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 likes | 766 Views
제 12 장 노인복지. Contents. 제 1 절. 노인복지의 개념. 현대사회의 노인문제. 제 2 절. 노인복지 정책. 제 3 절. 노인복지 실천. 제 4 절. 노인복지의 개념. ∙우리나라 – 65 세 ( 행정법상 ) ∙ 노령연금 대상자 – 60 세 ∙고령자 고용촉진법 – 5 5 세 ∙ 국민기초생활보장 – 65 세. 노인이란 인간의 노령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생리적 , 심리적 , 환경적 변화 및 행동의 변화가 상호작용하는 복합형태의 과정에 있는 사람.
E N D
Contents 제1절 노인복지의 개념 현대사회의 노인문제 제2절 노인복지 정책 제3절 노인복지 실천 제4절
노인복지의 개념 ∙우리나라 – 65세(행정법상) ∙ 노령연금 대상자 – 60세 ∙고령자 고용촉진법 – 5 5세 ∙ 국민기초생활보장 – 65세 노인이란 인간의 노령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생리적, 심리적, 환경적 변화 및 행동의 변화가 상호작용하는 복합형태의 과정에 있는 사람 65세 이상 고령인구 추이 개 요 ※ 평균수명 – 1981(66.2세), 2001(76.5세), 2010(78.8세), 2030(81.5세)
노인복지의 개념 노인복지의 정의 노인 복지의 원칙 노인복지란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면서 자기가 속한 가족과 사회에 적응하고 통합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자원과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관련된 공적 및 사적 차원에서의 제반 활동 이 혜 원 ① 노인 중심 ② 노인공경 ③ 개 별 화 ④ 자기결정 ⑤ 비밀보장 특별히 노인을 대상으로 혹은 노령화에 따르는 제반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공사의 제반 사회적 ㆍ조직적인 활동 현 외 성
2. 현대사회의 노인문제 빈곤문제 질병문제 역할상실과 소외 • 주요 빈곤 원인 • - 경제적 빈곤 • - 취업기회 제한 • 생활비 • - 본인 및 배우자 • - 자녀, 친척 • 개인소득 20만원 미만(33%) • 20~40만원 (32%) • 40만원 미만(65%) • 대부분 만성실환 • 관절염, 고혈압, 요통 및 좌골통 순으로 많음 • 가장 힘든 부분 • - 일상생활 수행의 제한 • - 경제적 어려움 • 만성질환자들의 문제 • ① 의료비 부담 • ② 경제적 문제 • ③ 교통비 과부담 • ④ 도와줄 사람 • 쓸모 없는 존재라는 상실감 • 외로움, 소외 – 가장 심각한 • 정서적 욕구 • 건전한 여가 프로그램 개발 • 일거리 창출, • 재취업 기회 확대
3. 노인 복지 정책 소득보장 정책 보건 의료보장 정책 노인복지 서비스 •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사립학교교직원연금, 국민연금 등 • 공적 연금 대상 노인 : 2007년 현재 10% 미만 • 공공부조 • 노인은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자 집단의 중요한 구성원 • 부가적 소득제도 • 기초노령연금제도(2008년 1월 1일 시행) : 경로연금제도를 보완하기 위해 시행되는 제도 • 간접적 소득보장제도 • 경로우대제도, 노인취업알선센터와 노인공동작업장, 고령자 인재은행, 고령자고용촉진제도 및 각종 세제 혜택 등 • 노인이 건강하고 질병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각종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서부터 재활에 이르는 전반적인 서비스 • 사회보험 : 의료보험 • 공공부조 : 의료보호, 노인건강진단사업 • 노인수발보험(2006년)→노인장기요양보험(2008년 실시) : <표 9-1>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주요 내용, p. 231 참조 • 노인복지시설의 유형 • 노인주거복지시설(노인복지법 제32조), p. 233 • 양로시설, 노인공동생활가정, 노인복지주택 • 노인의료복지시설(노인복지법 제34조), p. 233 • 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공동 생활가정, 노인 전문병원 • 노인여가복지시설(노인복지법 제36조), p. 233 • 노인복지회관, 경로당, 노인교실, 노인휴양소 • 재가노인복지시설(노인복지법 제38조), p. 234 • 방문요양서비스, 주·야간 보호서비스, 단기보호서비스, 방문목욕서비스, 그 밖의 서비스
4. 노인 복지 실천 1. 재가 및 시설복지 서비스 재가복지 서비스란 시설복지 서비스란 노인이 가정이 아닌 시설이라는 공간에서 생활하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 노인이 자신의 가정에 머물면서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 2. 재가 복지와 시설복지의 차이점
4. 노인 복지 실천 • 양로시설 • 실비양로시설 • 유료양로시설 • 실비노인복지주택 • 유로노인복지주택 • 노인 복지관 • 경로당 • 노인교실 • 노인휴양소 노인주거 복지시설 여가노인 복지시설 노인이용시설의 체계 노인입소시설의 체계 • 노인요양시설 • 실비노인요양시설 • 유료노인요양시설 • 노인전문 요양시설 •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 • 노인전문병원 재가노인 복지시설 노인의료 복지시설 • 가정봉사원 파견시설 • 주간보호시설 • 실비주간보호시설 • 단기보호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