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3

8 장 외환시장과 환율의 결정

8 장 외환시장과 환율의 결정. 1. 외환시장과 환율 2. 환율의 장기결정이론 3. 단기외환시장모형 4. 단기외환시장모형의 응용. 1. 외환시장과 환율. (1) 외환시장의 의미와 구조 1) 외환시장의 의미와 역할 * 각 나라의 통화가 거래되는 시장이 외환시장 (foreign exchange market) - 외환시장도 중요한 금융시장의 하나 - 외환의 대차거래가 이루어지는 외화자금시장 (foreign money market) 과는 구분 - 자금이 운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금융시장에 포함.

Download Presentation

8 장 외환시장과 환율의 결정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8장 외환시장과 환율의 결정 1.외환시장과 환율 2.환율의 장기결정이론 3.단기외환시장모형 4.단기외환시장모형의 응용

  2. 1.외환시장과 환율 (1)외환시장의 의미와 구조 1)외환시장의 의미와 역할 *각 나라의 통화가 거래되는 시장이 외환시장(foreign exchange market) -외환시장도 중요한 금융시장의 하나 -외환의 대차거래가 이루어지는 외화자금시장(foreign money market)과는 구분 -자금이 운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금융시장에 포함

  3. 1.외환시장과 환율 (1)외환시장의 의미와 구조 1)외환시장의 의미와 기능 *외환시장의 기능 -환율을 결정함으로써 ①한 나라의 통화에서 다른 나라 통화로의 구매력 이전기능 ②대외거래에서 발생하는 외환의 수요와 공급을 청산하는 역할(외환시장의 대외결제기능) ③변동환율제에서는 환율이 외환의 수급사정에 따라 변동함으로써 국제수지의 조절기능 ④경제주체들의 환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환위험 회피기능) =>환위험 헷지나 투기적 거래가 실수요거래보다 훨씬 큰 비중 차지

  4. 1.외환시장과 환율 (1)외환시장의 의미와 구조 2)외환시장의 구조와 외환거래의 형태 ①외환시장의 구조 *외환시장은 은행간시장과 대고객시장으로 구분 -은행간시장은 좁은 의미의 외환시장을 의미 도매시장의 성격 은행간시장은 통상 OTC시장(over-the-counter market. 장외시장)의 형태 -대고객시장은 외환의 소매시장으로 은행과 고객간 시장

  5. 1.외환시장과 환율 (1)외환시장의 의미와 구조 2)외환시장의 구조와 외환거래의 형태 ①외환시장의 구조

  6. 1.외환시장과 환율 (1)외환시장의 의미와 구조 2)외환시장의 구조와 외환거래의 형태 ②외환거래의 형태 *외환시장에서의 거래형태는 외환매매상품에 따라 -현물환, 선물환, 외환스왑, 통화스왑, 통화옵션거래로 구분 *현물환거래(spot transactions)는 계약체결 후 외환의 인수, 인도 및 결제가 즉각적으로(2일 정도의 청산기간) 이루어지는 거래 현물환이 거래되는 시장이 현물환시장이고 현물환시장의 환율이 현물환율(spot exchange rate) 은행간시장은 이러한 현물환시장을 말함 -환재정거래(exchange arbitrage transaction)로 환율차이 소멸 동일시점에서 외환시장 간에 환율의 격차가 있을 때 환율의 차이에서 이윤을 얻고자 하는 외환거래

  7. 1.외환시장과 환율 (1)외환시장의 의미와 구조 2)외환시장의 구조와 외환거래의 형태 ②외환거래의 형태 <예시 8-1>환재정거래를 통한 환율의 일치 뉴욕외환시장 $1.00 = ₩900 동경외환시장 $1.00 = ¥110 서울외환시장 ¥1.00 = ₩12 => 뉴욕외환시장 :원화공급증가, 달러수요증가 =>원/달러 환율은 상승 동경외환시장 :달러공급증가, 엔화수요증가 =>엔/달러 환율은 하락 서울외환시장 :엔화공급증가, 원화수요증가 =>원/엔 환율은 하락 =>환재정거래로 환율차이 사라짐 뉴욕외환시장 $1.00 = ₩1,000 동경외환시장 $1.00 = ¥100 서울외환시장 ¥1.00 = ₩10

