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0 likes | 1.06k Views
지역경제 및 공공재정 10 주차 .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경제분석 사례 (2). 국제회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 한국관광공사 , 2008.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경제분석 사례 (2): 국제회의. 1. 연구목적 및 배경 2. 국제회의 현황과 소비지출액 조사 3. 국제회의산업 분류 체계 4. 각 승수 도출 5. 각 파급효과 도출. 1.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E N D
지역경제 및 공공재정10주차.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경제분석 사례(2)
국제회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공사, 2008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경제분석 사례(2): 국제회의 1. 연구목적 및 배경 2. 국제회의 현황과 소비지출액 조사 3. 국제회의산업 분류 체계 4. 각 승수 도출 5. 각 파급효과 도출
1.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목적 : 2007년 한국에서 개최되는 국제회의 외국인 참가자의 소비실태 조사와 2007년에 개최된 총 국제회의를 조사하여 산업연관분석 체계 내에서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함. • 연구 방법 : 기존 2005년에 수행한 ‘국제회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분석에 관한 연구’를 재분석 : ‘2003년 기준 산업연관표’ 중 개방모형, 비경쟁수입형표를 사용함.
1.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및 현황 분석 분류 체계 분석 각 파급 효과 도출 과정 분석 각 유발 승수 도출 과정 분석
2.1 국제회의 현황 도시별 국제회의 개최 건수에 따른 순위(2003년~2007년)
2.1 국제회의 현황 ◀국제회의 종류별 개최 비교(2004년, 2007년) 2007년 국제회의 종류별 개최 규모 ▶
2.2 참가자 소비지출액 조사 • ‘2007 국제회의 참가자 실태조사’의 한 부분으로 국제회의 참가자의 소비지출액 조사가 실시 되었음. • 조사는 설문조사방식이며, 2007년 3월~11월 간 국내에서 개최된 국제회의의 외국인 참가자를 대상으로 하였음. 2007년 국내 국제회의 외국인 참가자의 평균 소비지출액
2.2 참가자 소비지출액 조사 2007년 국내 정부회의 외국인 참가자의 평균 소비지출액 2007년 국내 학회회의 외국인 참가자의 평균 소비지출액 2007년 국내 협회회의 외국인 참가자의 평균 소비지출액
3. 국제회의산업 분류체계 • 국제회의산업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이 있는 관광산업의 분류 연구를 적극 응용함. • 그 외 국제회의 산업의 특이 항목을 추가로 분류⋅통합하는 형태를 취하였음. • 2005년 연구의 국제회의산업 및 연관산업 분류체계 • 37개의 분류체계 20개 2개 15개
3. 국제회의산업 분류체계 • 기존 2005년 연구의 분류체계에서 주최자 지출 부문(인쇄 출판 및 복제, 통신 및 방송,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사업 및 기타 서비스) 4개와 교통 부문(운수 및 보관업, 운수보조) 2개는 제외함. • 2007년 연구의 국제회의산업 및 연관산업 분류체계 • 37개의 분류체계 28개 9개
4. 각 승수 도출 AX+Y-M=X X-AX=Y-M (I-A)X=Y-M X=(I-A)-1(Y-M) 단, A: 투입계수행렬, X: 총산출액 벡터, Y: 최종수요 벡터, M: 수입액 벡터, I: 항등행렬, (I-A)-1: 생산유발계수
4. 각 승수 도출 • 국제회의 산업의 생산유발승수 • 옆의 표의 각 생산 유발 승수는 37 X 37 생산유발계수표의 열합계 • 레온티에프(Leontief)의 역행렬 계수에 의해서 도출되는 생산유발승수의 전 산업 평균은 1.8021로 추산. • 이는 최종수요 1백만 원이 주어졌을 때 약 1,802,100원의 직·간접 산출효과를 국민경제에 파급 시킨다는 것을 의미함.
