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 likes | 185 Views
장안의 모든 엄마들의 화제 !!. 수학 을 잘 하기 위한 방법 학습 제안. 순서적 체계적으로 개념을 익혀서 평범한 학생도 초 6 때 중 3 과정의 개념까지 완성하여 명문대 입학의 조건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 지금까지는 영재들만 가능했던 학습이지만 프로그램이면 평범한 학 생도 초 6 학년때 중 3 의 개념을 완성하여 수학공부에 자신감을 가지고 문제해 결능력 ,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는 아주 특별한 수학공부 방법입니다. 장마철임에도 불구하고 자녀교육에 지대한 관심을 갖고 참석
E N D
장안의 모든 엄마들의 화제!! 수학을 잘 하기 위한 방법 학습 제안 순서적 체계적으로 개념을 익혀서 평범한 학생도 초6때 중3과정의 개념까지 완성하여 명문대 입학의 조건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지금까지는 영재들만 가능했던 학습이지만 프로그램이면 평범한 학 생도 초6학년때 중3의 개념을 완성하여 수학공부에 자신감을 가지고 문제해 결능력,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는 아주 특별한 수학공부 방법입니다. 장마철임에도 불구하고 자녀교육에 지대한 관심을 갖고 참석 해주신 학부모님께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1. ◆나누기를 어려워하는 이유??◆ 지금까지 덧샘,뺄셈,곱셈은 뒤에서부터 하다가 나누기는 앞에서부터 계산해야 하니까 어렵게 느낀다. ◆구구단?◆ (1) 구구단의 개념: 같은 수 더하기 구구단을 덧셈 식으로 직접 같은 수를 더해봐야 개념을 확실히 알고 또한, 구구단의 필요성과 개념을 안다 (2) 구구단 파헤치기 1>.짝수단 5씩 건너 뛰어서 일의 자리수가 같으면 같은 일의자리수가 두 번 나온다(짝수) 예시 2×1=2 2×2=2+2 2×3=2+2+2 . . . . 2×10=2+2+2+2+2+2+2+2+2+2 2×20=숙제 2×30=숙제 (2×1=2, 2×6=12 ) 3 (3, 8) × 2 7 6 (4×4=16, 4×9=36 ) 2>.홀수단 일의 자리수가 같은수가 없고 1부터~9까지 나오는 규칙 • 2 3 • × (7) • 1 6 1 (3×1=3, 3×2=6 , 3×3=9, 3×4=12 3×5=15, 3×6=18 ……. ) 3>3단은 제외
2. 숫자판활용 1 떠오르는 수 활용하여 여러 가지로 계산하기 2 기준수 연습 3 5를 기준, 10,15,20,25,30,35,40,45,50,…100기준하기 선생님 놀이4 학생들의 심리는 옆 사람에게 어렵게 내려고 한다. 그러나 문제를 학생이 내어서 정답을 미리 적어두어 짝과 바꿔 풀고 채점까지 하도록 한다. 그러면 좀더 쉽게 내려고 한다. 채점 시 꼭 칭찬을 하라 (가희~참 잘했어요^^ 좀 더 노력하세요~^^) ………학생들의 집중도가 최상이다. ………문제낼 때 16문항(한자릿수+한자릿수부터)정도를 기준. 사람의 뇌는 앞에서부터 계산하는 것이 쉽다고 느낀다. 예1>2+2,4+4,8+8,16+16,32+32,64+64 예2>128+128처럼 수가 커지면 뒤에서부터 계산 할려고 하니 어렵게 느낀다. 5종세트를 숫자판으로 활용하여 연습한다. 두 자릿수와 한자리수의 덧셈연습 두 자릿수와 두 자리수의 덧셈 세 수의 덧셈에 10을 기준으로 계산하기 다섯 수의 덧셈에 20을 기준으로 계산하기 다섯 수의 덧셈을 20을 기준으로 계산하기
3. 5) 10보수 만들기 9+1, 8+2, 7+3, 6+4 ,5+5, 6+4,7+3 ,8+2, 9+1 다비수 5종세트 2) 5만들기 1) 같은 수 더하기 • 4+1=5, 3+2=5, 2+3=5, 1+4=5 • 수 개념을 모를 때 이해시키는 방법 • 예1> 사탕5개 가지고 컵으로 가려가면서 • 상세하교 학습 • 얘2> 그 외 다양한 방법으로 지도 1+1=2, 2+2=4, 3+3=6, 4+4=8, 5+5=10 * 모으기와 가르기의 반복 연습 * 10 5 ^5 8 4 ^4 6 3^3 4 2^2 2 1^1 3) 5를 기준으로 수 가르기 4) 6이상 같은 수 가르기 6 + 6= 12 7 + 7= 14, 8 + 8= 16 *7세 수학도구 :계란판 활용 (내용물은 사탕, 비스켓) 6=5+1 7=5+2, 8=5+3, 9=5+4, 10=5+5 3^3 4^4 5^1 5^1 5^2 5^2 5^3 5^3 5) 10보수 만들기 9+1, 8+2, 7+3, 6+4 ,5+5, 6+4,7+3 ,8+2, 9+1
