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 likes | 435 Views
다문화 가정 아동. 다문화 가정 아동. 2012 년 9 월 보도에 따르면 , 국내에 거주하는 다문화 학생은 4 만 6954 명 , 지난해보다 21% 늘어난 수치 그리고 계속해서 늘어날 추세. 다문화 아동들은 의사소통의 어려움 , 피부색으로 인한 차별 , 학업성적 저하 , 또래관계형성의 어려움 , 왕따 등 다중적인 문제를 겪고 있다. 성인이 된 후 18 세 이상 혼혈인들의 43.3% 가 단순 노동직에 종사하고 있었으며 사무직에 있는 혼혈인은 단지 1.6% 에 불과했고
E N D
다문화 가정 아동 2012년9월 보도에 따르면, 국내에 거주하는 다문화 학생은 4만 6954명, 지난해보다 21%늘어난 수치 그리고 계속해서 늘어날 추세
다문화 아동들은 의사소통의 어려움, 피부색으로 인한 차별, 학업성적 저하, 또래관계형성의 어려움, 왕따 등 다중적인 문제를 겪고 있다.
성인이 된 후 18세 이상 혼혈인들의43.3%가 단순 노동직에 종사하고 있었으며 사무직에 있는 혼혈인은 단지 1.6%에 불과했고 미취업자들도 13.2%에 달했다.
다수의 다문화 아동이 재학중인 인천의 모 중학교 교장은 “매년 중학교에 유입되는 다문화가정 청소년 수는 거의 두 배씩 증가하고 있는데 그 중 정상적으로 교과 과정을 마치는 수는 그 절반도 안 된다”며 “이들이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고 중퇴하면서 한국 사회에 대한 불만과 증오심을가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다문화 가정 아이들의 상황 다문화 아동들 10중 4명은 고등학교 포기 중도입국 자녀는 30%만 진학
학교에서는 왕따를 당하거나, 집단 따돌림을 당하며
그런 학생들은 후에 학교 폭력, 집단 따돌림, 학교물건 파손 등 일탈행동을 할 확률이 높다고 한다 (▽서울 경제신문)
크게는 반감으로 사회에 불만을 가지며 폭력조직, 폭주족, 방화 등 일탈행동을 행한다 (▽시사 in)
이렇게 다문화 아동의 문제가 심각함에도 우리나라 학생들은 다문화 교육의 경험이 거의 없다
<아노미론> 다문화 아동이 꾸준히 늘어남에도 그에 대한 규범이나, 법, 사회의 배려는 취약
<낙인 이론> “다문화 학생 남으세요” “오늘 수업 후 다문화 잠깐 남아있어” 다문화 아이들을 일반아이들과 다르게 대하고 평가하며 선을 그어 다문화 아이들을 ‘다른’ 아이로 낙인 찍음
다문화 아동 문제 해결방안 우선은 아이들이 학교에서 이탈하지 않고 상처를 덜 받으면서 성장하는 것이 중요함으로
우리나라 학생들을 상대로 하는 다문화 교육도 시급하다
국가는 다문화 2세들을 전담하는 교원도 늘리고 특정 지역에 이주노동자나 다문화 가정이 밀집해서 살기보다는 섞여서 살아갈 수 있도록 정책을 마련해야 하며
결정적으로 우리사회의 구성원모두는 제도나 법보다 사회의 편견과 배제의 시선 을 사랑과 존중 이해와 배려의 시선으로 바꿔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