4. 각 승수 도출 • 국제회의 산업의 소득유발승수 • 산업연관표상의 “피용자보수”부문은 개인의 근로소득을 의미. • 개별산업이 산출액을 총 산출액으로 나눈 소득계수를 생산유발승수에 적용하여 소득유발 승수를 도출할 수 있음.
4. 각 승수 도출 • 국제회의 산업의 고용유발승수 • 최종수요 발생에 따른 고용창출효과를 나타내는 고용유발승수는 최종수요 1단위가 주어졌을 때 각 산업이 발생시킨 직·간접 고용효과를 의미함. • l = L/ X (단, l은 노동계수, L은 투입노동량, X는 총산출액) • l ˆ (I- Ad)-1가 노동유발계수 행렬임.
4. 각 승수 도출 • 국제회의 산업의 부가가치유발승수 • 산업연관표에서 부가가치는 피용자 보수, 영업잉여, 고정자본 소모, 간접세로 구성. • 부가가치유발승수는 최종수요 발생에 따라 각 산업에 파급된 직·간접적인 부가가치 창출효과를 의미함. • Â˅Χ=V에 (I- A d) -1 Υ d=X 를 대입 • Â˅(I- A d) -1 Υ d=V (단, Â˅는 부가가치합계 대각행렬, V 부가가치합계의 벡터)
4. 각 승수 도출 • 국제회의 산업의 수입유발승수 • 최종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전체산업 생산 활동에 중간재로서 국산품과 수입품이 투입되며, 이때 유발되는 수입을 나타내는 것이 수입유발승수임.
5. 각 파급효과 도출 • 외국인 참가자 총 지출 규모 = 1인당 지출비용 * 총 외국인 참가자 수 * 2007년 대미원화 환율 = 2488.0 USD * 93144 명 * 929.18원 = 215,330.3 백만원 • (I-A) -1 × C = O • 단, (I-A) -1: 생산유발계수행렬 • C : 국제회의 관련 지출액의 열행렬 • O: 생산유발효과의 열행렬 • C-의 행렬에서 국제회의 관련 항목 이외의 항목은 지출액을 0으로 표시 전체 외국인 참가자 총지출 규모 추정
전체 국제회의 개최에 따른 생산, 고용, 소득유발효과 5. 각 파급효과 도출 • 생산 유발 승수 * 외국인 참가자 지출액 열행렬 = 생산 유발 효과 • 국제회의산업의 총 생산파급효과 = 401,090.2 백만원 • 고용 유발 승수 * 외국인 참가자 지출액 열행렬 = 고용 유발 효과 • 국제회의산업의 총 고용파급효과 = 8,317 명 • 소득 유발 승수 * 외국인 참가자 지출액 열행렬 = 소득 유발 효과 • 국제회의산업의 총 소득유발효과 = 78,199.9 백만원
전체 국제회의 개최에 따른 부가가치, 수입유발효과 5. 각 파급효과 도출 • 부가가치 유발 승수 * 외국인 참가자 지출액 열행렬 = 부가가치 유발 효과 • 국제회의산업의 총 부가가치파급효과 = 184,890.4 백만원 • 수입 유발 승수 * 외국인 참가자 지출액 열행렬 = 수입 유발 효과 • 국제회의산업의 총 수입파급효과 =30,440 백만원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IT산업구조 및 파급효과 분석, 정현준, 2008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경제분석 사례(2): IT산업 1. 서론: IT산업 2. 우리나라 IT산업의 산업구조 분석 3. IT산업의 파급효과 분석
1. 서론: IT산업 • IT산업은 2006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GDP의 16.2%를 차지하고 있으며, GDP 성장 기여율이 40.8%에 달하는 우리나라 주력 산업의 하나임. • 1997년 외환위기에서 경제를 회복시키는데 일조하였고, 산업구조 고도화, 고부가가치화에 기여하였다고 평가됨. • 통신방송서비스 시장에서 기존 통신 서비스 시장이 포화되고 있는 가운데 WCDMA, WiBro, IPTV, VoIP 등 신규 서비스들이 시장에 출시되고, 통신서비스와 방송서비스의 융합현상이 발생하고 있음. • IT제조업 부문에서는 반도체 가격 하락 및 유가 폭등, 세계 경기 둔화에 직면한 가운데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2. 우리나라 IT산업의 산업구조 분석 • 공급 및 수요구조 우리 경제 규모 즉 총공급(=총수요)은 1990년에 475조 원 수준에서2003년에 2천9조 원으로 4배 이상 성장 IT제조업의 총공급(=총수요)은 1990년 25조 원 수준에서 2003년 167조 원으로 6배 이상 증가 통신방송서비스의 경우 서비스업의 특성상 수출과 수입 비중이 제조업에 비해 낮고, 수요 측면에서 타 산업 중간재 수요와 최종소비지출에 사용되는 비중이 높음. 컴퓨터관련서비스의 경우 1990년 5천억 원에서 2003년 22조5천억 원으로 45배 가량 증가하였음.
