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 likes | 200 Views
발견적인 지도 20010483 류미현. < 발견의 개념 > ◎ 소크라테스 방법 ◎ “ 학생들이 결론을 유도하도록 교사가 질문을 주도 하는 방법 …”. 연립 방정식 3x-2y= 6 -9x+6y=-3 T : 이 방정식을 풀면 ? S : ① × 3+② 하면 왼쪽이 0 이 되어 분모가 0 이 된다 . T : 옳다 . 풀이는 ? S : 잘 모르겠다 .
E N D
<발견의 개념> ◎소크라테스 방법 ◎ “ 학생들이 결론을 유도하도록 교사가 질문을 주도 하는 방법…”
연립 방정식 3x-2y= 6 -9x+6y=-3 T : 이 방정식을 풀면? S : ① × 3+②하면 왼쪽이 0이 되어 분모가 0이 된다. T : 옳다.풀이는? S : 잘 모르겠다. T : 누가 해를 말할 수 있는가? S : 우리는 잘 모르겠다. T : 왜? S : 15/0는 계산할 수 없기 때문이다 T :그럼 결과에 대해 대한 기하학적인 해석을 할 수 있는가? S :평행이다. ① ②
<발견의 개념> ◎부르너 ◎ ★ 발견은 과정이다. ★ 발견은 가설을 세워가면서 문제를 푸는 과정이다. ★ 발견에 의한 지도는 학생들이 문제를 푸는 방법을 찾도록 의미 있는 상황을 주는 일이다.
< 부르너의 발견학습의 예> 세 가지 종류의 판자를 이용하여 면적이 x 보다 큰 정사각형을 만들 수 있는가? x 1 x x 1 1 2
x 1 x 1 2 2 X +4x+1= (x+2)(x+2) X +2x+1= (x+1)(x+1) 학생들은 패턴을 알게 된다. 이차방정식에 대해서도 배우지만 수학의 규칙성을 경험으로 터득한다.
세 가지 표현수준을 통해 학습 1. 구체적 수준 2. 영상적 수준 3. 상징적 수준
발견적 지도의 5단계 ⑴ 문제를 정하고 ⑵ 자료를 모으고, 분석하고, 조직화하고, ⑶ 가설을 세우고, ⑷ 가설을 검증(증명)하고, ⑸ 발견된 정리 또는 사실을 문장으로 나타낸다.
⑴ 문제의 정의 A B C B
⑵ 자료를 모으고,분석하고,조직하고 A A D B C B C D B C D B D D
⑶ 가설을 세우고.. ⑷ 가설검증(증명)… (5)발견된 정리 또는 사실을 문장으로… 1.CB // AD 2.∠B=∠BAD , ∠C=∠DAE 3.∠A+∠B+∠C= ∠A+∠EAD+∠DAB= 180° E A D C B
발견적 지도 장점(☺) 학생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여 답을 찾는 학습으로서 다른 학습 방법보다 학생들에게 더 효과적이고 오래 기억될 수 있는 방법이다. 독립심 판단력 창조력
발견적 지도 단점 1. 기초적인 지식과 이해를 충분히 가지고 있 지 않으면, 발견에 연결되는 해결방법을 용이하게 얻을 수 없다. 2. 발견학습에 의한 지도에는 충분한 시간을 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