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 likes | 403 Views
직업교육체제혁신 - 어떻게 성공시킬것인가 -. 2007 년. 그동안 직업교육정책의 흐름 및 평가.
E N D
직업교육체제혁신-어떻게 성공시킬것인가- 2007년
그동안 직업교육정책의 흐름 및 평가 1.시대별 직업교육정책의 개관□ 국가주도의 경제개발정책과 맞물려 실업계고 집중 육성 (1960~1970년대)□ 경기 불황에 따른 실업교육의 침체(1980년대) □ 산업체 인력양성 차원에서의 무리한 실업계고교 확충(1990년대 전반)□ 직업교육개혁 방안 본격 추진(1990년대 후반)□ 입학자원 감소 및 대학 문호확대에 따른 직업교육의 위기 (2000년대)
2. 그동안 직업교육정책에 대한 평가□ 60~70년대 우수인력배출 –국가발전 선도적 역할 □ 시대 변화에 따라 학생개개인의 계속직업능력개발 소홀□ 수요자의 요구보다 교육방법등 질보다 양적팽창에 치중 □ 경제상황의 필요만 고려 직업교육 전반의 문제 개선의지 사례: 2-1체제, 인문-실업 50대50 정책등
학령인구 변화추이 문제점 단위: 천명 학령인구 변화 ▶ 고등학교 학령인구 20년에 25.2%감소 전망 - 2005년 1840천명- 지속적으로 감소 2020년1376천명 전망 ※ 2015년에 5~14세 학령인구수가 2005의 71% 수준으로 감소 ▶ 실업고, 전문대학 존재 불투명 거론
직업교육 기피현상 심화 ‘직업교육 = 二流교육’ 이라는 낙인 효과 - 학부모 및 학생들의 직업교육 기피 현상 심화 양성되는 인력마저도 산업체의 불신 심화 * 산업체 재교육 비용 2.8조원/연 * 산업체의 실업계고 만족도(‘05. 한길리서치) - 만족 10%, 보통 45%, 불만족 31% *산업체 근로자 의식조사(‘06. 대한상공회의소) - 85.7% - 학교교육 내용과 현장의 괴리가 큼
직업교육 위기의 원인 사회 문화적 요인 - 세계최저의 낯은 출산율(가구당 1.08명) - 고등교육의 보편화(고교전체 진학률 82%) - 우리사회 팽배한 학벌주의 등 직업교육 내부의 원인- 낡은 교육체제 고수 * 사회는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 * 실업고는 단순인력 양산의 산업화시대 체제
직업교육체제 혁신 방안 2005년 5.12 국정과제로 발표 교육인적 자원부 교육혁신위원회
학교 설립주체의 다원화 교육과정특성의 다양화 수업 연한 유연화 학교운영자율화 직업교육의 부정적이미지 소직.적성을 살리지 못함 교육부. 교육청 위주 정규학생위주 페쇄 경직된 교육 매력적인 경로로 직업교육인식 다양한 진로직업인으로서 비젼 산업체 지자제 각 부처 공동참여 근로자 양성의 계속교육 강화 산학협력.교육훈련 연계열린교육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직업교육 정책 방향
직업교육 체제 혁신 방안 주요과제 • 산업수요와 직결되는 ‘특성화고교’확대 • 실업계고 명칭 변경 및 체제 정비 • ‘실업고-대학(전문대학)-산업체’연계 • 직업교육 유인체제 구축
지자체 협약 학교 산업체 협약 학교 정부 부처 협약학교 산업 수요와 직결되는 특성화고 확대(’10-200개교) ◈해당직종별 개별산업체 직능단체에서 필요한 인력양성 ◈한국마사회 사례 한국경마 축산고 마필관리 특성화 고로 육성 (졸업자 전원취업) ◈국가차원의 육성 산업 및 첨단산업 고 연계 ◈정보통신부 사례 선린 인터넷 고 특성화 (우수학생 유치성공) ◈산자부. 노동부 중기청,농림부등 7개 부처 추진 중 • 지역별 특성화 산업 • 특성화 산업 및 전통 산업과 연계 • 충남당진군사례 • 5개 철강산업 신성대-합덕산업고 인력양성 협약체결(04-12)
직업교육정책 주요 성과 지표 실업계고 변화 예측 신입생모집현황으로 조사 전체의 25%로 정예화 중앙관계부처에서 집중육성하는 특성화고 선정: 희망교에서 선정 노력필요 사례) 해사고등학교 : 해양수산부에서 국립학교로 운영중 정책-실업계 고 지원을 획기적으로 강화할 방안을 강구 중 -지자체/직능단체/산업체에서 지원(09년)
성공적인 특성화 고등학교 경영 • ’00.03:선린상업정보고교 교장 취임 -신입생 성적 평균 85%이하 (정원미달) ’06.12 :전국 최고의 특성화 고교로 육성 - 신입생 성적 평균 27%이내에서 결정(’06) -서울시내 최고 고등학교 수준 - 20여명이상의 졸업생 미국 주립대 합격 선린 인터넷 고등학교 www.sunrint.hs.kr 천광호 교장선생님 (2000.03.01- )
선린 인터넷 고등학교 경영 교육과정구성 정보통신과 테크노경영과 멀티미지어과 웰운영과 영어, 수학 사회, 과학 지식 기반 사회 전문성 생각행동 자율성, 창의성, 예술성, 역동성, 협동성 봉사.스포츠.문화예술.자연친화