  8. 1.외환시장과 환율 (1)외환시장의 의미와 구조 2)외환시장의 구조와 외환거래의 형태 ②외환거래의 형태 *선물환거래(forward transactions) 계약체결 후 2 영업일을 경과한 미래의 주어진 시점에서 외환의 인수, 인도 및 결제가 이루어지는 거래 -선물환이 거래되는 시장이 선물환시장이며 선물환시장의 환율이 선물환율(forward exchange rate) 또는 선물환시세 -선물환거래의 특수 형태인 차액결제선물환(NDF: non-deliverable forward)은 만기에 차액만을 정산하는 것으로 주로 비거주자들이 교환성이 없는 통화를 대상으로 환 위험을 헤지하거나 환투기를 할 목적으로 이용 우리나라의 경우 1999년 4월 이후 비거주자와 국내 외국환은행간의 NDF거래가 허용됨 -9장에서 자세히 논의

  9. 1.외환시장과 환율 (2)환율의 종류와 중요성 1)환율의 종류와 의미 *현물환율(spot exchange rate)과 선물환율 -현물거래(spot transactions, 은행예금의 즉시적인 교환을 가져오는 거래)를 위한 환율 -선물환율(forward exchange rate): 선물환거래를 위한 환율 *환율의 표시방법 -외국통화표시방법 (American terms): 자국통화에 대한 외국통화비율(예, $/₩)을 나타냄 -자국통화표시방법 (European terms): 외국통화단위당 자국통화, 즉 달러당 원화(W/$)로 표시

  10. 1.외환시장과 환율 (2)환율의 종류와 중요성 1)환율의 종류와 의미 *통화가치의 변화 -변동환율제 하에서 통화가치상승 또는 통화절상(appreciation) 통화가치하락 또는 통화절하(depreciation) -고정환율제 하에서 평가절상(upvaluation) 평가절하 (devaluation) *대고객환율: 은행과 고객(개인이나 기업)간 거래에 적용되는 환율 은행간환율(inter-bank rate)

  11. 1.외환시장과 환율 (2)환율의 종류 와 중요성 1)환율의 종류와 의미 *크로스환율(cross rate) -국내통화가 개입되지 않는 여타 외국통화간 환율 -우리나라에서는 엔/달러 환율이나 유로/달러 환율 등 *재정환율(arbitraged rate) -국내 외환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통화와의 환율을 결정할 때 국제금융시장에서 형성되는 환율을 이용하여 산출한 환율 <예시 8-2>재정환율의 결정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이 1,000원 뉴욕외환시장에서 엔/달러 환율이 100엔 =>원/엔의 재정환율은 1엔당 10원으로 결정

  12. 1.외환시장과 환율 (2)환율의 종류 와 중요성 *명목환율(nominal exchange rate): 양국 통화의 명목 교환비율 *실질환율(real exchange rate) (8-1) 실질환율 = (명목환율*외국물가수준)/국내물가수준 -외국상품과 국내상품간의 교환비율(외국상품 1개와 교환되는 국내상품의 개수) -외국통화에 대한 자국통화의 상대적인 구매력을 반영 -실질환율은 일국의 수출경쟁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용 실질환율의 하락(자국통화의 실질절상)은 가격경쟁력 하락의미 *실효환율(effective exchange rate) -주요 교역상대국의 환율을 교역비중으로 가중 평균한 환율 -명목실효환율 -실질실효환율지수(REERI):균형환율수준을 판단하는 지표로 활용 REERI가 100이상이면 기준시점 대비 국내통화의 고평가 의미