2. 우리나라 IT산업의 산업구조 분석 • 생산구조 - 우리나라 IT산업은 IT인프라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활성화시키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IT기기 생산 확대 과정을 통해 성장함. - 반도체, LCD 패널, 휴대폰 등의 세계 시장에서 주요 플레이어로 자리잡음. - 국내 IT산업에서도 서비스화
2. 우리나라 IT산업의 산업구조 분석 • 중간재 투입구조 산출 • 중간투입률 = (중간재투입액/총산출액)*100 <-> 중간재투입액=(중간투입률*총산출액)/100 위에서 구한 중간재투입액을 토대로 국산중간재투입액 산출 국산화율 = (국산중간재투입액/중간재투입액)*100 <-> 국산중간재투입액=(국산화율*중간재투입액)/100 • 전체산업 중간투입률 : 55~57% 국산화율 : 78.6%
2. 우리나라 IT산업의 산업구조 분석 • IT 중간재 투입률 • IT중간재가 전체산업에 중간재로 투입된 비율 • IT제조업, 통신방송서비스, 컴퓨터관련서비스 분야의 IT중간투입률 높음. IT산업에서 IT중간재 가장 많이 투입 (PDA+이통서비스, PMP+WiFi 등 IT 서비스 융합)
2. 우리나라 IT산업의 산업구조 분석 • 부가가치 구조 • 부가가치율=(부가가치액/총산출액)*100 • 부가가치액 = (부가가치율 *총산출액)/100 • 2003년 기준 전체산업 부가가치율 : 44.1% / IT제조업 :27.5% 컴퓨터및주변기기 영상및음향기기 부문 부가가치율 낮기 때문 • 통신및방송기기 부가가치율 낮아지는 추세(휴대폰 시장 성숙기, 기술 보편화) 스마트폰, 특화폰 등 고기능 휴대폰 출시 등 노력
2. 우리나라 IT산업의 산업구조 분석 산업별 중간수요율 추이 • 중간수요율 • 중간수요율 = (중간수요액/총수요액) * 100 자료 : 한국은행 산업연관표의 생산자가격표(2003) 어느 한 산업의 생산물이 다른 부문의 생산에 중간재로 배분되는 정도를 나타냄. 중간재로 많이 사용될 수록 높음. • IT 제조업의 경우 제조업 59.8%에 비해 20%이상 낮은데, 그 이유는 IT산업의 수출비중이 타산업에 비해 매우 높기 때문임.
3. IT산업의 파급효과 분석 • 생산유발효과 산업별 생산유발계수 산업연관표의 내생부분(I)에서 도출되는 투입계수가 안정적이라는 가정하에 소비, 투자, 수출 등 최종수요가 변화할 때 이를 충족하기 위하여 직간접으로 필요한 산출 단위를 의미. (I-A^d)^(-1) • 열합계: 해당 산업부문의 최종수요 한 단위를 충족하기 위하여 직간접적으로 필요한 전부문의 산출단위후방연쇄효과를 반영 >2 :음식료품, 인쇄, 화학제품 비금속광물제품, 제1차금속 <2 : IT산업의 경우, 주요산업인 자동차, 일반기계, 화학제품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음
3. IT산업의 파급효과 분석 • 생산유발효과 전반적으로, 1998년 생산유발계수 열합계는 낮은값을 나타내다가, 2000년 들어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전자부품제조업과 컴퓨터 및 주변기기의 경우 점차 낮아짐.
