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0 likes | 678 Views
국토해양인재개발원 일반현황 및 교육과정 소개. 2009. 5. 27. 국토해양인재개발원. 1. 2. 3. 목 차. 일 반 현 황. 교육훈련방향 및 교육과정. 향후 발전방안. 1. 일 반 현 황. 연 혁 기 능 조 직 시 설 강사진. ① 연 혁. ’ 61.10. 20. ’ 63. 8. 12. ’ 96. 6. 29. ’ 99. 1. 1. ’ 05. 1. 1. ’ 08. 2. 29. ◆. ◆. ◆. ◆. ◆. ◆. 국토해양 인재개발원.
E N D
국토해양인재개발원 일반현황 및 교육과정 소개 2009. 5. 27. 국토해양인재개발원
1 2 3 목 차 일 반 현 황 교육훈련방향 및 교육과정 향후 발전방안
1 일 반 현 황 • 연 혁 • 기 능 • 조 직 • 시 설 • 강사진
① 연 혁 ’61.10. 20. ’63. 8. 12. ’96. 6. 29. ’99. 1. 1. ’05. 1. 1. ’08. 2. 29. ◆ ◆ ◆ ◆ ◆ ◆ 국토해양 인재개발원 교통공무원 교육원 건설공무원 교육원 건설교통 공무원 교육원 국가전문 행정연수원 건설교통 연수부 건설교통 인재개발원
산하단체 및 민간 국토해양부 9.2% 25.2% 타중앙부처 6.9% 지방자치단체 58.7% ② 기 능 인재대국을 선도하는 유능하고 신뢰받는 국토해양 인재 양성 국토해양분야 직무 종사자에 대한 교육훈련기법 및 과정 개발 ·운영 기타 교육훈련기관과의 상호협력 및 지원 교육훈련에 관한 국제협력사업
③ 조 직 • 인력 : 29명 기 획 과 교 육 과 총 무 과 교육담당 정보화담당 총무담당 기획담당 운영담당 학사담당 관리담당 과정장실 • 인사ㆍ조직ㆍ문서 • 계약ㆍ예산ㆍ용도 • 청사ㆍ교육시설관리 • 교육계획수립ㆍ평가 • 교육생 선발ㆍ등록 • 정보화교육 운영 • 교육과목 연구/발전 • 전문교육과정 운영 • 학적ㆍ성적 관리
④ 시 설 10 실 2 실 8 실 3 실 258 침상 강의실 강 당 토의실 CAD·전산실 생활관 편의시설 도서실, 체력단련실 식당 및 매점 테니스장, 운동장
④ 시 설 (전산시스템) 학사행정시스템 ▶ 학사과정 전반을 전산으로 체계적 관리 (선발 ·등록, 평가, 수료, 강사 및 강의자료 DB화, SMS) ▶ 내부 커뮤니케이션 강화
⑤ 강 사 진 최고 수준의 강사진 구성ㆍ운영 전문지식과 현장 실무경험이 풍부한 우수강사 인재 풀(POOL) 보유 매월 『강사선정회의』를 개최하여 우수 강사 선정 【 우수강사 DB구축 (1,943명) 】 • 대학교수 : 353명 • 연구원 : 329명 • 공무원 : 623명 • 기업체 임원 : 431명 • 기타(국회의원,정부투자기관임원 등) : 207명
교육훈련방향 및 교육과정 2 ① 교육훈련방향 ② 교 육 과 정 ③ 교 육 실 적
① 교육훈련방향 수요자위주의 맞춤형 교육 시의성 있는 교과과정 운영 자기발전적 평생교육 활성화 고객위주의 교육환경 개선 • 교육수요조사(9~12월) 결과를 반영, 교육과정편성 • 수요기관의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방문형 교육 • 정부현안 추진 지원(예 : 녹색성장, 청렴교육 등) • 수시 신규과정 개설(예 : 도로포장과정) • 공직자의 마인드 변화를 위한 창의실용 교육 실시 • 자격취득 과정(예 : 공인중개사, 주택관리사 등) • 정보화 교육 • 교육 ·연구기관과 Cluster 구축 (시설, 강사진 등 공유) • 체육 ·여가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 (예 : 활기찬 방)
② 교육과정: 총 97개 과정 운영 기본교육과정 (4개) • 국토해양분야 정책에 대한 종합적 이해 제고(국토해양정책과정 등 2개) • 신규임용자의 공직관 확립 및 공직수행능력 향상(신규임용자과정2개)
② 교육과정 (계속) 국토정책분야 (10개) • 전 국토에 대한 체계적 계획수립 및 효율적 이용, 국토와 환경과의 • 조화로운 발전 (국토계획과정) • 건축행정, 건축공사, 건축법규, 신기술 정보등(건축공사과정 등 5개) • 도시, 생태, 환경 등 도시계획 수립 및 집행 (도시경관과정 등 4개)
② 교육과정 (계속) 주택 및 토지 분야 (9개) • 토지보상, 공시지가, 토지정보시스템 등 토지분야 • (보상실무과정 등 6개) • 주택종합계획, 주거복지 등 주택분야(주택도시과정 등 3개)