  13. 1.외환시장과 환율 (2)환율의 종류와 중요성 2)환율의 영향과 중요성 *환율의 영향 ①수출입과 경상수지에 영향을 미침 ②물가(수입물가의 상승을 통해)에 영향을 미침 ③채무의 상환부담에 영향을 미침 ④자본유출입에 영향을 미침 -환율상승 시 환차손 우려로 인해 외국인 주식투자자금 등 해외자본이 유출됨에 따라 주식시장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음 *우리나라의 경우 환율이 특별히 중요함 -한국의 경제구조 특성상 환율은 채권, 주식, 부동산시장을 지배

  14. 1.외환시장과 환율 (3)외환시장의 구조와 환율변동성의 증대 1)외부충격에 취약한 국내외환시장구조 ①국내 외환거래의 달러화에 대한 의존도가 너무 과도 -미국경제의 구조적 문제점이 제기될 때 국내외환시장이 크게 변동 ②이종 통화(엔, 유로, 위안 등)에 대한 직거래 시장이 활성화되지 않아 대외거래에서의 달러화 의존도 개선에 애로발생 ③국내 외환시장의 규모가 너무 작음 -우리나라 외환시장규모는 경제규모에 비해 낮은 수준 ④국내외환시장은 무역거래중심으로 이루어져 자본거래(가치저장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수요와 용도를 가진 외환시장참여자가 부족해 시장유동성 확대가 제약되고 있음 =>구조적 취약성으로 인해 외부충격이 있게 되면 과도하게 반응

  15. 1.외환시장과 환율 (3)외환시장의 구조와 환율변동성증대 2)환율변동성의 증대 *1971년 8월 15일에 미국은 1934년 이래 금 1온스 당 35달러로 고정시켰던 달러화의 금평가 및 금태환을 포기(Nixon shock) -1973년 초 변동환율제 채택 이후 환율의 변동성은 크게 증대 *우리나라의 원화환율은 매우 변동성이 큼 -원화환율의 변동성이 큰 일차적인 이유는 국내 자본시장의 개방도에 비해 외환시장의 규모가 과도하게 작다는것 -단기외채 규모가 큼 단기외채 축소를 위해 노력해 왔지만 외환보유액이나 외환시장의 규모와 다른 나라의 단기외채를 비교했을 때 여전히 불안한 수준

  16. 2.환율의 장기결정이론 *다른 상품의 가격과 마찬가지로 환율도 자유변동환율제 하에서는 외환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의 작용에 의해 결정됨 -특히 장기에서 환율은 각 나라의 물가나 생산성과 같은 경제의 펀더멘털(fundamentals)에 의해 결정 -장기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펀더멘털 요인들은 무엇인가? (1)구매력평가이론 (PPP: Purchasing Power Parity theory) 1)일물일가의 법칙(law of one price) *환율결정을 이해하기 위한 출발점은 일물일가의 법칙 (8-2) = e -미국산 TV 1대가 100달러, 한국산 TV가 100,000원이라면 일물일가의 법칙은 환율이 달러 당 1,000원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 <=상품재정거래(commodity arbitrage transaction)의 역할

  17. 2.환율의 장기결정이론 (1)구매력평가이론(PPP: Purchasing Power Parity theory) 2)구매력평가이론의 의미와 의의 *물가수준과 환율간의 장기적 관계를 설명하는 이론 *균형환율은 두 나라 통화의 구매력의 비율과 같음 =>구매력은물가수준과 반비례의 관계에 있으므로 균형환율은 두 나라의 물가수준의 비율과 같아야 한다는 의미 =>PPP 이론은 두 통화간의 환율은 두 나라의 물가수준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하여 조정된다는 것 *PPP이론은 나라전체의 상품에 대해 일물일가의 법칙을 적용한 것 -한국물가가 미국물가에 비해 10% 상승한다면 달러당 원화는 10% 절하될 것임 -한 나라의 물가가 오르면 그 통화는 절하되고 물가가 상대적으로 내리면 그 통화는 절상이 됨

