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0

국내 분야 별 웹 2.0 서비스 총 분석 및 향후 전망

국내 분야 별 웹 2.0 서비스 총 분석 및 향후 전망. Tracezone consulting CEO 아준영 (bluemoonkr@gmail.com) Tracezone.com. Index. 웹 2.0 서비스의 적용 구분 웹 2.0 서비스의 과거와 현재 국내 분야별 웹 2.0 서비스 적용 사례 향후 전망과 주목할만한 웹 2.0 서비스. 1. 웹 2.0 서비스의 적용 구분. 웹 2.0 웹 서비스에 대한 오해 8:2 웹 플랫폼의 일부로써 웹 2.0 독립 서비스로써 웹 2.0.

Download Presentation

국내 분야 별 웹 2.0 서비스 총 분석 및 향후 전망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국내 분야 별 웹2.0 서비스 총 분석 및 향후 전망 Tracezone consulting CEO 아준영 (bluemoonkr@gmail.com) Tracezone.com

  2. Index • 웹 2.0 서비스의 적용 구분 • 웹 2.0 서비스의 과거와 현재 • 국내 분야별 웹 2.0 서비스 적용 사례 • 향후 전망과 주목할만한 웹 2.0 서비스

  3. 1 웹 2.0 서비스의 적용 구분 • 웹 2.0 웹 서비스에 대한 오해 • 8:2 • 웹 플랫폼의 일부로써 웹 2.0 • 독립 서비스로써 웹 2.0

  4. Show me the case! “cheat key는 베틀넷에서 안 통합니다.”

  5. 몇 가지 의문들… ! 웹 2.0 서비스를 어떻게 구분하지? ! 어디까지 찾지? ! 어떻게 소개하지? ‘…적절한 case가 없으면 어떻게 하지?’

  6. 서비스 로고 수집 • 분류 • 특징 분석 • 공통점 추출 • 향후 전망… ? “여러분은 웹 2.0을 뭐라 생각하십니까? 특히 “웹 2.0 서비스”는 무엇일까요? 어떻게 해야 수십만 개의 웹 사이트에서 “웹 2.0 서비스”만 구분할 수 있을까요?”

  7. 서비스 로고 수집 웹 2.0이 적용되는 현실의 모습

  8. 웹 2.0 서비스의 적용 구분 1.1웹 2.0 웹 사이트에 대한 오해 Ajax 쓰면 웹 2.0 사이트? Flash 쓰면 웹 2.0 사이트? Open ID 쓰면 웹 2.0 사이트? Table layout 안 쓰면 웹 2.0 사이트? Firefox에서 잘 보이면 웹 2.0 사이트? RSS 제공하면 웹 2.0 사이트? Widget 제공하면 웹 2.0 사이트? API open하면 웹 2.0 사이트? Tags만 달 수 있으면 웹 2.0 사이트? Mash-up 하면 웹 2.0 사이트? UCC 쓰면 웹 2.0 사이트? 아이디어가 특이하면 웹 2.0 사이트? “다 구현하면 웹 2.0 사이트?” 이건 웹 2.0의 대표적 기능들이잖아요, 이런 기능이 빠지면 웹 2.0이라 부르기 힘들죠!

  9. 웹 2.0 서비스의 적용 구분 1.2웹 2.0 웹 사이트에 대한 오해 • 웹 2.0이라는 기능을 일부만 구현하면 웹 2.0 사이트인가? • 웹 2.0이라는 기능을 모두 구현한 사이트는 웹 2.0 사이트가 아닌가? • 기존 웹 사이트에 웹 2.0 기능을 구현하면 웹 2.0 사이트인가? • 기능이 별로 중요한 이슈가 아니라면 사업이 중요한가? 이 산은 분명 아니다!!!

  10. 웹 2.0 서비스의 적용 구분 1.3팀 오라일리는 대체 무슨 이야기로 시작했나? • 아마존닷컴을 비롯한 유명한 사이트를 거론했다 • 이들의 공통점을 거론했다 • 그 공통점을 통해 웹이 변화했음을 말했다 • 그걸 웹 2.0이라고 부르는 게 좋다고 제안했다 대박이었죠!