‘실업’이라는 용어가 가지고있는 낙인효과 제거 • 산업 및 사회 수요에 맞는 학교를 설립하고 이에 부합되는 명칭부여 • 추진방향 • 고등학교유형을 일반계와 특성화계 유형으로개편 • 현행 실업계 및 기타계고를 특성화(전문)계고로 통합 • 교육과정운영을 기준으로 유형을 구분하고 체계를 정비 • 법-제도 정비의 의견수렴 • 초 중등 교육법 밎 시행령상의 고등학교명칭 변경 및 역할 규정 • 명칭 변경을 위한 공청회 및 세미나 개최 실업계고 명칭변경 및 체제 정비
실업계 고등학교 일반계 고등학교 전문대학 대학 산업체 취업 산업 대학교 산업체 취업 특목고 (과고, 외고) 전문계 고등학교 초등학교 대학교 전문대 중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특성화 고등학교 일반게 고등학교 실업계 명칭변경 및 체제 정비 성적에 의한 진학 및 취업 성적에 의한 진학 현행 통일분야 취업 소질, 적성에 의한 진로결정 통일 분야 진학 (진로인식 , 진로탐색) 진학 개편후
칭찬의 위력 9톤 고래 7m뛰게 수면 높이 로프를 넘게 훈련, 중복된 칭찬 1. 사람마다 다르게 칭찬 2. 진심으로 칭찬 3.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칭찬 4. 타이밍에 맞게 칭찬 5. 위기에 쳐했을 때 칭찬 6. 큰 무대에서 칭찬하고 격려 (전 직원 앞에서 등) 고민하는 실업고 학생 • 실력없는 학생으로 고심 • 30,000연습 – 누구나 서부의 총잡이 • 핸드폰 문자 보내기 도사 – 기능성 • 정신구조 – 다중지능이론 • 하바드대학 하워드 기드니 교수 지음 • 4. 문제는 문제가 있다고 보는데 있음
협의학과 “실고-대학[전문대]-산업체 연계” 강화 『실고-대학[전문대]산업체』 협약학과 제도 도입 * 실고-대학[전문대]-산업체의 교육과정, 시설, 교원 등을 체계적으로 연계 * 실업고 졸업 후 취업과 진학의 두가지 목적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달성 * 협약학과 운영에 산업체 참여 제도화 산업체 대학 실업고 • 1개학과로 결합 • 1대 1결합 • 교육과정연계 • 산업체 주문식 교육 • 교원교류 A1 A학과 * 1학년 * 2학년 A학과 * 2학년 * 3학년 A3 A2 B1 B학과 * 1학년 * 2학년 B학과 * 2학년 * 3학년 B2 B3
- 실고 3년생 취업 특별교육과정 운영 - 졸업후 협의 산업체 취업 • 야간, 주말 e- 러닝 등 위탁교육 • 현장 실습학 기계 협약학과 모형 – 실고 졸업 후 취업/진학 병렬형 - 기업에서 장학금 지원 근로자 위탁교육 교육과정 운영협력 - 실업고, 산업체, 전문대, 지자체, 대한상의, 종기협, 산업단지공단등 (위탁 교육 교육히자원) 전문대학 (야간, 주말, 시간제, e- 러닝 등 (현장실습학기계 등) ① 대기업 안쪽 ② 대기업 하정기업 ③ 중소기업 연합 (위탁 교육과정 운영) 교육인적자원부 : 교육과정 운영비 지급 교육청 : 자율학교지정 학교 : 협의된 교육과정 운영, 진로지도 병무청 : 병역특래 업체 지정 노동부 : 고용보험기금환급 • 전문대 : 1억 6천만원 • 실업고 : 8천만원(50% 교육청 부담) 실업고 (취업반 형태 협학화의 운영, 3학년)
실업고 졸업생 진학시 혜택 부여[우수 인력 양성이 목적] • 동일계 특별전형 활성화 : 국립대 입학정원 외 3% 선발 적극 권장 • * 2008학년도 입시부터 정원외 5%로 상향 조정 – 현재 관련 법령 개청 중 • 계속교육 확대 : 산업체 근로자의 [전문]대학 입학 문호 확대 • * 성인의 고등교육 재학율 [“01,OCED] : 한국 2.9% 미국16.4% 영국 22.2% • 졸업 후 직업세계로 원할한 진입을 위한 창업 취업지원 • 각급학교 진로지도 활성화 및 인프라 구축 • 실업고 전문대 내 학교기업 등 창업지원 프로그램 운영 확대 • * 인천기계공고 : 스쿨모터스[자동차정비업] 성업 중 • 실업고 졸업생 지방공무원 특별임용 활성화 • * 경기도교육청 매년 4명 전남고흥군[고흥실고 농업직 9급 채용], 강진군 [강진농고] 직업교육 유인체제 구축
추진 체계 중앙 인적자원개발회의 (LIFD)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국가균형발전) 직 업 교 육 훈 련 지 원 센 터 관계부처 교육인적자원부 경제단체 노동단체 정책 연구 계발 프로그램 계발 모니터링 평가 및 컨설팅 산 업 체 대학,전문대학 국가/지역 취업지원센터 실업계 고교 일반계 고교 시.도 지역혁신협의회 RHRD 분과협의회 지역경제단체 지역노동단체 지역 지자체 교육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