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0 likes | 1.68k Views
시설물 점검 업무의 이해. 2011. 4. 안전관리팀. Ⅱ. Ⅲ. Ⅳ. Ⅴ. Ⅴ. Ⅰ. 목 차. 점검 업무의 목적. 시설물 설치 현황 파악. 주요 시설물 점검 특성 및 주기. 테마별 점검 내용. 점검 일지 작성주기. 점검업무의 기본 마인드. Ⅰ . 점검업무의 목적. 목 적. 무재해 실현. 목적 달성 과제. 유지보수. 특성파악. 사실기록. 예방점검. 시설물 설치현황 습득 및 운영. 사전 보수관리. 정기적 , 법적 , 사전 예방점검 강화. 사고 , 고장 , 보수
E N D
시설물 점검 업무의 이해 2011. 4. 안전관리팀
Ⅱ Ⅲ Ⅳ Ⅴ Ⅴ Ⅰ 목 차 점검 업무의 목적 시설물 설치 현황 파악 주요 시설물 점검 특성 및 주기 테마별 점검 내용 점검 일지 작성주기 점검업무의 기본 마인드
Ⅰ.점검업무의 목적 목 적 무재해 실현 목적 달성 과제 유지보수 특성파악 사실기록 예방점검 시설물 설치현황 습득 및 운영 사전 보수관리 정기적,법적,사전 예방점검 강화 사고,고장,보수 의 D/B구축 강화
● 점검 방법 1. 오감 활용 2. 계측기 활용
● 점검 요령 점검요령: 전기설비는 주기적으로 점검 및 측정을 하여 불량한 곳을 발견하고, 그 곳을 수리, 조정, 손질 또는 대체 등 보전의 수단을 강구하여야 한다. 점검 및 보수는 운전 중에 할 수 있는 것, 또는 할 수 없는 것으로 구분하고, 설비의 설치위치, 사업장 사정을 감안하여 계획을 입안하여야 한다. 즉 아무리 짧은 시간이라도 정전을 시킬 수 없는 설비라든지 기기를 분해해야만 한다든지 하루만에 실시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휴일, 연휴 등 시기 및 여건에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 1. 점검계획의 수립 시 고려사항
Ⅱ.시설물 설치 현황 전기설비 주요 전기 구성 설비 ◆ 수변전 설비 • 차단기,계전기류,변압기,ATS,특고압케이블,기타 ◆ 전력간선 설비 • 케이블,차단기,부스덕트,플러그인유니트 등 ◆ 발전 설비 • 발전기,축전설비, 연료, 부동액 ◆ 동력 설비 • 동력제어반,배선,차단기, 전자접촉기 ◆ 조명,전열 설비 • 분전반,누전차단기,리모콘 릴레이,안정기,등기구 ◆ 방송,보안,통신설비 • 축전설비, UPS설비, CCTV,방송장비
Ⅱ.시설물 설치 현황 기계설비 주요 기계 구성 설비 ◆ 냉,난방 설비 • 냉온수기,냉동기,보일러,냉각탑, 공조설비 ◆ 냉동,냉장 설비 • 콤프설비, 쇼케이스설비 ◆ 가스 설비 • 정압실, 식당가, 보일러설비 ◆ 위생 설비 • 급,배수 설비, 물탱크 설비 ◆ 정화조 설비 • 오,폐수 처리설비, 중수생산설비 ◆ 반송 설비 • E/L, E/S, M/W
Ⅲ.주요 시설물 점검특성 및 주기 전기설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
Ⅲ.주요 시설물 점검특성 및 주기 전기설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
수배전반 사고사례 LBS 1차측과 2차측을 착각하여 한전 인입 라인에 접지용구로 S상에 접촉하는 순간 굉음을 동반한 전기 아크 발생 변전실 Kw-Meter내부 발열에 의한 화재 및 정전사고 (계기 내부 권선의 열화에 의한 소손으로 추정)
수배전반 사고사례 MOF(계기용변성기)자체결함에 의한 S상 절연파괴와 동시에 파워휴즈 단락발생으로 추정됨 노후에 의한 상시전원 변압기 1차케이블 케이블헤드 소손
Ⅲ.주요 시설물 점검특성 및 주기 전기설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
변압기 사고사례 발생원인:변압기 자체 결함에 의한 코일소손 사전점검:2004년 11월 피로도 점검결과 소손우려 예상 유전정접 진단결과 기준치 초과(기준:1.0이하, 실제:1.8) ※ 유전정접: 변압기~대지간,변압기 상과상간에 교류절연 상태
Ⅲ.주요 시설물 점검특성 및 주기 전기설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
Ⅲ.주요 시설물 점검특성 및 주기 전기설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
A.T.S 사고사례 A.T.S의 S상 접촉불량 소손 화재
Ⅲ.주요 시설물 점검특성 및 주기 전기설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
Ⅲ.주요 시설물 점검특성 및 주기 전기설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 법적점검?