  18. 2.환율의 장기결정이론 (1)구매력평가이론(Purchasing Power Parity theory) 2)구매력평가이론의 의미와 의의 *절대적 구매력평가이론(absolute version of PPP theory) -균형환율은 두 나라의 물가수준의 비율과 같아야 한다는 이론 =구매력 평가(등가)조건(purchasing power parity condition) -e는 구매력 평가환율(균형환율), P는 국내물가수준(원화표시), P*는 외국(미국이라고 가정) 물가수준(달러표시) (8-3) P = eP* => (8-4) e=P/P* *상대적 구매력평가이론(relative version of PPP theory) -균형환율이 두 나라의 인플레이션율의 차이만큼 변동한다고 보는 이론

  19. 2.환율의 장기결정이론 (1)구매력평가이론 3)구매력평가이론의 한계와 문제점 *PPP이론은 환율의 장기움직임에 대해서는 일부 설명을 제공하지만 완전한 것이 아니며 단기적으로는 매우 빈약한 예측능력을 보임 *실증분석에서 구매력평가이론이 잘 성립하지 않는 이유 ①모든 상품이 두 나라에서 동일하다는 가정이 성립되지 않음 -상품에 대한 특별한 선호존재 ②무역장벽이 존재하여 완전한 자유무역이 어려움 ③수송비 등 거래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교역이 전혀 되지 않는 비교역재(non-tradable goods)가 존재 ④불완전경쟁과 이에 따른 가격의 경직성이 존재

  20. 2.환율의 장기결정이론 (2)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장기적 요인 *장기적으로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①상대물가수준 ②상대적 생산성(상대적 성장률) ③국내상품과 외국상품에 대한 상대적 선호 ④관세와 쿼터(quota) 등무역장벽 ①상대물가수준 -미국물가가 국내물가보다 빨리 상승하면 미국상품과 금융자산에 대한 수요감소 =>달러의 수요를 감소시킴 =>환율하락(원화의 절상, 달러의 절하)

  21. 2.환율의 장기결정이론 (2)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장기적 요인 ②상대적 생산성(상대적 성장률) -우리나라의 상대적인 생산성상승은 국내재화에 대한 미국수요를 증가시키므로 달러의 공급이 증가하고 환율하락(원화의 절상, 달러의 절하) ③국내상품과 외국상품에 대한 상대적 선호 -미국상품에 대한 선호가 증가한다면 달러의 수요가 증가하므로 환율상승(달러절상, 원화절하) ④관세와 쿼터(quota) 등무역장벽 -미국 자동차에 대해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산자동차에 대한 수요를 감소시켜 달러에 대한 수요를 감소시키며 환율하락(달러절하, 원화절상)

  22. 3. 단기외환시장모형 *단기에서의 환율의 결정문제를 보는 기본적인 접근방법은 자산시장 접근방법(asset market approach) -자산시장접근방법이 호소력을 가지게 된 이유는 변동환율제에서 환율이 경상수지를 균형시키는 수준에서 결정되지 않는 최대의 요인은 예상 밖의 대량의 자본이동이 발생하였다는 사실 때문 *자산시장접근방법에는 -국내자산과 해외자산을 완전대체자산으로 보는 이론 환위험만 존재=국내자산과 외국자산의 기대수익률 간에 차이가 날 수 없음 커버되지 않은 이자율평형조건(uncovered interest parity condition) 성립 -불완전대체관계로 보는 이론 위험프리미엄(환위험, 유동성위험,부도위험 등)을 요구 커버되지 않은 이자율평형조건 불성립