② 교육과정 (계속) 건설/수자원 분야 (12개) • 설계, 감리, 신기술 등 건설기술 분야(건설공사설계과정 등 7개) • 토질,CM(Construction Management)관련 (건설사업관리과정등3개) • 수자원/하천 이론 및 정책(하천환경관리과정 등 2개)
② 교육과정 (계속) 해양·항만 분야 (12개) • 해양정책에 대한 이해 제고(해양항만과정 등 3개 과정) • 항만 및 연안관리(항만건설과정 등 4개 과정) • 해상교통안전관리(해사안전과정 등 5개)
② 교육과정 (계속) 교통정책 분야 (18개) • 교통의 전반적 체계 및 제도 (교통행정과정 등 4개) • 도로, 철도, 항공 분야(도로공사건설과정 등 10개) • 도로포장 등 도로유지보수 분야와 토목구조분야(도로관리과정 등 4개)
② 교육과정 (계속) 평생교육·정보화 분야(22개) • 국가자격증 취득(주택관리사, 도로 및 공항기술사 등 6개) • 컴퓨터 기술(CAD, PowerPoint, Excel, Photoshop 등 6개) • Internet을 활용한 Cyber 교육(토지보상법, 도로법 등 10개)
② 교육과정 (계속) 실용역량 분야 (10개) • 환경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혁신역량 함양 • (갈등관리과정, 정책개발과정, 토론스킬과정 등 10개)
③ 교육실적 교과과정 확대 (’03년 56개 → ’06년 87개) 교육인원 지속 증가(’04년 5,135명 → ‘08년 13,333명) ※ ’08년 10월 현재 11,232명 교육수료 14천명 13,333명 10,896명 12천명 9,306명 10천명 9,010명 8천명 6,551명 8,175명 8,265명 8,060명 7,359명 6천명 5,135명
③ 교육실적(계속) 교육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만족도 지속 증가(82% → 89%대)
3 향 후 발 전 방 안
①문제해결형 교육 확대 ◈ 문제해결형 교육방식 - 팀 구성(5~15명) - 팀별 과제부여(정책현안과제) -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도출 - 발표 및 토의 ◈ 강의식 교육과정에도 토론, 질의/응답 시간 편성
② 신규 교육과정 확대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기후변화 등 대내외 환경변화에 따른 행정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신규교육과정 개설또는 기존 교육과정의 교과목 개편 (예) 과정신설 : Ubiquitous-City과정 신규과목 편성 : 기후변화 대비 교통정책, 녹색교통 등
③ 맞춤형·방문형 교육 활성화 ◈ 교육수요기관의 요청에 따라 주문 맞춤형 교육과정 적극 편성 ◈ 원거리 이동에 따른 교육생의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 방문교육도적극 추진 ☞ 민간 교육기관과의 경쟁에서 뒤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다양한 서비스 제고방안 강구 중
④ Cyber교육 단계적 확대 ◈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한 시간과 장소에서 인터넷을 통해 학습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확대 ▶ ‘07년 5개 과정 → ‘08년 6개 과정→ ‘09년 10개 과정 ▶ 3,000명(‘07)→ 5,000명(‘08)→ 10,000명(‘10)
⑤ 교육원 제주 이전 추진 주 거 국세공무원교육원 상 업 중앙공원 건설교통인재개발원 주 거 주 거 ’05. 6월 공공기관지방이전 계획 확정 · 발표 (인재개발원 → 제주도 이전) ’06. 10월 제주혁신도시 기본구상(안) 수립 ’07. 9월 제주혁신도시 기공식 ’09. 5월 현재 실시설계용역 발주 준비 중 2012년 교육원 제주 이전 시기에 맞추어 교육시설과교육기자재도 한층 더 첨단화 시킬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