1. 오창영 논술수학(방정식1) 초등3학년 이상이면 중3실력 끝낸다!! ◆수학 앞서가기-영역별 학습의 효과와 그 응용◆ 선행학습이 아니라 생각하는 힘을 길러 평범한 뇌를 영재의 뇌로 바꾸어 놓는다. ◆우리나라 수학 교육의 현실◆ ==중학교, 고1때 수학 포기== “수학”은 학생들이 배우면 배울수록 어려워하고 심지어는 초등학교 저학년때 기초와 개념부족으로 중학교부터 수학을 포기하는 학생들이 있으며, 초,중때 수학을 잘했던 학생들도 고등학교 1학년 2학기때 쯤 되면 수학을 포기하는 학생들이 많습니다.※고1-1 수학단원 ( 중학교 심화 과정 ) ; 수와 연산, 문자와 식(다항식과 연산, 인수분해와 약수 배수), 방정식과 부등식 ◆ 수학을 잘 하기 위한 방법(목적,개념,순서) 1.목적 왜! 수학을 배우는지 명확하게 알아야 한다. 수학을 배우는 목적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중요한 것은 논리적인 생각을 길러서 문제해결능력을 길러주는 것입니다. 즉 생각하는 힘을 길러 주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 목적 ; 논리적인 생각을 길러서 문제해결능력 → 생각하는 힘 2.개념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개념위주로 학습을 시켜야 합니다.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시켜서 다양한 방법으로 문제를 풀어 봄으로서 직관력과 생각하는 힘이 길러집니다. ※ 개념위주의 교육 → 생각하는 힘 3.순서 모든 학습이 순서가 중요하지만 특히 수학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공부하면 최고의 효과를볼 수 있습니다. 즉, 사칙연산 → 분수 → 방정식 → 서술형, 함수로 이어지는 학습순서로 수학을 공부하면 매우 효율적인 학습이 이루어집니다. ※ 수학의 효율적 학습 순서도 사칙연산 → 분수 → 방정식 → 서술형, 함수
3. 오창영 논술수학 (방정식2) ◆수학을 잘 하려면 배우는 순서가 중요합니다◆ 수학의 효율적 학습 순서도 사칙연산 → 분수 → 방정식 → 서술형,함수 1.사칙연산 ; 다비수1( 초등 1,2,3학년 )→다양한 비법 5종세트 2.분수(유리수) ; 다비수 2 ( 초등 3,4,5,6학년 ) 3.방정식 (오창영 논리수학:방정식 끝내줘 버려!!) { 방정식 시리즈 구성 } (1) 1권 ; 부호, 수, 변, 항 : +,- 의 명칭과 의미 / 숫자,수,수직선 /식의 구성 /항의 구성, 항 구별 (2) 2권 ; 항끼리의 계산: 정수와 유리수의 사칙 연산 / 부호와 부호 사이의 괄호 / ×÷ 생략 / 괄호풀기 / 지수 / 1의 생략 (3) 3권 ; 이항, 동류항, 상수항, 미지항의 의미 동류항, 상수항, 미지항을 찾아내는 목적 ; 항의 정리와 식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4) 4권 ; 방정식 / 방정식 푸는 법 방정식은 왜 배우나(서술형 문제해결,1차함수;그래프 300번 정도 연습 )
3. 오창영 논술수학 (방정식2) ◆방정식을 초등학교 4학년때 알아야 하는 이유?◆ 초등학생도 서술형 문제의 식을 세우는 것 자체를 어려워합니다. 그래서 많은 유형의 문제를 풀고 익히게 합니다. 그러나 근본적인 개념을 모르면 조금만 유형을 바꾸어도 틀립니다. 여기서 개념이 곧 방정식입니다. 즉, 좌변, 우변, 항 구별, 항 정리 등의 개념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 방정식을 통해 } 1.서술형 2.풀이과정 3.1차 함수를 익힘으로써 수학에 강한 자신감을 가진다. ※영재;서술형 문제 해결을 잘하나 풀이과정은 미흡하다 ※평범;대부분 서술형 문제를 보는 순간 포기한다.(근본적인 개념이 없어서) →방정식 개념이 잘 되어 있을 때는 서술형, 풀이과정을 잘 해결한다 →평범한 학생을 영재화 만든다. →교과 시험은 저절로 해결 ※수학은 풀이과정이 매우 중요 ; 틀릴 경우 틀린 이유를 찾아 해결한다 ※수학은 오답노트가 필수 ; 틀린 문제는 반드시 알 때까지 풀어본다
장안의 모든 엄마들의 화제!! 수학을 잘 하기 위한 방법 학습 세미나 1.세미나 주제: 수학 잘 하기 위한 방법 2.세미나 내용 - 다양한 비법의 사칙연산 (초 1~3 학년) - 방정식 끝내줘 버려 (초 3~6학년, 중학생) 3.대상: 7세,초등, 중등 학부모님 4.장소: 학원 5.일시: 년 월 일 () 오후 : 분 6.강사: “ 다양한 비법의 수학”저자 직강: 양후기 “ 방정식 끝내줘 버려”강사 : 권혁진 장마철임에도 불구하고 자녀교육에 지대한 관심을 갖고 참석 해주신 학부모님께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