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 likes | 633 Views
차세대 인터넷 IP 프로토콜 기술. 1999 년 11 월 9 일. 61994113 장 영 내. ▣ 차 례. 서론 차세대 인터넷 IP 프로토콜 IPv6 로의 이전 IPv6 코드 구현 현황 6bone 현황 결론. I. 서 론 ( 계속 ). IPng(IPv6) 의 필요성 Internet 주소의 부족 - 다양한 인터넷 접속 장치의 증가 . 다양한 서비스의 대두로 QoS 보장 복잡한 망에서의 대규모 라우팅 보안 기능의 중요성 대두. I. 서 론.
E N D
차세대 인터넷 IP 프로토콜 기술 1999년 11월 9일 61994113 장 영 내
▣ 차 례 • 서론 • 차세대 인터넷 IP 프로토콜 • IPv6로의 이전 • IPv6 코드 구현 현황 • 6bone 현황 • 결론
I. 서 론(계속) • IPng(IPv6)의 필요성 • Internet 주소의 부족 - 다양한 인터넷 접속 장치의 증가. • 다양한 서비스의 대두로 QoS 보장 • 복잡한 망에서의 대규모 라우팅 • 보안 기능의 중요성 대두
I. 서 론 • IPv6 개발 진행 • IETF의 Ipng Area Director들의 의해 추천 • IESG에 의해 승인 ▷ “Proposed Standard” • IETF의 Ipng WG을 중심으로 표준화 진행 • ngtrans WG, 6bone구축 - IPv4 → IPv6 이전 및 활용 요건 조성
II. 차세대 인터넷 IP 프로토콜 • 1. 프로토콜 표준화 진행 현황 • 1991.11 IEFT의 ROAD(Routing and Addressing) 그룹 결성. 1992. 3 ROAD 그룹 권고안 발표 . •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채택 • 주소 할당 영역을 확장한 새로운 방법에 대한 Proposal 제시 • 1992.상반기 IAB(Internet Architecture Board) 권고안 발표 • IPv6 • CIDR 채택 • 1992. 7 IETF에서 ROAD 그룹 권고안 채택 • BOSTON 회의 • Working Group 결성 • 1993. 7 IETF의 new Internet Protocol 개발 결정 • IESG에서 권고안 작성 • 1993. 10 IETF ALE Working Group 결성 • Address Lifetime Expectations • 1994. 7 IETF 권고안 발표 : RFC-1752 • “The Recommendation for The IP Next Generation Protocol” • 1994. 11 IESG, IETF의 권고안 인정 • Proposed Standard 작성 : 공식 명칭은 IPv6 • 1995년 표준화 진행 • 1998년 전체적 개정
II. 차세대 인터넷 IP 프로토콜 • 2. Internet Protocol Version 6 (IPv6) • IPv4 & IPv6 헤더 구조 IPv4 Header IPv6 Header
II. 차세대 인터넷 IP 프로토콜 • 2. Internet Protocol Version 6 (IPv6) • IPv4와의 차이점. • 주소 공간 확장 (32bit → 128bit) • 간략화된 헤더 포맷 • 확장 헤더의 이용 • 플로우 레이블을 이용한 QoS 지원 • 보안용 확장 헤더를 통한 IPv6계층에서의 보안 기능 지원
II. 차세대 인터넷 IP 프로토콜 확장 헤더 • Hop by Hop options Header [0] • Routing Header [43] • Fragmentation Header [44] • Authentication Header [51] • Encapsulating Security Payload (ESP) Header [??] → ipsec WG • Destination Options Header [60] • No Next Header [59]
II. 차세대 인터넷 IP 프로토콜 • 3. IPv6 주소 체계 • Prefix + Interface ID • 16진수 4자리 숫자를 :으로 구분하여 8개로 표시 ex) 3ffe:2e01:1:0:0:60:9791:b839 → 3ffe:2e01:1::60:9791:b839 (연속되는 0에 대하여 한번에 한하여 :: 표기) • Prefix의 길이를 표시하기 위해 “/”다음에 Prefix의 길이를 명시 • Prefix의 길이가 48bit일 경우. 3ffe:2e01:1::/48
