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강기봉 . 정지상 . 주하중 . 고재규 . 김민규 . 한정석 . 고광훈 . 정점용 . 유제훈 . 강성호 . 임재식 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인터벤션파트

혈관조영 장비의 Collimation 크기에 따른 조사선량 비교. 강기봉 . 정지상 . 주하중 . 고재규 . 김민규 . 한정석 . 고광훈 . 정점용 . 유제훈 . 강성호 . 임재식 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인터벤션파트. INDICATION. RESULTS.

amy
Download Presentation

강기봉 . 정지상 . 주하중 . 고재규 . 김민규 . 한정석 . 고광훈 . 정점용 . 유제훈 . 강성호 . 임재식 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인터벤션파트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혈관조영 장비의 Collimation 크기에 따른 조사선량 비교 강기봉. 정지상. 주하중. 고재규. 김민규. 한정석. 고광훈. 정점용. 유제훈. 강성호. 임재식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인터벤션파트 INDICATION RESULTS FD type의 AXIOM artisdTA과I.I tube type의 Interisallura V5000의 투시조영 상태에서의 측정선량 값에서 collimation을 할수록 조사선량 값은 장비의 노후도의 차이는 있지만 collimation을 할수록 collimation에 의해 차단 된 조사야는 방사선 노출이 거의 없었으며, 조사야 중심부의 조사값 역시 collimation 유무와 상관없이 일정한 값을 유지 하였다. 그로 인해 전체 방사선 조사선량 값은 줄어들었다. Table 2,3 Table 2. PSD를 이용한 조사선량 측정치 ( FD Type-AXIOM artisdTA ) 요즘 병원경영의 트랜드는 전문화, 대형화, 고객서비스 이다. 그 중 대형화는 의료 산업의 종사자를 늘리는 고용 창출의 효과를 발생 시킨다. 그 중 병원 수익의30% 정도를 점유하는 영상의학 분야 역시 종사자의 수가 2005년에는 37.177명에서 2006년도에는 41.101명으로 늘어났다. 방사선 종사자 직업별 비율은 방사선사(32.9%)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직업으로 나타났다.1그 뒤를 영상의학과 의사 20.8%, 치과의사 20.5%, 등으로 나타났다. 그러면 이들 직업의 방사선 노출 수준 역시 방사선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왔다.Fig 1 그 중 2006년도의 표에서 방사선사와 간호사, 의사의 방사선 노출이 많은 것으로 나왔다. 이는 아마 영상의학 분야 중 혈관조영이라는 투시 부분에 의한 방사선 피폭이 아닐까 생각한다. 따라서 혈관 조영 장비의 투시 조영에 있어 방사선 방호의 한 방법인 collimation 크기 조절을 통해 혈관촬영실 근무자의 방사선 피폭을 얼마만큼 줄일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Fig 1. Radiation Health Research Institute Table 3. PSD를 이용한 조사선량 측정치 ( I.I Tube Type-Interisallura V5000) a : 방사선 종사자 노출 수준 MATERIALS & METHODS 1. 실험장비 본원 인터벤션실에 설치 되어있는 혈관조영 장비를 실험 하였다. FD type의 AXIOM artisdTA(Siemens medical solution, Erlangen, Germany)와I.I tube type의 Interisallura V5000(Philips medical, Eindhoven, Netherlands)을 이용하였다. Table 1 Table 1. Equipment of Severance Hospital CONCULUSION 2. 방사선 측정장비 피부 조사선량 측정기UnforsPDS(UnforsInstruments Inc, New Milford, USA)을 이용하여 투시 방사선량을 측정 하였다. Fig 2 측정 원리는 조사량율이약10µGy/s(60mR/min)의 trigger 수준을 초과하면 연결된 쎈서들에 대해 개별적으로 조사량 축적을 시작하며, 조사량율이약 5µGy/s (30mR/min)의 trigger 수준 미만이면, 조사량 축적을 중지한다.2 식약청관리 직업별 종사자의 방사선 노출 양을 보면 방사선사 그리고 간호사, 의사 순으로 노출 비중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1 하지만 영상의학과 특성상 방사선 노출을 100% 차단 할 수만은 없다. 따라서 최소의 방사선 노출을 위해 근무자가 조심해야 한다. 미국은 인터벤션 시술에 있어 환자와 방사선 관계종사자의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NIH와 FDA는“Interventional Fluoroscopy”를 2005년 3월에 발표하여 권고하고 있다.3혈관조영특성상 X-ray 발생장치 바로 옆에서 검사하는 경우와 환자 위치 조절 또는 그 외 이유 등으로 손이 X-ray에 노출 될는 경우가 많이 발생 된다. 따라서 Collimation 조절을 통해 직,간접 방사선 노출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 이번 PSD 측정 결과와 같이 Collimation을 할 경우 collimator에 위해 방사선 조사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olliamation크기와 상관 없이 조사야 중심의 조사값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4 따라서 보고자 하는 부위와 검사 종류에 따라서 조사야 크기를 조절하여 인터벤션 근무자들의 피폭량을 줄 일 수 있다고 본다. 이번 실험의 보완사항으로는 장비의 사용년도차이가 8년 정도로 차이가 크다는 점으로 장비의 노후로 인해 객관적인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투시장비 선택을 혈관조영 장비에 국환 시킨 점이 아쉬움이 남는 부분이다. Fig 2. 피부 조사선량 측정기 ( Unfors PDS ) a. 조사범위 : 1uGy - 100uGy ( 9999Gy – 9999R ) b. 최대 조사량율: 10mGy/s ( 600R/min ) c. 재생성 (Reproducibility) : 1% d. 확장 된 불확신 : 교정점90kVp ± 6% e. 각도 의존도 : 45°(± 5%), 75°(± 10%) f. Bandwidth : 2.4Hz, 3dB g. 에너지 의존도 (6mm Al) : ± 10%(60-120kVp), ± 15%(40-150kVp a b Fig 3. PSD을 이용한 조사선량 측정치 평균값 2nd 3. 실험방법 a. FD type은 SSD(100cm), FFD(48cm)로 조정 후 측정. b. I.I tube type은 SSD(100cm), FFD(38cm)로 조정 후 측정. c. Collimation 크기를 변화 시켜 조사선량을 측정 하였다. - No collimation - 1st collimation - 2ndcollimation d. 각각의 collimation 크기 중심에Unfors PDS 썬서를 위치 시킨 후 투시 조사선량 측정. e. 총 10번의 투시조사선량을 측정 후 기록. 1st No 4. 측정방법 No collimation 크기에서는 Live 모니터 크기 만큼의 영역을 표시 하였으며, 1st과 2nd collimation에서는 no collimation 기준으로 각각 4cm, 8cm을 축소 된 영역을 다시 표시 후 쎈서를 부착한 후 총 10회 조사 후 PSD에 표시 된 값을 측정 하였다. REFERENCES 1. 2006 식약청 관리 직업별 종사자. 2. PSD User’s manual 5000040-D. 3. 문청잔 et al; 중재적 방사선 시술에 따른 방사선방어 가이드라인; 보건복지부, 2006.3-4 4. UNSCEAR 2000 5. 정지상et al; Dyna CT와 MDCT를 이용한 흉부 인터벤션에서 환자와 시술자의 방사선 피폭선량 비교; 대한심맥관기술학회, 2008.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