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0 likes | 740 Views
암과 식생활. 안상훈 (Sang-Hoon Ahn, M.D., M.P.H.) Hollywood Presbyterian Medical Center. 암과 식생활. 암의 약 35% 정도는 음식과 연관되어 발생 한국인과 미국 이민자의 대장암 , 유방암 , 위암 발생률 식생활 연구의 어려움. 암과 식생활. 암을 치료할 수 있는 기적의 음식은 없다 ! 영양소의 균형이 중요 전체적 식단 vs 개별 영양소. 열량의 균형 (Caloric balance). 보통 하루 1800 내지 2000 칼로리가 필요
E N D
암과 식생활 안상훈 (Sang-Hoon Ahn, M.D., M.P.H.) Hollywood Presbyterian Medical Center
암과 식생활 • 암의 약 35% 정도는 음식과 연관되어 발생 • 한국인과 미국 이민자의 대장암, 유방암, 위암 발생률 • 식생활 연구의 어려움
암과 식생활 • 암을 치료할 수 있는 기적의 음식은 없다! • 영양소의 균형이 중요 • 전체적 식단 vs 개별 영양소
열량의 균형 (Caloric balance) • 보통 하루 1800 내지 2000 칼로리가 필요 • 악액질 (Cachexia) • Pro-inflammatory cytokines • 많은 열량이 필요 • 비만 • 암의 재발이 증가 • 특정암의 사망 위험성 증가
영양소: 탄수화물 (Carbohydrate) • 우리 몸에 열량을 공급하는 주요 에너지원 • 탄수화물이 부족하게 되면 기초 체력 저하, 피곤함, 체중 감소 등의 특징 • 밥, 국수, 빵, 떡, 감자, 고구마, 옥수수 등
탄수화물 (Carbohydrates) • 당(sugar)이 직접 암의 재발을 유발하지는 않음 • 인슐린(Insulin)은 IGF-1 증가 유발 • 통곡 (Whole grain) • 대사 증후군과 역관계 • 섬유소 (Fiber) • 탄수화물 흡수를 느리게 함 • 정제 된 밀가루나 설탕 (refined flours and sugars)을 피하고, 통곡으로 대체하여 인슐린 치를 정상화
영양소: 단백질(Protein) • 체세포의 구성 요소로서 우리의 몸을 구성하고 유지시키는 역할 • 각종 효소, 호르몬, 항체 등의 성분 •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의 육류와 생선류, 조개류, 계란, 두부, 우유 등
단백질 (Protein) • 붉은 육류, 간, 베이컨은 유방암 재발률을 2배 높인다 • 콩(Soy products)과 유방암 • Soy isoflavones은 에스트로겐과 구조가 유사하므로 과량 섭취는 유방암 재발을 높일 수 있음 • 식사의 일부로서 적절한 양의 콩 섭취는 문제 없음 (하루 25gram-두유 1팩, 두부 100gram)
단백질 (Protein) • 우유에 IGF-1가 포함 • 가장 좋은 단백질은 식물성 단백질, 생선, 적정양의 콩과류 • 과량의 유제품(dairy products) 섭취는 해로울 수도 있음
영양소: 지방 (Fat) • 우리 몸에 열량을 공급하는 주요 에너지원 • 참기름, 들기름, 콩기름, 버터 등
지방 (Fat) • 염증(inflammation)과 호르몬 환경(hormonal milieu)변화 유발 • 좋은 지방의 source는 오메가3, 단순 불포화지방(monounsaturated fats, mainly in nuts & seeds), 어유(fish oil)
영양소:비타민과 무기질 (Vitamins & minerals) • 우리 몸의 생리 기능을 조절 • 우리 몸의 정상적인 성장, 발달 및 건강 유지에 필수적이므로, 적은 양이지만 규칙적으로 섭취해 주는 것이 필요 • 야채와 과일 등
미량 영양소(Micronutrients) • 비타민E는 두경부암 환자의 사망률을 높일 수 있음 • 베타 카로틴(Beta-carotene)은 폐암 발생률을 높일 수 있음 • 붉은 육류의 철분(heme iron)은 산화 촉매 작용을 통해 암 유발에 관여할 수 있음 • 음식물(Whole foods or food extracts) 형태의 섭취가 특정 영양소 (single nutrient supplement)만 보충하는 것보다 암 예방에 더 효과적
과일, 채소, Phytochemicals • Curcumin • 녹차(Green tea) and resveratrol (grape) • Lycopene (토마토) • Ellagic acid (pomegranate, berries) • Indole-3-carbinol (십자화과 식물-crucifers)
영양소: 물 (Water) • 우리 몸의 혈액과 신체 각 조직을 구성 • 영양소와 노폐물을 운반하고 체온을 유지해 주는 등 인간의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요소 • 하루에 성인에게 필요한 물은 6~8컵 정도
암을 예방할 수 있는 식품 및 영양소 • 항산화제(Antioxidant) • 신체 내에 생성된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발암물질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세포 및 DNA의 손상을 예방 • 영양보충제를 통한 섭취보다는 채소나 과일을 통해 섭취하였을 때 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더욱 큼
암을 예방할 수 있는 식품 및 영양소 • 식물생리활성물질(Phytochemicals) • 식물성 식품에 미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성분으로 파이토케미칼(phytochemical)이라 지칭 • 신체 내에서 항산화 작용, 해독작용, 면역기능 증진, 호르몬 역할 조절 및 박테리아나 바이러스를 죽이는 작용 • 모든 채소와 과일, 콩류, 차류, 견과류(호두, 밤, 잣 등) 등에 함유
암을 예방할 수 있는 식품 및 영양소 • 식이섬유 (Fibers) • 체내 소화효소의 부재로 인해 소화할 수 없는 다당류 • 장의 운동량을 증가시켜 변비를 예방하고 발암물질의 장 통과 시간을 단축시키고 발암물질의 배설을 촉진시켜 암을 예방 • 식물성식품인 곡류, 채소, 과일 등에 다량 함유
암예방을 위한 식생활 지침 • 음식을 짜지 않게 먹습니다. • 햄, 소시지, 3분 요리와 같은 가공식품보다는 신선한 채소나 과일과 같이 가공하지 않은 식품을 선택합니다. • 만일 가공식품을 구입해야 할 경우 가공식품 내 영양표시를 보고 나트륨 함량이 낮은 식품을 선택합니다. • 식탁에 별도의 소금이나 간장을 놓지 않습니다. • 요리 시 소금과 간장 사용을 줄이는 대신 후추, 허브, 맵지 않은 고추를 적당량 사용하여 음식의 맛을 냅니다. • 현재 먹고 있는 음식의 간보다 싱겁다는 생각이 들 수 있도록 음식의 간을 줄입니다. • 김치는 식탁에 한 종류만 놓습니다. • 오징어젓 등과 같은 젓갈이나 깻잎장아찌, 무장아찌 등의 장아찌류는 가능한 섭취하지 않도록 합니다. (염 (소금) 저장식품을 식탁에 한 종류 이상 놓지 않습니다.) • 요리 시 화학조미료의 사용을 제한합니다. • 국, 찌개의 섭취량을 줄입니다.