  11. 웹 2.0 서비스의 적용 구분 1.4아차! 그는 이데올로그였다! 이데올로그란? “원래는 '공상적인 언사를 즐겨 쓰는 사람'이라는 뜻인데, B.나폴레옹이 자신의 정치적 야심을 비판하는 급진적 유물론자들을 겨냥하여 쏘아붙인 데서 널리 쓰이게 되었다. 또 K.마르크스가 헤겔좌파(左派)에게 붙여 준 멸칭(蔑稱)이기도 하다. 그러나 현재는 당초의 '공론가(空論家)'라는 뜻이 바뀌어 특정의 계급적 입장이나 당파에서의 대표적인 이론지도자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예컨대 프랑스혁명에서의 E.J.시에예스, 미국독립전쟁에서의 T.페인을 들 수 있듯이, 나폴레옹이 사용했을 때의 경멸적인 의미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 (thank you, 100.naver.com) • 1954년 아일랜드 생. Tim O’Reilly • O’Reilly Media의 창립자이자 프리 소프트웨어, 오픈 소스 운동의 조력자 • 본인은 책 파는 사람만은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음

  12. 웹 2.0 서비스의 적용 구분 1.5그러니까, 웹 2.0 사이트를 기능으로 구분하는 건… 바보들이나 하는 멍청한 짓으로 결국 기술 지상주의자들의헛 짓거리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이런 바보들 때문에 한국 웹 서비스들이 이 모양 이 꼴이다!!! RSS 붙이고, UCC 올리면 다 웹 2.0이라니…나가 죽어랏! “그럼 무엇으로 정의해야 하나?” “상식적인 방법으로!”

  13. 웹 2.0 서비스의 적용 구분 2.1 8:2 8:2란 흔히 ‘파레토의 법칙’으로 알려져 있다. “소득분포에 관한 실증분석면에서의 독창적인 업적을 담은 저서 《경제학강의:Le Cours d’économie politique》(2권, 1896∼1897)를 통해 발표한 내용에 의하면, 소득이 y 이상인 인원수 N(y)와 y와의 사이에는 log N(y)=B-α log y 의 경험적 법칙이 존재한다. 이 경우 α(파레토 定數)의 수치가 클수록 소득의 불평등도는 높다. 그 후의 연구에서는 파레토의 법칙이 성립하는 것은 중 정도의 소득보다 높은 사람들에게 한정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따라서 이 법칙을 이용하여 α를 계측하는 데는 먼저 양대수(兩對數) 그래프에 y와 N을 기입한 다음 양자의 관계가 직선에 가까워지는 범위에 대해 최소자승법을 적용하면 된다. 이 법칙은 부의 분포 비교 등에도 사용된다. 소득분포의 불평등도를 계측하는 방법으로는 파레토의 법칙 이용 외에 로렌츠곡선에 의한 비교, 지브라의 법칙을 사용하는 방식 등이 있다.” (thank you again, 100.naver.com) “이게 훨씬 쉽다”

  14. 웹 2.0 서비스의 적용 구분 2.2웹 2.0 서비스와 Pareto principle Case 1 (한 익명의 제보자) “작년이었어요. 사장님이 갑자기 웹 2.0을 이야기하셨어요. 그냥 그러려니 했죠. 한 달 후 사장님이 “우리 사이트를 웹 2.0으로 리뉴얼하자”고 하셨어요. 석 달 동안 열흘 집에 들어가며 일 했어요. 사이트를 오픈 했어요. 프로젝트 끝나고 한 달 입원했어요. 회사로 돌아 왔더니 사이트에 사람들이 안 온다고 팀을 해체했더라구요. 지금 실업 급여 받고 있어요. 또 이런 일이 닥쳐 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으슥한 뒷골목에서 벽돌 추천합니다

  15. 웹 2.0 서비스의 적용 구분 2.3 80%는 그대로, 20%는 새롭게 파레토의 법칙에 따르자면 100%를 바꾸기 위해 뭔가를 열심히하는 건 비생산적입니다. 파레토의 법칙에 의하면 항상 20%가80%의 결과를 낳게 하니 20%만 바꾸면 됩니다…라고 이야기하면바보. 요즘은 Long tail이 대세. 그러나 분명한 것은 웹 2.0 웹 서비스라고 이야기하는 대부분의웹 사이트들은 20% 정도만 새로운 기능이나 콘셉트, 콘텐츠, 커뮤니티가 있으며 80%는 과거와 다를 바 없었습니다. 더 중요한 것은 20%의 선진적 사용자가 변화를 추동 했고 80%의 일상에 바쁜 사용자는 fashion을 따르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16. 웹 2.0 서비스의 적용 구분 2.4 80%와 20%의 구분 Business Model RIA “하나만 선택할 수 밖에 없어요” Community Contents CMS 어떻게 하나만 선택해요! 이런 요소가 모두 있어야 사업에서 성공할 수 있잖아요! Technical advance