  23. 3. 단기외환시장모형 *자산시장접근방법에서 -환율이란 한 자산을 다른 자산으로 나타낸 가격이기 때문에 환율의 단기움직임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핵심적인 사항은 ‘환율이 외국자산(외국통화로 표시된 은행예금, 채권, 주식 등)과 국내자산(국내통화로 표시된 은행예금, 채권, 주식 등)의 상대가격’이라는 사실 -환율의 장기결정요인과 중기적 결정요인도 예상을 통해 단기자산시장접근방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

  24. 3. 단기외환시장모형 (1)이자율평형조건(interest parity condition) 1)달러자산과 원화자산에 대한 기대수익의 비교 -달러자산과 원화자산이 완전대체자산이라고 가정(환위험 이외에는 아무런 위험이 없다고 가정) -달러자산(달러표시자산) -원화자산(원화표시자산) -자산수요이론에 의하면 달러자산과 원화자산에 대한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이들 자산의 상대적인 기대수익 =>달러자산과 원화자산에 대한 기대수익을 비교하는 것이 중요

  25. 3. 단기외환시장모형 (1)이자율평형조건(interest parity condition) 1)달러자산과 원화자산에 대한 기대수익의 비교 ①우리나라 투자자의 달러자산과 원화자산에 대한 수익률 비교 -원화로 나타내야 함 -어느 자산의 기대수익률이 높으냐에 따라 자산을 선택할 것임 <예시 8-3>달러자산의 원화표시 기대수익률 -현재환율(Et)=1,000원, 1년 후 예상환율( )=1,060원인 경우 달러의 예상절상율( )은 6%. -달러자산이자율( )=5%라면달러자산의 원화표시기대수익률은 11%임

  26. 3. 단기외환시장모형 (1)이자율평형조건(interest parity condition) 1)달러자산과 원화자산에 대한 기대수익의 비교 ②미국투자자의 달러자산과 원화자산에 대한 수익률 비교 -달러화로 나타내야 함 -미국투자자도 어느 자산의 기대수익률이 높으냐에 따라 자산을 선택할 것임 *중요한 것은 원화자산에 대한 달러자산의 상대적 기대수익률(=달러자산기대수익률-원화자산기대수익률)

  27. 3. 단기외환시장모형 (1)이자율평형조건(interest parity condition) 2)이자율평형조건 *자본이동이 자유로운 세계를 가정 -원화자산과 달러자산이 같은 위험과 유동성을 가지며 자본이동에 거의 제약이 없기 때문에 그 자산들은 완전대체자산이라고 가정 -국제적 이자율재정거래(international interest arbitrage transaction)가 발생 =>기대수익에 차이가 없어짐 =>달러자산과 원화자산이 누군가에 의해 소지됨 =>(커버되지 않은) 이자율평형조건(interest parity condition) =0

  28. 3. 단기외환시장모형 (2)자산시장 접근방법에 의한 환율결정이론 *국내자산과 외국자산이 완전대체자산이라는 가정 하에서 이자율평형조건은 외환시장의 균형조건을 나타낼 수도 있으나 많은 경우 원화자산과 달러자산이 완전대체관계에 있다고 가정하기 어려움 *여기서는 자산들이 완전대체관계에 있지 않거나 자본이동이 완전히 자유롭지 않은 상황에서의 환율결정모형을 전개 =>균형환율은 외환시장(달러자산시장)에서의 달러자산에 대한 수요곡선과 달러자산의 공급곡선이 만나는 점에서 결정

  29. 3. 단기외환시장모형 (2)자산시장접근방법에 의한 환율결정이론 1)달러자산에 대한 수요곡선 *달러자산의 수요곡선은 환율의 변화에 따른 달러자산의 수요량의 관계를 나타낸 것

  30. 3. 단기외환시장모형 (2)자산시장접근방법에 의한 환율결정이론 2)달러자산의 공급곡선 *달러자산의 공급곡선은 환율의 변화에 따른 달러자산의 공급량의 관계를나타낸 것 3)외환시장의 균형 *균형상태: 수요량=공급량(B점) -만약 현재환율이 균형환율보다 낮다면 달러자산이 초과수요상태에 있으며 따라서 환율은 상승하여 균형상태로 수렴 =안정적 균형

