS OB3) 업그레이드 • 2005년도 기상분석시스템 워크숍 (대전, 94인) (5월) • FSL 단기파견실시(1인) (10월) • FSL 현지교육 실시(9인) (10월)

  15. Linux FAS history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 신예보기술국제협력사업 사업이행계획서(PIP)체결 • 제1회 기상청 자체 전문자격 (FAS 2급) 시험 실시 • 웹 기반 기상분석시스템 개발(Ⅰ) (04월) • 2006년도 기상분석시스템 워크숍(대전, 94인) (5월) • 기상분석시스템 순회교육 실시 (4월) • 웹 기반 기상분석시스템 개발계획 수립 (6월) • 웹 기반 기상분석시스템 상세설계 (7월)

  16. Linux FAS history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 신예보기술국제협력사업 사업이행계획서(PIP)체결 • 제2회 기상청 자체 전문자격 (FAS 2급) 시험 실시 • 웹 기반 기상분석시스템 시연회 및 교육 (2월) • 2007년 기상분석시스템 사용자 워크숍(단양) (5월) • 웹기반 기상분석시스템 개발(Ⅱ) 용역사업 (8월) • 웹기반대류성호우추적 및 예측시스템(SCAN)개발(8월)

  17. Linux FAS history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 제3회 기상청 자체 전문자격 (FAS 2급) 시험 실시 • 2008년 기상분석시스템 사용자 워크숍 개최 (5월) • 웹 기반 기상분석시스템 개발(Ⅲ) 용역사업 (6월) • 몽골기상청 웹 FAS 지원(7월)

  18. Linux FAS history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 2009년 기상분석시스템 사용자 워크숍 개최 (5월) • 웹 기반 기상분석시스템 개발(Ⅳ) 용역사업 (6월) • 몽골기상청 WebFAS추가지원 (7월) • WebFAS학계 보급 (12월) • - 외부지원용 WebFAS설치 및 테스트 • 클라우드 컴퓨팅기술기반 FAS 운영환경개선(12월) • - 가상화 기반의 중앙집중방식

  19. 3 Linux FAS 개선사항

  20. FAS 전국분포도(가상화 이전) 지방청 자료서버(ds1_xxx) 1대 보조서버(ds2_xxx) 1대 표출pc 4대 (fas1_xxx, fas2_xxx,fas3_xxx,fas4_xxx) 기상대 자료서버(ds1_xxx) 1대 보조서버(ds2_xxx) 1대 표출pc 1대 (fas_xxx)

  21. 개요 • Linux FAS의 시스템 구성방식 개선(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및 원격접속 솔루션 이용) • 각 지방청 및 기상대 시스템은 정리, 본청 중앙집중방식으로 구성 • 고성능 자료처리 서버와 가상화 서버를 결합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구축

  22. VFAS 구성도 vfas.kma.go.kr L4 Switch Switch Hub 1 Virtualization Xen App Server Server 1 Server 8 Server 7 Server 6 Server 5 Server 4 Server 3 Server 2 App Server 1 App Server 2 X manager X manager XenApp XenApp 08년 지방청 및 센터 도입서버 • Physical 8ae • Logical 22ae Switch Hub 2 STORAGE

  23. VFAS 이용방법 1. INTRO – 예보/기상 – 리눅스기상분석시스템 클릭 2. ID/PW 로그인(처음 접속시ICA Client 파일 설치) 3. 등록된 응용 프로그램(Xmanager 3) 클릭 4. 설정된 상태 그대로 X-터미널 “실행” 5. X-터미널에서 fas입력 후 엔터

  24. FAS 가상화 및 원격접속시 변동사항 1. 기존 Linux FAS 장비 처분 • 기존 시스템 용도폐기/타용도로 활용 2. 리눅스 시스템 없이 개인 PC에서 이용 가능 • 원격접속 솔루션을 통한 낮은 통신대역폭에서도 빠른 실행 가능(구동 시 서버자원 사용) • 사양이 낮은 노트북 또는 넷북에서도 사용가능 함. 단, 기상청 인트라넷 상에서 구동 3. 개별 ID/PW 부여(개인정보보호) • 이전 공통 IDawips사용방식 → 개별 ID/PW로 접속 • 도입 당시(‘09) 동시접속자수 30user → 수요파악을 통한 License 확보(2010년 현재 250user) 4. 과거자료 다운로드 불필요(자료요청) • 본청 정보통신기술과로 필요한 사례일 설정 요청 • 설정요청 이후 1시간 이내 분석가능단, 사례분석 완료 후 삭제요청 5. 간편한 캡쳐 이미지 저장 및 확인 6. 공용 스토리지 사용 • 공통 스토리지(3T)를 통한 과거자료 공유 가능 • 부여된 개별 IDcapture 디렉토리에 자동으로 캡쳐된 이미지들 저장

  25. 4 외부제공용 WebFAS

  26. Open WebFAS특징 Intranet Internet

  27. Open WebFAS 공개단계(2009) • 기존 Linux FAS 배포대학 중 활용도가 높은 기관 대상으로 공개 • 블로그(Blog) 지원을 통한 사용자 의견 수렴 발전단계(2010) • 13개 대학 및 수자원공사 대상 서비스 확대 - 2010.03.22 본청 소집교육 실시(참석희망자 대상) • ID/PW 인증 이후 개인 프로시져 관리기능 추가 • 초기단계의 사용자 의견 수렴 및 문제점 개선 • 자료제공 종류, 기간 및 대상기관 확대 확산단계(2011~2012) • 기상청 자료와 유사한 수준의 서비스 제공 • 이용기관 자체 자료연동을 통한 분석 표출 지원 • WebFAS오픈소스화를 통한 서비스 지원 확대

  28. 5 향후계획

  29. 향후 개발 및 지원 계획 2010 개발내용 • 기상청 차기 모델(UM) 자료 추가 연계 (Linux FAS, WebFAS공통) • 표출시간의 전ㆍ후 이동을 위한 화살표 키패드 적용 (WebFAS) • 배경지도 색상 변경 테이블 추가 (WebFAS) • 접속 통계문석 기능 강화 등 (WebFAS) • ID/PW 로그인 기능적용을 통한 프로시져 활용(Open WebFAS) 2011 이후 지원 계획 • 지속적인 사용자 의견수렴을 통한 기존 시스템 기능 개선보완 • 대외협력 및 개도국지원 강화(외부기관 및 기상개도국 지원) • - Open WebFAS 자료 지원 확대 • - 기상청-아프리카 기상협력(아프리카 정부간 개발기구 10개국) • - 인도, 네팔, 남아공, 베트남 등 협력의제로 제출  FAS 관련 의견 또는 문의 기상청 정보통신기술과 기상연구사 서동일(02-2181-0418, sdi7@korea.kr) 연구원 우종석(02-2181-0976, blueback@korea.kr)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