  17. 웹 2.0 서비스의 적용 구분 2.5 100% 옹호자에 대한 조언 자본금 1조원이 있나요? 돈 많으면 NHN을 사세요. 사이트를 아무리 바꿔도 사용자가 바뀌지 않으면? 웹 2.0이 단지 기능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면? 웹 2.0에 대한 이야기 중 어떤 것도 성공을 보장하지 못한다면?

  18. 웹 2.0 서비스의 적용 구분 3. 웹 플랫폼의 일부로써 웹 2.0 웹에서 우리가 쓸 수 있는 어떤 것을 업데이트하는 것으로써 웹 2.0 Ajax를 구현하려는 많은 프로그래머가 참조하는 prototype.js Open API를 통해 동일하게 출력되는 결과 (google api, naver api, amazon api) RSS는 새로운 RSS를 낳고, 그 RSS가 또 새로운 RSS를 낳고… 콘텐츠에 Tagging, 모바일 한 줄 로그, 더 쉬워진 개발? 새로운 브라우저를 열지 않고 진행되는 프로세스 이건 어디서나 볼 수 있어! “CGV는 flash로 구현되어 있습니다!”

  19. 웹 2.0 서비스의 적용 구분 4. 독립 서비스로써 웹 2.0 이게 무슨 서비스인가 종잡을 수 없다, 그런데 뭔가 다르긴 하다 웹 사이트에 “웹 2.0 서비스”라고 쓰여 있고 ‘베타’라고 스스로 칭하고 있다 북미나 다른 나라에 비슷한 서비스가 있지만 한국이라서 다르다고 한다 회사 만들어진 지 3년이 되지 않았다. 오! 멋진데!

  20. 웹 2.0 서비스의 적용 구분 *. 8:2 법칙으로 이해해야 하는 이유 1998년 즈음의 호황기 (흔히 닷컴 버블이라 불리는)는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우리가 아무리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고 싶어도 80%는 이미 나와 있다. 자원과 능력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80%를 혁신하려는 사업자에게 찬사를 보낸다. 웹 2.0 서비스는 100%의 혁신이 아니라 20%의 혁신이다. 나머지 80%의 혁신을 담당하는 기업이 있다, 예컨데 구글이나 NHN이다. 20%의 혁신을 담당할 다수의 기업과 80%의 혁신을 담당할 현재 선두 기업이 필요하다.

  21. 2 웹 2.0 서비스의 과거와 현재 • 2006년의 웹 2.0 • 2008년의 웹 2.0 • 힘겨운 숙성 과정

  22. 웹 2.0 서비스의 과거와 현재 1. 2006년의 웹 2.0 행 복 했 던 순 간 들 “개념 자체에 대해 고민하던 시절”

  23. 웹 2.0 서비스의 과거와 현재 2. 2008년의 웹 2.0 해 볼만큼 해 봤다 북미나 유럽이나 일본이나 중국이나 다를 것 별로 없다 이제 무엇을 더 해야 하나? 근데 우리가 도전하면 누가 우리를 도와줄 수 있는가?

  24. 웹 2.0 서비스의 과거와 현재 3.1힘겨운 숙성 과정 2006년에 나왔던 한국의 웹2.0 사이트는 무엇이 있습니까? 이들은 현재 어떤 상황일까요? 3개의 키워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나는? • 색다른 콘텐츠 • 색다른 커뮤니티 • 색다른 비즈니스 모델

  25. 웹 2.0 서비스의 과거와 현재 3.2현재 상황 Wzd.com, Wingbus, Openmaru, Allblog, Tatter&Company, Oralog, Hanrss, Qbox, Revu, Me2day… “블로그”만 관심있거나 운영하기에 가장 저렴한 비용 구조거나… 다시 3개의 키워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 색다른 콘텐츠  User가 색다른 콘텐츠를 주지 않는다 • 색다른 커뮤니티  User가 색다른 커뮤니티를 만들지 않는다 • 색다른 비즈니스 모델  User가 색다른…