  31. 3. 단기외환시장모형 (3)균형환율의 변동요인 *환율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달러자산의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을 이동시키는 요인의 파악이 중요 1)달러자산 수요곡선의 이동요인 *달러자산의 수요량은 달러자산의 상대적 기대수익( )에 주로 의존 • , 가 중요한 이동요인 ①미국이자율( )의 변화 *달러자산(미국)이자율의상승 =>다른 것이 주어진 상태에서 달러자산의 상대적 기대수익은 상승=>달러자산수요곡선의 우측이동 =>달러 절상(E 상승)

  32. 3. 단기외환시장모형 (3)균형환율의 변동요인 1)달러자산 수요곡선의 이동요인 ②한국이자율( )의 변화 *원화자산(한국) 이자율의상승 =>다른 것이 주어진 상태에서 달러자산의 상대적 기대수익은 하락 =>달러자산수요곡선의 좌측이동 =>달러 절하, 원화 절상(E 하락) ③)미래예상환율( )의 변화 *미래예상환율의 상승 =>달러의 예상절상의 상승 =>달러자산의 상대적 기대수익의 증가 =>달러수요곡선의 우측이동 =>달러절상, 원화 절하(E 상승)

  33. 3. 단기외환시장모형 (3)균형환율의 변동요인 1)달러자산 수요곡선의 이동요인 ③미래예상환율의 변화 *미래예상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환율의 장기결정요인) -상대적 물가수준, 상대적 생산성, 상대적 관세 및 쿼터, 국내재화와 미국재화에 대한 상대적 선호등 -예컨대, 한국물가에 비해 상대적인 미국물가의 하락예상 =>달러의 미래예상환율의 상승 =>달러수요곡선의 우측이동 =>E(환율)상승(달러절상, 원화절하)

  34. 3. 단기외환시장모형 (3)균형환율의 변동요인 2)달러자산 공급곡선의 이동요인 *국내외환시장(서울외환시장)에의 달러자산의 공급의 변동은 달러자산의 유출입에 의존 -달러자산의 유입은 달러자산공급곡선의 우측이동 유발 달러자산유입요인: 국내이자율의 상대적 상승, 원화의 예상절상, 국내금융시장의 안정화 등 -달러자산의 유출은 달러자산공급곡선의 좌측이동유발 달러자산유출요인: 국내이자율의 상대적 하락, 원화의 예상절하, 국내금융시장의 불안정성 등

  35. 4.단기외환시장모형의 응용 (1)이자율의 변화가 환율에 미치는 영향 *이자율의 변화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이자율변화의 원천을 알아야 함: 명목이자율=실질이자율+예상인플레이션율 ①미국의 국내실질이자율이 상승하여 명목이자율( )이 상승하고 예상인플레이션은 변화하지 않는 경우 -예상 인플레이션이 불변이므로 예상환율도 불변 -원화자산이자율도 불변 -달러자산이자율만 상승 =>달러자산의 상대적 기대수익 상승 =>달러자산의 수요곡선이 우측이동 =>환율(E)상승(달러절상) *한국의 실질이자율이 상승하여 국내명목이자율이 상승하면 원화는 절상됨

  36. 4.단기외환시장모형의 응용 (1)이자율의 변화가 환율에 미치는 영향 ②미국의 명목이자율이 예상인플레이션에 의해 상승하는 경우 -미국의 예상인플레이션의 상승 > 미국명목이자율의 상승 =>예상환율의 하락(예상절상의 감소) > 의 상승 =>달러자산에 대한 상대적 기대수익은 감소 =>달러자산의 수요곡선은 왼쪽으로 이동 =>환율하락(달러 절하, 원화 절상) =>예상인플레이션의 상승에 의해 국내명목이자율이 상승하면 국내통화는 약간 절하됨 *이자율이 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때는 항상 실질이자율과 명목이자율을 구분하여야 함

