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8

다문화 가정 아동

다문화 가정 아동. 다문화 가정 아동. 2012 년 9 월 보도에 따르면 , 국내에 거주하는 다문화 학생은 4 만 6954 명 , 지난해보다 21% 늘어난 수치 그리고 계속해서 늘어날 추세. 다문화 아동들은 의사소통의 어려움 , 피부색으로 인한 차별 , 학업성적 저하 , 또래관계형성의 어려움 , 왕따 등 다중적인 문제를 겪고 있다. 성인이 된 후 18 세 이상 혼혈인들의 43.3% 가 단순 노동직에 종사하고 있었으며 사무직에 있는 혼혈인은 단지 1.6% 에 불과했고

binta
Download Presentation

다문화 가정 아동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다문화 가정 아동

  2. 다문화 가정 아동 2012년9월 보도에 따르면, 국내에 거주하는 다문화 학생은 4만 6954명, 지난해보다 21%늘어난 수치 그리고 계속해서 늘어날 추세

  3. 다문화 아동들은 의사소통의 어려움, 피부색으로 인한 차별, 학업성적 저하, 또래관계형성의 어려움, 왕따 등 다중적인 문제를 겪고 있다.

  4. 성인이 된 후 18세 이상 혼혈인들의43.3%가 단순 노동직에 종사하고 있었으며 사무직에 있는 혼혈인은 단지 1.6%에 불과했고 미취업자들도 13.2%에 달했다.

  5. 다수의 다문화 아동이 재학중인 인천의 모 중학교 교장은 “매년 중학교에 유입되는 다문화가정 청소년 수는 거의 두 배씩 증가하고 있는데 그 중 정상적으로 교과 과정을 마치는 수는 그 절반도 안 된다”며 “이들이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고 중퇴하면서 한국 사회에 대한 불만과 증오심을가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6. 다문화 가정 아이들의 상황 다문화 아동들 10중 4명은 고등학교 포기 중도입국 자녀는 30%만 진학

  7. 학교에서는 왕따를 당하거나, 집단 따돌림을 당하며

  8. 그런 학생들은 후에 학교 폭력, 집단 따돌림, 학교물건 파손 등 일탈행동을 할 확률이 높다고 한다 (▽서울 경제신문)

  9. 크게는 반감으로 사회에 불만을 가지며 폭력조직, 폭주족, 방화 등 일탈행동을 행한다 (▽시사 in)

  10. 이렇게 다문화 아동의 문제가 심각함에도 우리나라 학생들은 다문화 교육의 경험이 거의 없다

  11. <아노미론> 다문화 아동이 꾸준히 늘어남에도 그에 대한 규범이나, 법, 사회의 배려는 취약

  12. <낙인 이론> “다문화 학생 남으세요” “오늘 수업 후 다문화 잠깐 남아있어” 다문화 아이들을 일반아이들과 다르게 대하고 평가하며 선을 그어 다문화 아이들을 ‘다른’ 아이로 낙인 찍음

  13. 다문화 아동 문제 해결방안 우선은 아이들이 학교에서 이탈하지 않고 상처를 덜 받으면서 성장하는 것이 중요함으로

  14. 한글 학교, 방과후 학교

  15. 한국 적응 프로그램 등을 운영해야 하며

  16. 우리나라 학생들을 상대로 하는 다문화 교육도 시급하다

  17. 국가는 다문화 2세들을 전담하는 교원도 늘리고 특정 지역에 이주노동자나 다문화 가정이 밀집해서 살기보다는 섞여서 살아갈 수 있도록 정책을 마련해야 하며

  18. 결정적으로 우리사회의 구성원모두는 제도나 법보다 사회의 편견과 배제의 시선 을 사랑과 존중 이해와 배려의 시선으로 바꿔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