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0 likes | 676 Views
2 장 . 텍스트를 이용한 문서작성. 학습목표. 8 주 차시 : 1/3 ∼ 3/3 배당시간 : 18 시간 강의방법 : 실습 , 강의식 , 대화식 , 모듐학습. 문장 작성에 필요한 태그의 사용 방법을 알 수 있다 . 텍스트 모양과 관련된 태그를 알 수 있다 . 문단 모양과 관련된 태그를 알 수 있다. 1 절 . 문장 작성 태그. 1.1 기본 문장 작성 (1) 줄 바꾸기 <br> 태그는 “ line BReak” 의 의미로 문장을 강제로 줄바꿈 할 때 사용하며 ,
E N D
2장. 텍스트를 이용한 문서작성 학습목표 • 8주 차시 : 1/3 ∼ 3/3 배당시간 : 18시간 • 강의방법 : 실습, 강의식, 대화식, 모듐학습 • 문장 작성에 필요한 태그의 사용 방법을 알 수 있다. • 텍스트 모양과 관련된 태그를 알 수 있다. • 문단 모양과 관련된 태그를 알 수 있다.
1절. 문장 작성 태그 1.1기본 문장 작성 (1) 줄 바꾸기 <br>태그는 “line BReak”의 의미로 문장을 강제로 줄바꿈 할 때 사용하며, 구분된 줄 사이의 간격은 붙어있는 상태이다. 여러 줄의 공백을 삽입할 경우에는 <br>태그를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종료 태그가 필요 없다.
(2) 문단 바꾸기 • <p>태그는 <br>태그와 달리 다음 문단과 하나의 빈 줄 여백을 표현, 단순히 줄을 바꾸는 것이 아닌 문단을 구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태그이다.
1.2다양한 입력방식 (1) 기호문자 표시 • 공백을 비롯한 <,>,”,”,&등의 문자는 태그명령어나 인수를 다른 텍스와 구분하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그대로 사용할 수 없다. 그래서 이러한 기호들은 ISO Latin-1 Character Set 이라는 정해진 문자세트 값을 이용하여 표현 한다.
(2) 입력 상태 표시 태그 • <pre>태그와 <Xmp>태그를 사용하여 메모장에서 입력한 텍스트 및 태그를 그대로 웹 브라우저에서 표현할 수 있으며, 종료 태그를 사용해야 한다. <html> <head> <title>기호 문자 표현</title> </head> <body> <pre> 하나의 공백은 "spacebar키"로 구분할 수 있다.<p> 하나 이상의 여러개의 공백은 spacebar 키로 구분할 수 없다.<p> 또한 <enter>키를 아무리 눌러도 줄은 변하지 않는다. <p> </pre> <xmp> &나 ©, £, ¢ 등의 다른 문자와 구별하거나 키보드로 표현할 수 없는<br> 다양한 기호들은 별도로 표현해야 한다. </xmp> </body> </html>
<xmp>: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태그 명령 자체를 표현
2절.텍스트 관련 태그 2.1텍스트의 표현 (1)<font>태그 • 글자와 관련된 속성을 부여하여, 텍스트를 다양한 형태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형식과 속성은 다음과 같다.
<html> <head> <title>글자 색상</title> </head> <body> <font size=6 color=purple><초 혼></font><p> <font color=lime>김 소 월</font><p> <font size=7 color=orange>산산히 부서진 이름이여!<br></font> <font size=6 color=cyan>허공중에 헤어진 이름이여!<br></font> <font size=5 color=navy>불러도 주인없는 이름이여!<br></font> <font size=4 color=skyblue>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font><p> <font size=4 color=#b22222>심증에 남아있는 말 한 마디<br></font> <font size=3 color=#90ee90>끝끝내 마저 하지 못하였구나.<br></font> <font size=2 color=#ff6347>사랑하는 그 사람이여!<br></font> <font size=1 color=#4169e1>사랑하던 그 사람이여!</font> </body> </html> ②글자 색상
<html> <head> <title>글자 색상</title> </head> <body> <font size=6 color=purpleface=HY예서M><초 혼></font><p> <font color=lime face=궁서>김 소 월</font><p> <font face=휴먼옛체><font size=7 color=orange>산산히 부서진 이름이 여!<br></font> <font size=6 color=cyan>허공중에 헤어진 이름이여!<br></font></font> <font face=휴먼매직체><font size=5 color=navy>불러도 주인없는 이름이 여!<br></font> <font size=4 color=skyblue>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font></font><p> <font face=서울도시><font size=4 color=#b22222>심증에 남아있는 말 한 마디 <br></font> <font size=3 color=#90ee90>끝끝내 마저 하지 못하였구나.<br></font></font> <font face=HY센스L><font size=2 color=#ff6347>사랑하는 그 사람이여!<br></font> <font size=1 color=#4169e1>사랑하던 그 사람이여!</font></font> </body> </html> ③글꼴
(2) 텍스트 효과 • <font>태그와는 별도의 태그를 사용해야 함. • 텍스트 효과에 대한 태그를 중복시켜 동일한 텍스에 여러 효과를 적용시킬 수 있다. • 종료 태그를 사용하여 효과를 적용할 대상을 설정해야 함
<소스> <html> <head> <title>글자 효과</title> </head> <body> <font size=4> 중요한 부분은 글자를 <b>진하게</b> 표시합니다.<p> 자료를 인용할 때에는 <i>이탤릭체</i>로 표시합니다.<p> 강조하고자 할 때에는 <u>밑줄</u>로 표시합니다.<p> 텍스트 내용을 취소할 때에는 <s>취소선</s>으로 표시합니다.<p> 수학식에서는 <sup>윗첨자</sup>나 <sub>아랫첨자</sub>를 사용합니다. </font> </body> </html>
2.2제목의 표현 • <Hn>형식을 이용한다. • n은 1~6까지의 인수를 가질 수 있다. • <font>태그의 size속성과는 반대로 숫자가 커질수록 글자의 크기가 작아진다. <html> <head> <title>제목 태그</title> </head> <body> <h1>제목 태그는</h1> <h2>문서의 제목을</h2> <h3>별도로 표현하기에 적합하고</h3> <h4>자동으로 문단이 구분된다.</h4> <h5>문서 각 항목에 맞도록</h5> <h6>태그의 인수를 변경하여 사용한다.</h6> </body> </html>
제목태그를 사용했을 경우 자동으로 문단이 바뀌므로 <p>,<br>태그를 사용하지 않는다.