3. IT산업의 파급효과 분석 • 생산유발효과 산업별 생산유발계수 • 행합계: 각 부문의 최종수요가 한 단위씩 증가하였을 때 이를 충족하기 위하여 필요한 해당 산업부문의 산출단위 >2 : 제1차금속, 부동산및사업서비스, 화학제품, 금융및보험, 석유석탄제품, 도소매, 운수및보관 등 • <2 : 부품제조업, 통신서비스, 컴퓨터관련서비스, 반도체제조업 등 상대적으로 낮음.
3. IT산업의 파급효과 분석 • 생산유발효과 >2 :음식료품, 인쇄, 화학제품 비금속광물제품, 제1차금속 1998년 이후 반도체제조업, 통신서비스, 방송서비스, 컴퓨터관련서비스의 행합계가 증가하여 이들 산업은 다른 산업에 중간재를 판매하여 전방 연쇄효과를 야기하는 정도가 점차 커지고 있음. .
산업별 영향력계수 및 감응도계수 3. IT산업의 파급효과 분석 •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각 산업간의 상호의존관계의 정도를전산업 평균치 대비 상대적 크기로 나타낸 것. • 영향력계수: 어떤 산업부문의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한 단위 증가하였을 때 전산업부문에 미치는 영향–후방연쇄효과의 정도를 전산업 평균에 대한 상대적 크기로 나타낸 계수 =전산업의 평균/당해 산업의 생산유발계수의 열합계 .
3. IT산업의 파급효과 분석 •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 감응도계수: 모든 산업부문의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각각 한 단위씩 증가하였을 때 어떤 산업이 받는 영향 –전방연쇄효과가 어느 정도인가를 전산업 평균에 대한 상대적 크기로 나타내는 계수 =해당 산업의 생산유발계수의 행합계 / 전산업의 평균 2003년 IT산업의 영향력계수는 영상및음향기기, 방송서비스를 제외하고는 1 미만으로 전산업 평균에 비해 후방연쇄효과가 낮고, IT산업의 감응도계수도 1 미만으로 전방연쇄효과 역시 전산업 평균에 비해 낮음.
산업별 부가가치유발계수 추이 3. IT산업의 파급효과 분석 • 부가가치유발효과 • 부가가치 유발계수: 어떤 산업의 국내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한 단위 증가한 경우 국민경제전체에서 직간접적으로 유발되는 부가가치 단위. 부가가치유발계수 AV(I-Ad)^(-1) 로 계산 IT제조업의 부가가치유발효과는 타제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반면 통신방송서비스와 컴퓨터관련서비스의 경우는 타 서비스업과 유사한 수준.
산업별 수입유발계수 추이 3. IT산업의 파급효과 분석 • 수입유발효과 • 수입유발효과:최종수요 한단위 증가에 따른 국민경제에 직간접적으로 유발되는 수입의 단위. 수입투입계수(Am)에생산유발계수표를 연계한 값. IT제조업의 수입유발계수는 화학이나 자동차, 조선등에 비해 높게 나타남.
3. IT산업의 파급효과 분석 • 고용유발효과 및 취업유발효과 • 고용유발계수 = 노동계수 * 생산유발계수 노동유발계수의 열합계는 한 산업 부문의 최종수요가 10억원 발생하였을때 전 산업부문에서 직간접적으로 유발되는 총 노동량을 의미. • IT 제조업의 취업유발효과 최종수요가 10억 증가할때 반도체제조 6.2명 전자부품제조 9.3명 영상및음향기기 13명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