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 likes | 563 Views
시장집중의 측정 : 집중지수. 1. 집중지수 (concentration ratio) 잠재적 시장지배력 계측 방법으로서 특정기업군이 산업 내에서 차지하는 매출 , 자산 , 고용 등의 비중을 파악 1) 지니 계수 2) 상위 K 기업 집중 지수 3) 허핀달 지수. 시장집중의 측정 : 성과지수. 성과지수 ; 시장에서 나타난 독점지배력의 실제적 계측방법 . 1) 로스차일드 지수 2) 러너 지수 3) 베인 지수.
E N D
시장집중의 측정: 집중지수 1.집중지수(concentration ratio) 잠재적 시장지배력 계측 방법으로서 특정기업군이 산업 내에서 차지하는 매출, 자산, 고용 등의 비중을 파악 1) 지니 계수 2) 상위 K기업 집중 지수 3) 허핀달 지수
시장집중의 측정: 성과지수 • 성과지수; 시장에서 나타난 독점지배력의 실제적 계측방법. 1) 로스차일드 지수 2) 러너 지수 3) 베인 지수
로렌즈곡선과 지니계수(Lorenz Curve & Gini Coeffieient) • 지니계수;기업들의 크기가 불균등하게 분포되어있는 정도를 보여주는 불균등계측지수. • 완전평등상태하의 지니계수 = 0 • 완전불평등상태하의 지니계수 = 1 • 0≤ G ≤ 1 • 장점;불균등 정도를 도식적으로 쉽게 파악. • 단점;기업수가 많으면 측정이 어렵다.
<Figure 1>Lorenz Curve & Gini Coefficent) Market sales(%) Line of absolute equality Lorenz curve Number of firms cumulated from the smallest firm(%)
상위 K기업 집중계수 • 상위 k기업 집중계수 ; 상위 대기업군이 시장 내 차지하는 비율(점유도)를 합계한 것으로서 일종의 누적 계수이다. CRK =∑Si CRK= 0 : 경쟁적시장 CRK = 1 : 순수독점 시장 • 장점; 계측이 간단하고 설명이 쉬우므로 현실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다.분석목적에 따라 여러 변수로 사용가능. • 단점; 점유율이 큰 기업과 작은 기업의 가중치를 고려하지 않아서 K개수의 기업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관건이다.
허핀달 지수 (Herfindahl Index) • 시장점유율이 큰 기업일수록 높은 가중치가 주어지도록 고안된 집중지수로서 산업 내 모든 기업의 점유율을 제곱하여 합계. H = ∑ Si2 완전평등 = 0, 완전불평등 = 1(독점기업) • 장점; 산업 내 모든 기업의 점유율을 포함하기 때문에 기업분포에 관한 많은 정보를 내포하고 있다. • 단점; 산업 내 모든 기업의 점유율을 알고 있어야 계측할 수 있으므로, 실증적 분석에는 많은 제약이 따른다.
성과지수(1): 로스차일드 지수 • 로스차일드 지수(Rothschild index) ; 기울기의 비율로서 독점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 1에 가까울수록 수요곡선이 비탄력적이며 시장지배력이 커진다. • Rothschild index =slope of NFD/ slope of FD =JK/JM/JL/JM = JK/JL NFD(non-followship demand curve) FD(followship demand curve)
성과지수(1): 로스차일드 지수 • 일반적으로 비협조적 과점시장에서 만약 A기업이 가격을 올리면 타 기업은 따르지 않는다.따라서 A기업의 수요는 줄어들고 수요곡선의 탄력성이 커진다. • 만약 A기업이 가격을 내리면 타 기업도 가격을 내린다. 따라서 A기업의 수요에는 별로 변화가 없다. • 따라서 가격이 P이상일 때는 NFD수요곡선을 따르고 P이하일 때는 FD수요곡선을 따르는 굴절수요곡선이 도출된다.
성과지수(1): 로스차일드 지수 • Rothschild index = JK/JM/JL/JM = JK/JL • 한계 1)수요곡선의 굴절이 가격경직성의 절대적 이유는 될 수 없다. 2) 왜 가격이 P에서 주어졌는지, 수요곡선 굴절점이 왜 E인지 설명할 수 없다.
성과지수(2): 러너지수 • Lerner index ; 독점크기의 근원을 P와 MC의 차이로 보며 가격이 한계생산비를 어느 정도 초과하여 측정되고 있는지를 나타내준다. • Lerner index = P-MC/P = P-MR/P = P-(dR/dQ) / P = P-P(1-1/η) / P = 1/η (Hicks의 독점도) (단, η=수요의 가격 탄력도)
성과지수(2): 러너지수 • 한계; 러너지수의 크기는 동일하지만 독점지배력으로 인한 사회적 후생손실이 서로 다른 경우가 나타나는 경우를 구분할 수 없다.
성과지수(3): 베인지수 • Bain index; 기업의 회계학적 비용과 기업의 경제학적 비용을 구분 • 회계학적 이윤 πa = R - C - D = 총수입-총비용-감가상각 • 경제학적 이윤 πe = R - C - D -iV • iV: 다른 투자의 영역에 투자했을 때 예상되는 내부수익률
성과지수(3): 베인지수 • Bain index = πe/V =초과이윤(경제학적 이윤) / 총투자액 • 한계; 독점이라고 해서 항상 초과이윤을 얻는 것은 아니다.
결론:집중지수와 성과지수의 동시고려 • 집중지수와 성과지수는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며 View Point가 다르다. • 하나의 지수가 완전하게 시장구조를 파악하지 못하므로 성과지수와 집중지수를 동시에 입체적으로 고려하여 각지수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