2.3문단 태그 (1) 문단 정렬 • <p>태그로 구분된 텍스트를 의미하여 태그의 속성을 이용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일정한 기중에 의해 정렬시킬 수 있다.
<html> <head> <title>문단 정렬</title> <head> <body> <p align=center>제목이나 핵심은 가운데 정렬 시킨다.</p> <p align=right>지은이나 소속 등은 오른쪽 정렬 시킨다</p> <p align=left>기본적으로 텍스트는 왼쪽 정렬 되어 있다.</p> 내용이 길 경우에 왼쪽 정렬과 혼합 정렬의 차이점을 알 수 있다.</p> <p align=left> 왼쪽 정렬 : 너에게 묻는다.(안도현)-연탄재 함부로 발로 차지 마라. 너 는 누구에게 한 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p> <p align=justify> 혼합 정렬 : 너에게 묻는다.(안도현)-연탄재 함부로 발로 차지 마라. 너는 누구에게 한 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p> </body> </html>
(2)들여쓰기 • 왼쪽 경계선에 일정한 여백을 두고 싶을때 <blockquote>태그를 이용하며, 반복 사용할 경우 이용 횟수 만큼 공간을 확보한다. <html> <head> <title>들여 쓰기</title> </head> <body> <p align=center><font size=6>소금별</font></p> <p align=right><font size=5>류시화</font></p> <font size=4> <blockquote><blockquote><blockquote><blockquote> 소금별에 사는 사람들은<br> 눈물을 흘릴 수 없네<br> 눈물을 흘리면<br> 소금별이 녹아 버리기 때문<p> 소금별 사람들은<br> 눈물을 감추려고 자꾸만<br> 눈을 깜박이네<p> 소금별이 더 많이 반짝이는 건<br> 그 때문이지 </blockquote></blockquote></blockquote></blockquote></font> </body> </html>
(3)수평선 표현 • <hr>태그를 이용. 문단이나 내용을 구분하기 위한 수평선을 표현할 수 있고, 속성을 설정하여 다양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음 • 선의 폭은 픽셀/백분율 단위로 정할 수 있고, 백분율일 경우 웹 브라우저의 너비를 기준으로 정해짐
<html> <head> <title>수평 및 수직선</title> </head> <body> <h2>n진수를 10진수로 변환</h2> <hr align=left width=80% color=red><p> (1) <b>2진수 101101</b> <hr align=left size=40 width=540><p> (2) <b>8진수 2345</b> <hr align=left size=40 width=70%><p> (3) <b>16진수 A37</b> <hr align=left size=40 width=70%><p> <p align=center>[평가 결과] <hr width=30%, size=30 color=#05ff05> </body> </html>
2.4목록 태그 (1)번호 목록 • <ol>태그로 선언하고 <li>태그로 추가함으로써 숫자나 알파벳의 정해진 순서대로 나열하는 형태를 갖음
<html> <head> <title>번호 목록</title> </head> <body> <ol type=“1”> <li>과일 <ol type=“a”> <li>사과 <ol type=“i”> <li>예산사과 <li>문경사과 <li>상주사과 </ol> <li>배 <ol type=“I”> <li>나주배 <li>먹골배 </ol> </ol><p> <li>야채 <ol type=“A”> <li>감자 <li>호박 <li>오이 </ol> </ol> </body> </html
(2) 기호목록 • 기호목록은 <ul>태그로 선언하고 <li>태그로 추가함으로써 기호에 의해 목록을 구성하는 형태를 갖음
<html> <head> <title>기호 목록</title> <head> <body> <ul> <li>과일 <ul type=“square”> <li>사과 <ul type=“circle”> <li>예산사과 <li>문경사과 <li>상주사과 </ul> <li>배 <ul type=“circle”> <li>나주배 <li>먹골배 <li>먹골배 </ul> </ul> <li>야채 <ol type=“A”> <li>감자 <li>호박 <li>오이 </ul> </ul> </body> </html>
(3) 정의 목록 • 설명을 위한 것으로 <dl>태그로 선언하고, <dt>태그로 정의 목록의 제목을 부여하며, <dd>태그로 목록을 추가함
2.텍스트 관련 태그 <html> <head> <title>정의 목록</title> </head> <body> <dl> <dt>과일 <dd>사과 <dl> <dd>예산사과 <dd>상주사과 <dd>무경사과 </dl> <dd>배 <dl> <dd>나주배 <dd>먹골배 </dl><p> <dt>야채 <dd>감자 <dd>호박 <dd>오이 </dl> </body> </html>
형성평가 • 줄 바꾸기 태그는 무엇인가 ? • 문단 바꾸기 태그는 무엇인가 ? • 입력 상태 표시 태그에 대해 말하시오. • Font 태그에 대해 말하시오. • 텍스트에 효과를 주는 태그에 대해 말하시오. • 문단 정렬 태그에 대해 말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