  37. 4.단기외환시장모형의 응용 (2)통화정책의 변화가 환율에 미치는 영향 ①통화량 목표제(monetary targeting)의 경우 *예상되지 않은 팽창적 통화정책의 경우 -단기: 통화공급증가+물가고정->M/P상승->한국이자율 하락->달러자산수요곡선 우측이동 유발(<그림8-3>의 D1$에서 D2$로) =>환율상승(원화절하)(E1에서 E2로 상승) -장기: 통화공급증가->물가수준상승->한국이자율 원상회복->달러자산기대수익감소->달러자산수요곡선 좌측이동 + 물가상승->미래 예상환율의 상승->달러자산의 상대적 기대수익 증가->달러자산에 대한 수요곡선 우측이동 유발 =>환율은 장기적으로 E2에서 E3로 하락 =환율의 단기적 과잉반응(exchange rate overshooting)

  38. 4.단기외환시장모형의 응용 (2)통화정책의 변화가 환율에 미치는 영향 ①통화량목표제(monetary targeting)의 경우 *예상되지 않은 팽창적 통화정책의 경우

  39. 4.단기외환시장모형의 응용 (2)통화정책의 변화가 환율에 미치는 영향 ①통화량 목표제(monetary targeting)의 경우 *예상된 팽창적 통화정책의 경우 -단기에서 통화공급의 증가가 달러자산의 예상절상률을 처음부터 상승시키므로 달러자산수요곡선은 D4$까지 이동(환율은 E4) -장기에서는이자율은 원상복귀하고 예상환율만 상승하므로 달러자산수요곡선은 D3$로 복귀(환율은 E3) =이경우역시 환율의 단기적 과잉반응(exchange rate overshooting) ②이자율 목표제(interest rate targeting)의 경우 -정책금리(기준금리)를인하하면 이것은 단기적으로 실질이자율하락에 기인한 명목이자율하락을 의미=>환율상승(원화가치하락) -장기적으로는 유동성의 증가로 미래의 예상환율을 상승시키므로 환율은 장기적으로 더욱 상승(원화가치하락)

  40. 4.단기외환시장모형의 응용 (3)환율의 심한 가변성: 예상과 초단기적 요인 *가변성의 이유 -외환시장의 구조적 문제와 외화채무의 구조적 문제 이외에도 ①자산시장접근방법에서는 예상이 환율결정에서 중요 -미래예상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장기적 요인: 물가수준, 인플레이션, 관세, 쿼터, 생산성, 상품에 대한 선호도 -경상수지(상품의 수출입)와 자본수지(외환의 수급, 자본의 유출입)와 같은 중기적 요인들에 대한 예상도 매우 중요 -단기적으로 통화공급이나 이자율에 대한 정책당국(우리나라와 미국)의 결정에 대한 예상도 중요 -통화량목표제의 경우 환율의 과잉반응 (exchange rate overshooting)도 나타남

  41. 4.단기외환시장모형의 응용 (3)환율의 심한 가변성: 예상과 초단기적 요인 *가변성의 이유 ②다음과 같은 초단기적 요인도 환율예상에 영향을 미침 -시장참가자들의 환율에 대한 예상은 국제외환시장동향, 거시경제전망, 당국의 정책방향 등 다양한 초단기적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음: 동일방향의 예상형성 =>동반효과(bandwagon effect), 집단행동(herd behavior) -주변국 환율변동 예) 원-엔화 동조화(coupling) 현상 -각종 정치적, 경제적 뉴스도 시장참가자들의 기대변화를 통해 단기 환율변동에 영향을 미침 -은행의 외환포지션 변동에 대한 예상에도 환율이 영향을 받음

  42. 4.단기외환시장모형의 응용 (3)환율의 심한 가변성: 예상과 초단기적 요인

  43. 8장 외환시장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