II. 차세대 인터넷 IP 프로토콜 • 3. IPv6 주소 체계 • Unicast 주소 • 가) Lan이나 IEEE 802. (1) MAC주소를 갖는 환경에서의 주소.
II. 차세대 인터넷 IP 프로토콜 • 3. IPv6 주소 체계 • Unicast 주소 • 가) Lan이나 IEEE 802. (2) 내부 계층 구조를 가지는 주소.
II. 차세대 인터넷 IP 프로토콜 • 3. IPv6 주소 체계 • Unicast 주소 • 나) Unspecified 주소 • 호스트를 초기화하기 위해 패킷을 보낼 때, 자신의 주소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Unspecified 주소를 사용한다. 0: 0: 0: 0: 0: 0: 0: 0 • 다) Loopback 주소 - 자기 자신에게 IPv6 패킷을 전송하는 노드 0: 0: 0: 0: 0: 0: 0: 1
II. 차세대 인터넷 IP 프로토콜 • 3. IPv6 주소 체계 • Unicast 주소 • 라) IPv4를 포함하고 있는 IPv6주소. (1) IPv4-Compatible IPv6 주소 (IPv4 호환 IPv6 주소).
II. 차세대 인터넷 IP 프로토콜 • 3. IPv6 주소 체계 • Unicast 주소 • 라) IPv4를 포함하고 있는 IPv6주소. (1) IPv4-Mapped IPv6 주소. - 단지 IPv4 노드의 주소만을 IPv6 주소로 표현.
II. 차세대 인터넷 IP 프로토콜 • 3. IPv6 주소 체계 • Unicast 주소 • 마) NSAP 주소 • 바) IPX 주소
II. 차세대 인터넷 IP 프로토콜 • 3. IPv6 주소 체계 • Unicast 주소 • 사) Aggregatable Global Unicast Address • 6born KR : 3ffe:2e00::/24 • TLA (Top Level Aggregation) • NLA (Next Level Aggregation) • SLA (Site Level Aggregation)
II. 차세대 인터넷 IP 프로토콜 • 3. IPv6 주소 체계 • Unicast 주소 • 아) Local Use IPv6 주소 (1) Link Local 주소 (2) Site Local 주소
II. 차세대 인터넷 IP 프로토콜 • 3. IPv6 주소 체계 • Anycast 주소 • Subnet-Router Anycast 주소. - Subnet상의 하나의 라우터로 전달되는 것.
II. 차세대 인터넷 IP 프로토콜 • 3. IPv6 주소 체계 • Multicast 주소 • Flag • 상위 3개의 Flag는 예약되었으며 0으로 초기화 • T=0 : 영구히 할당 받은 Multicast 주소 (Well-Known) • T=1 : 일시적으로 할당받은 Multicast 주소 (Transient)
II. 차세대 인터넷 IP 프로토콜 • 3. IPv6 주소 체계 • Multicast 주소 • Scop
II. 차세대 인터넷 IP 프로토콜 • 3. IPv6 주소 체계 • Multicast 주소 • 예약된 Multicast 주소 : FF0X:0:0:0:0:0:0:0 • X : (0 ~ F) • All Node 주소 : FF01:0:0:0:0:0:0:1 FF02:0:0:0:0:0:0:1 • All Router 주소 : FF01:0:0:0:0:0:0:2 FF02:0:0:0:0:0:0:2 • DHCP Server/Relay-Agent 주소 : FF02:0:0:0:0:0:1:0 - Scope 2 범위에서의 모든 IPv6 DHCP서버와 Relay-Agent 그룹 • Solicited-Node 주소 : FF02:0:0:0:0:1:xxxx:xxxx - x : (0~F)
II. 차세대 인터넷 IP 프로토콜 • 4.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Version 6 (ICMPv6) • ICMPv6 • IPv4에서의 Source Quench 메시지 및 Timestamp, Information, Address Mask에 대한 요구/응답 메시지 삭제 • Router Advertisement/Solicitation 메시지 : NDP로 옮겨짐 • Packet Too Big 메시지 추가 : 중간 라우터에서 MTU 감소로 인하여 전달 중이던 패킷을 조각화 할 수 없기 때문