사고사례 1) 아크온도: 19,000 ~ 49,700℃ 발생 (태양온도:6,000℃) 2) 아크온도에 의한 동(전선)의 팽창: 67,000배(물이증기로 변할때:1,670배) 3) 짧은 시간에 큰 반발력이 발생한다 ◆단락(합선)에 의한 발화
Ⅲ.주요 시설물 점검특성 및 주기 전기설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
Ⅲ.주요 시설물 점검특성 및 주기 전기설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
Ⅲ.주요 시설물 점검특성 및 주기 전기설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
Ⅲ.주요 시설물 점검특성 및 주기 전기설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
사고사례 소화전 주 펌프의 잦은 기동/정지 반복으로 MCC판넬이 열화, 소손 됨
Ⅲ.주요 시설물 점검특성 및 주기 전기설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
Ⅲ.주요 시설물 점검특성 및 주기 전기설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
사고사례 히터차단 후 일정시간 송풍기 가동 안됨(지연타이머 설치 누락) 고온의 튀김 잔존물이 음식 쓰레기통 내부에서 밀폐 단열된 상태에서 열 축적에 의한 탄화진행 후 발화 온도까지 상승하면서 발화
사고사례 임대코너 근무자 튀김기 사용 부주의(온도계 미설치) 튀김기 절연저항측정 미실시 소분실 근무자가 사골 전열기기 전원 미 차단 후 퇴근하여 밤새 전열기 가열되어 탄화된 사고 기름의 발화온도는 220 –230℃
Ⅲ.주요 시설물 점검특성 및 주기 전기설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
Ⅲ.주요 시설물 점검특성 및 주기 전기설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
Ⅲ.주요 시설물 점검특성 및 주기 기계설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
Ⅲ.주요 시설물 점검특성 및 주기 기계설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
Ⅲ.주요 시설물 점검특성 및 주기 기계설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
Ⅲ.주요 시설물 점검특성 및 주기 기계설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
Ⅲ.주요 시설물 점검특성 및 주기 기계설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
Ⅲ.주요 시설물 점검특성 및 주기 기계설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
Ⅲ.주요 시설물 점검특성 및 주기 기계설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
Ⅲ.주요 시설물 점검특성 및 주기 기계설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
Ⅲ.주요 시설물 점검특성 및 주기 기계설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
Ⅲ.주요 시설물 점검특성 및 주기 기계설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
Ⅲ.주요 시설물 점검특성 및 주기 기계설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
Ⅳ. 테마별 점검내용 계절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
사고사례 공조기 자동제어인 냉난방 2웨이 밸브 최소 개도 설정값 5% 입력하여 동파를 방지 하고자 했으나 실제 5%의 유량이 흐르지 않아 동파됨 단열재 철거 후 재시공이 누락되어 외기가 침입 동파
사고사례 소화전 배관라인 입상부 정온전선 이음부위 접촉불량으로 열화 진행, 정온전선이 탄화된 사고
사고사례 건조상태 예비수조의 히터투입 및 안전스위치 미 작동으로 화재 발생 운휴장비 가동
Ⅳ. 테마별 점검내용 계절별 점검 항목 및 점검 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