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 likes | 488 Views
조선 시대 복식. 박문여고 김 옥 미. 대례복. 왕 – 제복 왕비 - 적의. 이방자 여사가 소유하고 있던 옷으로 재현한 것. 제복. 곤복 면류관. 상복. 곤룡포 익선관. 조복. 강사포 원유관. 백관복. 구군복과 전립. 조복과 홀. 흉배. 상복에 이용 문관 – 학 무관 - 호랑이. 조선 초기 궁중 여인 의상. 저고리 길이 변화. 길이가 짧아져 허리띠를 따로 두름 . 옷고름 , 곁마기도 좁고 짧아짐 . 가체를 씀. 길이가 짧은 저고리. 대란치마.
E N D
조선 시대 복식 박문여고 김 옥 미
대례복 왕 –제복 왕비 - 적의 이방자 여사가 소유하고 있던 옷으로 재현한 것
제복 • 곤복 • 면류관
상복 • 곤룡포 • 익선관
조복 • 강사포 • 원유관
백관복 구군복과 전립 조복과 홀
흉배 • 상복에 이용 • 문관 –학 • 무관 - 호랑이
저고리 길이 변화 • 길이가 짧아져 허리띠를 따로 두름. • 옷고름, 곁마기도 좁고 짧아짐. • 가체를 씀.
대란치마 • 스란단이 두 개 • 스란단 문양 왕비 –용문 공주 –봉황문 사대부 여인- 글자,화문
적의 왕비와 왕세자비의 대례복
활옷 상류층의 혼례복 후에는 서민들도 착용
원삼 • 성장 예복 • 황후-황원삼 • 왕후-홍원삼 • 공주,반가녀-녹원삼 • 서민-혼례복
당의 • 간이 예복-평례복 위에 입는 소례복 • 왕족 –직금과 부금을 함. • 겨울 –녹색,자색 겹당의 • 여름 –흰색 홑당의
머리장식 조바위 조바위 남바위 아얌 남바위 굴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