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7k likes | 1.95k Views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Ubiquitous HomeNetWork. 차 례. 1. 유비쿼터스란 ?. 2. 홈 네트워크란 ?. 3. 론 메이커 사용법. 4. 조명 제어 실습. 5. 커튼 제어 실습. 3. 론 메이커 사용법.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1. 윈도우 화면 아래쪽 트레이의 시작 → 프로그램에서 LonMaker for Windows 를 실행한다. 2. New Network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프로젝트를 작성한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E N D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Ubiquitous HomeNetWork
차 례 1. 유비쿼터스란? 2. 홈 네트워크란? 3. 론 메이커 사용법 4. 조명 제어 실습 5. 커튼 제어 실습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1. 윈도우 화면 아래쪽 트레이의 시작 → 프로그램에서 LonMaker for Windows를 실행한다. 2. New Network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프로젝트를 작성한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3. Enable Macros를 눌러서 Network 생성을 시작한다. 론 메이커는 Visio 환경에서 매크로를 이용하여 동작되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Enable Macros를 항상 선택해야 합니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4. Network Name 창에 새로운 프로젝트의 이름을 넣어준다 5. 장비의 이름이 ED5963이므로 ED5963이라고 이름을 넣어준 뒤 Next버튼을 클릭합니다.
클릭2 클릭1 론 메이커 사용법 6. Network Attached란 이름의 라디오 버튼과 Network Interface Name을 X.Default.iLON100을 선택하고 Next를 클릭한다. 온라인 상태에서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하여 Network Attached를 선택합니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7. Management Mode를 설정한다. 장비와 연결되어져 있는 상태에서 작업을 할 경우에 onnet을 선택한 후 Next를 클릭한다. 온라인에서 프로그램을 하려면 Onnet을 오프라인에서 프로그램을 하려면 Offnet을 선택합니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8. 작업할 Plug-in을 등록하기 위한 창입니다. Finish를 눌러서 다음으로 진행한다.
론 메이커 사용법 플러그 인(Plug-in)이란? 플러그 인은 론 메이커에서 동작하는 보조 소프트웨어 입니다. 플러그 인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플러그 인을 디바이스 제조사가 공급할 수도 있고 공급하지 않을 수도 있는 보조적 프로그램입니다. <DI4DO4의 플러그인> <iLON100의 플러그인>
론 메이커 사용법 9. 완료가 되면 다음과 같은 Network Interface가 생성된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10. 먼저 i-Lon 100을 작업 창에 등록하기 위해 오른쪽 Shapes에서 iLON 100 Shapes 1.0을 선택한 후 I.LON 100 FTT 아이콘을 드래그 앤 드롭하여 작업 화면에 갖다 놓는다.
클릭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11. 다음과 같은 창이 생성되고 i-Lon 100의 이름을 iLON100으로 결정한 다음 commission Device에 체크를 한 후 Next를 클릭한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12. i-Lon 100의 채널을 선택하는 창으로 TP/FT-10, Channel 1을 선택하고 Next를 클릭한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13. i-Lon 100의 Property와 설명을 써주고 싶으면 써준 후 Next를 눌러준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14. i-Lon 100을 인식시키는 방법에 대한 선택으로 Service Pin 방식으로 설정한 후 Next를 눌러준다.
론 메이커 사용법 iLON100 인터넷 서버 서비스 핀이란? 서비스 핀 서비스 핀이란 디바이스를 인식하는 특별한 IO를 말합니다. 론 디바이스는 모두 서비스 핀을 가지고 있으며 서비스 핀을 누르게 되면 12자리의 고유 아이디가 네트워크로 전송됩니다. 서비스 핀을 누르지 않고 고유 아이디를 넣어주어 디바이스를 인식시킬 수도 있습니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15. i-Lon 100의 상태를 Online으로 체크해 준 후 Finish를 눌러준다.
론 메이커 사용법 16. Service Pin 대기 상태가 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뜨게 되고 Service Pin 입력이 들어올 때까지 대기한다. iLON100에 서비스 핀을 눌러줍니다.
