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 likes | 1.15k Views
임상작업치료평가. 김형민교수님 작업치료과 1191010 김재은. 목 차. 1. 작업 (occupation) 이란 ? 2. 물리치료와 작업치료의 차이 3. 제 1 장 작업치료의 용어와 영역 4. 제 2 장 작업치료과정 5. 제 3 장 작업치료평가. 작업 (Occupation) 이란 ? Activities of every life 일상 생활의 움직임 작업치료사의 역할은 ? 개인이 의미 있고 목적 있는 “ every life activity ” 를
E N D
임상작업치료평가 김형민교수님 작업치료과 1191010 김재은
목 차 1. 작업(occupation)이란? 2. 물리치료와 작업치료의 차이 3. 제 1장 작업치료의 용어와 영역 4. 제 2장 작업치료과정 5. 제 3장 작업치료평가
작업(Occupation)이란? Activities of every life 일상 생활의 움직임 작업치료사의 역할은? 개인이 의미 있고 목적 있는 “every life activity ”를 할 수 있도록 돕는 것
Physical therapist Functional abilities (2012 wikipedia) Functional movement (WCPT) Movement and functional ability (WCPT) Occupational therapist Promote health (2012 wikipedia) Health and well-being (WFOT) Health and participation (2008 AOTA) 물리치료와 작업치료의 차이
제 1장 작업치료의 용어와 체계작업치료 실행체계 • 작업영역 • 기본적 일상생활활동(ADL) • 수단적 일상생활활동(IADL) • 휴식과 수면 • 교육 • 일 • 놀이 • 수행기술 여가 수행패턴 • 운동기술 사회참여 습관 • 처리기술 일과 •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기술 역할 • 배 경 행동요건 고객요소 • 문화적 사물의 사용과 특성 신체기능 • 물리적 요구되는 공간 신체구조 • 사회적 사회적 요구 • 개인적 순서와 시간 • 영적 요구되는 동작 • 시공간적 요구되는 신체 기능 • 가상적 요구되는 신체 구조
제 1장 작업치료의 용어와 영역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질병분류의 변화 • WHO에서 국제질병분류체제(ICD) 제시 → 1980년 국제장애분류(ICIDH) 발표 → 2001년 ICIDH-2 발표 → 2001년 5월 ICF 공식적인 명칭 변경 ★ ICF → 그들이 기능하는 것과 관계가 있는 개인과 환경 요소들의 영향력을 고려하고 모든 사람은 장애를 가질 수 있는 기회가 있다는 연속체로서 건강을 고려한 보편적 모델로 채택
제 1장 작업치료의 용어와 영역이론이란? • 관찰할 수 있는 현상을 예상하고, 조직하고 설명하는데 쓰일 원리를 제공하는 것 이론의 틀 평가나 중재에 접근하는 방식을 체계화하고, 평가를 위한 기준에 기여하며 치료사가 이론을 중재전략에 연계하고, 선택된 중재 방법들에 임상적 추론을 적용하도록 돕는다.
제 2장 작업치료과정1. 의뢰2. 평가1) 작업 프로파일 • 고객이 누구인가? • 왜 작업치료서비스를 받고자 하는가? • 어떤 작업과 활동이 가능하고 또는 문제를 야기하는가? • 어떤 배경과 환경이 원하는 결과를 지지하거나 방해하는가? • 고객의 과거력은? • 고객의 우선순위는 무엇이며 얻고자 하는 결과가 무엇인가?
2) 작업수행분석 - 작업프로 파일로부터 얻은 정보 분석 • 하고자 하는 직업, 활동에서 고객의 수행 관찰 • 수행의 촉진 요인과 저해요인을 형성화한 평가자료해석 • 작업수행의 강점과 약점에 관한 가설을 설정하고 확인 • 목표를 설정하고 얻고자 하는 결과를 정하기 위해 고객과 협력 • 최고의 실기와 근거에 입각해 중재의 범위 측정 3. 중재 4. 결과
1) Top-down approach 예) 돌을 깎고 다듬어 만드는 방식 평가는 환자에게 중요한 역할과 작업에 초점을 두며 특히 병전에 종사했던 것에 초점이 주어진다. 2) Bottom-up approach 예) 벽돌을 쌓아 만드는 방식 작업의 구성요소를 평가하여 환자의 문제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처음에 수행요소 장애에 초점을 둔다. 제 3장 작업치료 평가평가 접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