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3

윤 서 라

근막통 증후군 (Myofacial Pain Syndrome). 윤 서 라. 호남병원 재활의학과. 정의 : 근육 (myo) 과 근육을 감싸는 근막 (fascia) 에 존재하는 방아쇠점 (trigger point) 에서 유래하는 통증을 주증상으로 하고 그 외 다양한 증상과 기능이상을 나타내는 통증 증후군 호발부위 : 경추부 , 고관절 주위 , 견갑부 , 요추부의 근육 유병율 : 외래 환자의 30-90%, 여성 , 30 세 -49 세 감별진단

baka
Download Presentation

윤 서 라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근막통 증후군 (Myofacial Pain Syndrome) 윤 서 라 호남병원 재활의학과

  2. 정의 • : 근육(myo)과 근육을 감싸는 근막(fascia)에 존재하는 방아쇠점(trigger point)에서 유래하는 통증을 주증상으로 하고 그 외 다양한 증상과 기능이상을 나타내는 통증 증후군 • 호발부위 • : 경추부, 고관절 주위, 견갑부, 요추부의 근육 • 유병율 • : 외래 환자의 30-90%, 여성, 30세-49세 • 감별진단 • : 만성 염좌, 근육통, 신경통, 근육류마치스

  3. 병태 생리(I) • 원인 • : m/c - 급성 과부하 • : 반복누적 손상, 직접 손상, 오한, • 스트레스 • : 이차적 - 신경근병증, 내장질환 • 발생기전 • : 운동종말판의 기능이상 이론 • (dysfunctional endplates region)

  4. 병태 생리(II) • 만성화 요인 (perpetuating factor) • : 외부적 원인 • : 내부적 원인 • - 물리적인 스트레스 • : 양측 다리길이의 차이, 비대칭적인 골반 • 비정상적인 자세 • - 내분비 이상 • - 영양부족 • - 감염

  5. 임상 증상 • 전이통, 심부 압통, 관절운동범위의 제한 • 방아쇠 점을 가진 근육의 근약증 • 자율신경계 증상 - 눈물, 콧물, 눈의 충혈, 어지러움, 이명 • 만성통증으로 인한 우울증, 수면장애 • 통증의 정도 - 활성화에 따라 다양 • 꾀병, 정신신체장애로 오인

  6. 진 단 • 주된 기준 • 1. 국한된 자발적인 통증 • 2. 예견된 전이통 지점의 감각 변화. • 3. 근육내 단단하게 만져지는 띠. • 4. 단단한 띠 주위의 예민한 지점에서 발견되는 국한된 압통 . • 5. 어느 정도 측정할 수 있는 운동범위의 제한. • 부수적 기준 • 1. 통증유발점에 압력을 가하여 생기는 자발적인 통증의 재생 • 혹은 감각의 변화. • 2. 통증유발점으로 바늘의 삽입 혹은 눌렀을때 생기는 국소 • 연축 반응. • 3. 통증유발점에 주사 혹은 근육 신장으로 얻어진 통증 감소.

  7. 치 료 • 방아쇠점 압박 이완법 • 방아쇠점 주사

  8. 운동치료 • - 스트레칭, 근육강화운동 • 만성화 요인과 유발인자 확인, 해결 • 기타

  9. 결 론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