II. 차세대 인터넷 IP 프로토콜 • 5. Neighbor Discovery Protocol (NDP) - 기존 IPv4에서 ICMP의 Router Discovery, Redirection 기능 및 ARP의 Link-Layer Address Resolution 기능을 포함하여 다섯가지 메시지로 구분. • Router solicitation/advertisement 메시지 • Neighbor solicitation/advertisement 메시지 • Redirection 메시지 • Router 및 prefix discovery • Address resolution 및 neighbor unreachability 탐지
II. 차세대 인터넷 IP 프로토콜 • 5. 자동 설정 기능 (Auto Configuration) - 사용자의 수동 설정 없이도 호스트 및 라우터에서 자체로 주소를 설정하는 일종의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 • 인터페이스 ID : 링크 계층 주소 • 동일 링크 상에 라우터가 없을 때 : fe80::<링크 계층 주소> > 최소한 동일 링크상에서는 통신 가능 • 라우터가 있을 때에는 Router Advertisement 수신으로 설정 추가. > 사용할 수 있는 Prefix정보 포함. • Neighbor solicitation 메시지를 보내어 중복 주소 확인 (응답이 없으면 사용)
III. IPv6로의 이전 • 1. IPv4/IPv6 이전 기술 - 동시에 많은 IPv4노드가 IPv6으로 이전 불가능 –병행 사용 가) IPv6 스택을 갖춘 호스트 및 라우터가 IPv4의 스택도 가지는 듀얼스택구조 나) IPv4-Compatible IPv6주소 사용 다) 터널링 기능 라) 변환 라우터 이용
III. IPv6로의 이전 • 1. Dual Stack 구조.
III. IPv6로의 이전 • 2. IPv4/IPv6 터널링 - IPv6로 통신이 가능한 끝점을 IPv4헤더로 캡슐화하여 IPv4 인터넷 환경상에서 IPv6 패킷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가) 설정 터널링(Configured Tunneling) - 라우터 to 라우터 or 호스트 to 라우터의 경우 나) 자동 터널링(Automatic Tunneling) - 라우터 to 호스트 or 호스트 to 호스트인 경우
III. IPv6로의 이전 • 2. IPv4/IPv6 터널링 가) 설정 터널링(Configured Tunneling)
III. IPv6로의 이전 • 2. IPv4/IPv6 터널링 가) 자동 터널링(Automatic Tunneling)
III. IPv6로의 이전 • 3. IPv4/IPv6 변환 • IPv4 전용 호스트와 IPv6 전용 호스트간의 통신 가) ngtrans WG -> NAT-PT 및 SIIT를 중심으로 표준화 나) Proxy Server 방식으로 SOCKS를 중심으로 구현
III. IPv6로의 이전 • 3. IPv4/IPv6 변환 가) NAT-PT의 동작
IV. IPv6 구현 현황 호스트 부분 : linux, FreeBSD, NetBSD, BSDI, BSD4.4/lite Sun, SCO, AIX, apple, SGI Microsoft Windows NT. 라우터 부분 : 3COM, CISCO, BAY Network, MERIT(Gated 및 MRT 소프트웨어를 이용 RIPng 및 BGP4+ 구 현) 프랑스 : INRIA Rocquencourt사 FreeBSD기반 IPv6 코드 개발 - 현재 FreeBSD 3.0기반코드 구현 - 웹 서버와 브라우저까지 진척. 일본 : Wide 프로젝트를 이어 KAME에서 FreeBSD 3.0기반 코 드 개발 및 웹 서버, 브라우저, SMTP/POP 구현 QoS를 고려 ALTQ가 결합.
IV. IPv6 구현 현황 국내 : 숭실대와 ETRI 공동으로 DCN코드 1차 버전 구현
V. 6bone • 1. 6bone(IPv6 Backbone)
V. 6bone • 1. 6bone KR • NLA1 : 6bone KR, 미리네, event용 • 3ffe:2e01::/32 • NLA2 : ETRI, SSU, KAIST, HYU, INET, KT, ICU, DGU • 3ffe:2e01:yyyy::/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