  26. 웹 2.0 서비스의 과거와 현재 4. Case Study ▶ Wzd.com의 사례 Openmaru의 사례 Wingbus의 사례 Tatter&company의 사례 Hanrss의 사례 Qbox의 사례 Revu의 사례 Me2day의 사례 • 사업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 • 한국 웹 생태계의 특이성 문제 ▶ • “Brand Yourself!” • 블로그 비즈니스의 전형성을 보이는 회사 • 개발사에서 미디어&마케팅 컴퍼니로 전환 • 티스토리 이후 새로운 서비스는 언제쯤? • 너무 많은 꿈을 정리하는 단계, 성과물은? • “우리가 만드는 포털” • 꾸준한 Widget 개발과 건전한(?) 벤처리즘 • 사용자정의 홈페이지의 시장성 문제 • 언제까지 Netvibes와 비교할 것인가? • Killer contents의 부재를 넘어설 방법은? • “me too” • 한 줄 블로그에 대한 인지 활성화에 도움 • SKT Tossi.com 개발에 영향(만) • 강력하고 독특한 커뮤니티 형성 • 일본에서 만들었다면 비즈니스가 되었을 수? • “세상 모든 것에 대한 리뷰” • 사용자 평판 관련 서비스 구축 시 샘플 • 웹 플랫폼 업데이트에 아이디어로써 영향 • 독립 플랫폼 개발은 지지부진 • 기존 리뷰 커뮤니티와 차별성은? • “Network Music Q~” • 블로그, 미니홈피 배경음악 공유, 검색 서비스 • 대단하다와 얄팍하다의 찬사와 비난 • 음반 업계의 화두에 정면 도전한 서비스 • 너무 느리게 진행되어 도무지 뭘 하는지… • “웹 기반 RSS 리더” • RSS 리더로써 안정적 서비스 제공 • RSS 기술전문기업 혹은 시스템 구축 • 한국 블로고스피어의 한계성에 종속적 • 비즈니스에 대한 동상이몽? • “자유 여행의 날개” • 여행 업계 웹 서비스에 영향 • 블로그 콘텐츠와 여행 정보의 mixing • 업계 참조에서 필수 서비스로 전환 과제는? • 지식발전소 여행 서비스가 떠 오르는 이유는? • “오픈마루 스튜디오” • 국내 웹 서비스 업계에 신선한 충격 • 오픈아이디,레몬펜,스프링노트 • NCSoft의 보호는 언제까지 계속될 것인가? • 실험적 서비스를 넘어 선 대중적인 서비스는? ▶ ▶ ▶ ▶ ▶ ▶

  27. 3 국내 분야별 웹 2.0 서비스 적용 사례 • 커머스 부문 • 커뮤니티 부문 • 콘텐츠 부문 • 금융 부문 • 공공기관

  28. 커머스 부문 1. SKT, 11번가 • 주목 이유 “웹 2.0 기능이 가격 경쟁력을 넘어설 수 있을 것인가?” • 주요 이슈 • 웹 커머스 플랫폼에 대한 공격적 도전 • 만드는 재미는 있었지만 쓰는 재미는? • 다른 플레이어들의 반격 형태 • 문제점 • Customer 2.0 즉 고객의 요구에 대한전향적 이해 부족 : 고객 대상화 • Heavy format으로 인한 관리 문제

  29. 커머스 부문 2. 이니시스, INIP2P • 주목 이유 “공개된 지불 시스템에 대한 도전은 성공할 것인가?” • 주요 이슈 •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인지하고 있는가 • 블로그에 포커싱하는 것이 맞는가? • 경쟁자들을 움직이게 할 것인가? • 문제점 • 공개된 지불 시스템의 악용 가능성 • 강력한 확산 속도 보장을 위한 방안은 • 반쯤 발 넣어 놓기?