암예방을 위한 식생활 지침 • 탄 음식을 먹지 않습니다. • 육류 섭취 시, 이를 구워 먹기(숯불구이, 직접 구이 등)보다는 삶거나 끓여서 (수육, 보쌈 등) 먹습니다. • 숯불로 굽거나 직접 구워 탄 음식의 섭취는 삼갑니다.
암예방을 위한 식생활 지침 • 채소와 과일을 충분히 먹습니다. • 하루에 5 or more servings • 생채소를 매일 매끼니 먹습니다. • 과일은 하루 두 번 정도 적당량 섭취합니다. (1회 섭취량의 예 : 귤 1개, 사과 1/2개, 딸기 10개 등) • 간식을 선택할 때에는 스낵이나 과자류를 신선한 과일이나 과일주스 또는 채소나 과일을 건조한 스낵으로 대체하여 구입합니다. • 매일의 끼니에 김치 이외에 채소를 이용한 음식이 포함되도록 메뉴를 작성합니다. • 요리 시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채소를 이용할 수 있는 음식을 만듭니다. (예 : 잡채, 냉채, 육개장 등)
암예방을 위한 식생활 지침 • 섬유소 섭취를 많이 합니다. • 채소나 과일, 현미, 보리 등과 같이 섬유소 함량이 높은 식품을 선택합니다. • 정제된 밀가루로 만든 제품 대신 통밀이나 잡곡을 이용한 잡곡빵이나 통밀빵 등을 선택합니다. • 가공식품 구입 시 영양표시를 참고하여 섬유소 함량이 높은 식품을 선택합니다. (가능한 1회 섭취분량 당 식이섬유 함량이 4g 이상인 것을 선택합니다.) • 쌀밥을 먹기보다는 잡곡밥, 현미밥, 콩밥 등을 먹어 섬유소 섭취를 증가시킵니다. • 간식으로 과자나 탄산음료 대신 고구마(중 1개 정도), 채소(예 : 당근 1/5개, 오이 1/4개 정도) 및 과일(예 :사과 1/2개, 딸기 10개 정도)을 먹습니다.
암예방을 위한 식생활 지침 • 다채로운 식단으로 균형 잡힌 식사를 합니다. • 다양한 종류의 잡곡 및 도정하지 않은 곡류를 섭취합니다. • 두류 및 두류 가공품 (두유, 두부 등)을 매일 섭취합니다. • 저지방 우유를 하루 1잔 정도 마십니다. • 너무 뜨겁거나 매운 음식의 섭취는 피합니다.
암예방을 위한 식생활 지침 • 붉은 육류와 육가공품의 섭취는 제한합니다. • 붉은 육류(돼지고기, 쇠고기)는 주 2회 미만으로 제한합니다. • 햄, 소시지, 베이컨 등과 같이 가공한 육류의 섭취는 주 1~2회 미만으로 제한합니다.
암예방을 위한 식생활 지침 • 지방 함량을 낮춥니다. • 지방 함량이 적은 육류나, 육류 대신 생선이나 콩류로 대체하여 구입하며, 이들을 이용한 요리를 먹도록 합니다. (예 : 삼겹살 대신 갈치나 두부를 구입) • 지방함량이 낮은 식품을 선택합니다. (예 : 일반우유 대신 저지방우유, 포테이토칩 대신 구운 감자 스낵을 구입) • 식사 시 별도의 지방을 첨가하여 섭취하지 않도록 합니다. (예: 샐러드 섭취 시 마요네즈 드레싱을 사용하지 않고 과일드레싱이나 머스터드 드레싱 사용하기, 식빵 섭취 시 버터를 바르지 않고 그냥 먹기 등) • 채소를 이용한 조리 시, 채소를 튀기기 보다는 볶거나 나물 요리로 조리합니다.
암예방을 위한 식생활 지침 • 알코올 • 다양한 종류의 암(두경부암, 폐암 등)과 연관 • 남성: 하루 두 잔 이하, 여성: 하루 한 잔 이하 • 자연식(Organic food)이 암 예방에 효과가 더 좋다는 증거는 없음 • 영양 보충제(nutritional supplements)보다는 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