론 메이커 사용법 17. i-Lon 100의 Service Pin을 뾰족한 것으로 눌러주면 다음과 같은 대기화면이 생성되고 Device의 생성이 이루어진다.
론 메이커 사용법 18. 다음과 같이 작업 창에 i-Lon 100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론 메이커 사용법 19. I-Lon 100이 등록되었으면 Control 디바이스를 등록해 보기로 한다.왼쪽 LonMaker Basic Shapes에서 Device를 클릭하고 Device 아이콘을 드래그 앤 드롭으로 작업 화면에 갖다 놓으면 다음과 같은 창이 생긴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20. Device의 이름을 결정한 다음 commission Device에 체크를 한 후 Next를 눌러준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21. 디바이스에 대한 속성을 결정해주기 위하여 Existing Template에서 iNode_DIO을 선택한 후 Next를 눌러준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22. Device의 Channel을 선택해 준 다음 Next를 눌러준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23. Device의 Property와 설명을 써주고 싶으면 써준 후 Next를 눌러준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24. Device를 인식시키는 방법에 대한 선택으로 Service Pin 방식으로 설정한 후 Next를 눌러준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25. Device의 Application Image를 설정해주는 부분으로 여기서는 설정해 줄 필요가 없습니다. Next를 눌러준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26. Device의 상태를 Online으로 체크해 준 후 Finish를 눌러준다.
론 메이커 사용법 27. Service Pin 대기 상태가 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뜨게 되고 Service Pin 입력이 들어올 때까지 대기한다.
론 메이커 사용법 28. 다음과 같이 작업 창에 DI4DO4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론 메이커 사용법 29. 왼쪽 LonMaker Basic Shapes에서 Channel를 클릭하고 Channel 아이콘을 드래그 앤 드롭으로 작업 화면에 갖다 놓습니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30. 채널의 이름을 PowerLine이라고 입력하고 트랜시버 타입을 PL-20N으로 설정한 후 OK버튼을 클릭합니다. (PL-20N은 전력선을 의미합니다.)
론 메이커 사용법 31. 새로운 채널이 생성되었습니다.
채널이란? 채널이란? • 동일한 물리매체를 사용하는 디바이스끼리 연결된 통신라인을 의미합니다. • 통신매체는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꼬임 선을 사용하는 FT • 전력선을 통신 매체로 사용하는 PL • UTP케이블을 사용하는 Ethernet • 주파수를 통신 매체로 사용하는 무선 • 서로 다른 채널을 연결하기 위하여 라우터를 사용합니다.
론 메이커 사용법 32. 서로 다른 통신매체를 연결하기 위하여 왼쪽에 라우터를 오른쪽 작업 창에 올려놓습니다.
론 메이커 사용법 33. 채널과 채널을 연결하는 라우터의 이름을 넣어주고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34.자동으로 채널1과 PowerLine를 연결합니다.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35. Location 정보는 자동으로 생성되므로 Next를 눌러준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36. 라우터의 환경설정 창입니다. Next를 눌러준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37. 디바이스 인식방법을 서비스 핀으로 선택하고 디바이스를 커미션 합니다.
론 메이커 사용법 38. 채널과 채널을 연결하는 라우터의 설정이 끝났습니다. 새로운 디바이스를 생성하기 위하여 Device 아이콘을 작업 창에 끌어다 놓습니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39. Device의 이름을 결정한 다음 commission Device에 체크를 한 후 Next를 눌러준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40. Load XIF 버튼을 선택한 후 Browse…버튼을 클릭합니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41. PL_LPS.XIF를 선택한 후 열기버튼을 클릭합니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42. 인터페이스 파일(XIF)을 선택하였으므로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43. Auto-Detect를 선택한 후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44. Location 정보는 자동으로 생성되므로 Next를 눌러준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45. 디바이스 인식방법을 서비스 핀으로 선택하고 디바이스를 커미션 합니다.
클릭 론 메이커 사용법 46. 프로그램 이미지를 로드 하는 부분입니다. Next버튼을 클릭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