  30. 커뮤니티 부문 1. SK communication, 싸이월드 • 주목 이유 “웹 2.0을 이렇게 구현하면 망한다는 대표적 사례” • 주요 이슈 • 싸이월드에 대한 사업적 강박 관념 • 웹 2.0이 아닌 user friendly service • 닫힌 계와 열린 계의 콘텐츠 • 문제점 • 사업적 전망으로 인해 웹 서비스의 완결성이 강제된 전형적 사례 • 그래도 포기할 수 없어 상황은 악화일로

  31. 커뮤니티 부문 2. NHN, 네이버 블로그 • 주목 이유 “한국 웹 생태계의 가장 큰 걸림돌이 될 것인가?” • 주요 이슈 • 메타 블로그, 광고 분배형 수익 모델 • 영향력 대비 과도한 압박 • 점진적 진화? 혹은 고의적 지연? • 문제점 • 블로그 정책은 어디로 흘러가는 중? • 간담회, 블로거 컨퍼런스 등 행사 중심 • 블로고스피어에 대한 실망감 형성(펌,광고, 편향적 콘텐츠로 인한) 요인 제공

  32. 콘텐츠 부문 1. 다음, 블로거뉴스 • 주목 이유 “포털의 트래픽을 나눠주는 포털 메타 블로그의 전형이 될 것인가?” • 주요 이슈 • 비전문적 콘텐츠의 난립과 제어는? • 미디어 서비스인가 콘텐츠 서비스인가 • 네이버가 움직인다면? • 문제점 • 편집자에 의한 트래픽 분배 • 독립 플랫폼으로써 과제 제시 미흡 • 타 분야 비즈니스 로직과 연계성 미흡(애드클릭스)

  33. 금융 부문 1. NH, 뱅크미 • 주목 이유 “웹 2.0 기능이 금융 부문에서어떤 부분까지 적용 가능한가?” • 주요 이슈 • 전형적인 웹 2.0 기능 구현 • 온라인 뱅킹 보안과 웹 2.0 기능의 충돌 • 온라인 뱅킹 사이트의 생활 접근성 • 문제점 • 금융포탈을 왜 직접 설계해야 하나?귀찮게. • 발상의 전환 : “가난한 자를 위한 은행”

  34. 공공기관 1. 농촌공사, 웰촌 • 주목 이유 “공공기관의 웹 2.0 서비스는 웹 서비스 이전에 세금으로 만드는 것” • 주요 이슈 • 굉장히 많은 웹2.0 기능 포함, GIS까지! • 저렴한 사용자 풀(user pool) • 공공기관이 웹에서 해야 할 일은? • 문제점 • 도움이 되는 서비스가 되려는 욕망과관심 없다는 사용자의 충돌 • 웹 2.0에 대한 피상적 이해

  35. 보너스 : 부모 2.0 • 주목 이유 “작명 센스” 열심히 만든 사이트를 유머 소재로 쓰는 건 좋지 못해요!

  36. 4 향후 전망과 주목할만한 웹 2.0 서비스 • 종합 전망과 웹 플랫폼의 변화 • 주목할만한 웹 2.0 서비스

  37. 종합 전망과 웹 플랫폼의 변화 1. 웹 2.0 서비스의 확대 재생산 • 웹의 고유한 플랫폼 속성 강화 • 개방과 공유의 속성 강화 • 콘텐츠 중요성 지속적 강화 • 보다 빠른 콘텐츠 소비와 콘텐츠 생산 속도의 둔화 • 독립 서비스보다 플랫폼 업데이트 • 웹 2.0을 콘셉트로 내세운 독립 서비스의 성공 가능성 취약 • “웹 2.0”때문이 아니라 “사용자 욕구 해소”를 통한 독립 서비스가 성공 • 웹 2.0에서 추구하는 가치는 플랫폼 업데이트 수준에서 지속적으로 발전 • embeded linux와 같은 형태로 웹 2.0은 생활 속으로 침투

  38. 주목할만한 웹 2.0 서비스 1. 이슈를 만들 수 있는 웹 2.0 서비스 사용자의 참여는 필수적이며 일정 수준 이상의 U/V가 보장되어야 함 Refer를 계속 발생시킬 수 있는 웹 2.0 서비스 : 커뮤니티 관련 2. 신뢰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웹 2.0 서비스 한국 콘텐츠의 폐쇄성(국지성, 미디어 독점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웹 서비스 : 미디어 관련 휘발성 콘텐츠가 아닌 장기적 보존 가치가 있는 콘텐츠를 생산하는 웹 서비스 : wingbus.com 3. 실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웹 2.0 서비스 일일 생활권에 포함되는 지역권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하는 웹 2.0 서비스 : 부동산 관련 IPTV와 같은 컨버전스 영역에 live contents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 교통 정보, 쇼핑 관련

  39. Where is Korea web 2.0? Local or Global

  40. 감사합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