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 likes | 738 Views
한국에서의 생사학 연구 현황과 전망. 발표자 : 박형국 ( 한림대 생사학 HK 연구단 연구교수 ) 2014.2.12( 화 ) 리쓰메이칸대학 생존학연구센터 연구교류회. 개 요. 1. 주요 학문분야와 학제간 연구 2. 주요 연구자의 연구서 3. 주요 해외 연구 번역서 4. 주요 연구단체 5. 전망과 과제. 종교학 연구동향. 한국종교학회 : 《 죽음이란 무엇인가 》(1990 , 2009)
E N D
한국에서의 생사학 연구현황과 전망 발표자: 박형국 (한림대 생사학HK연구단 연구교수) 2014.2.12(화) 리쓰메이칸대학생존학연구센터연구교류회
개요 1. 주요 학문분야와 학제간 연구 2. 주요 연구자의 연구서 3. 주요 해외 연구 번역서 4. 주요 연구단체 5. 전망과 과제
종교학 연구동향 • 한국종교학회: 《죽음이란 무엇인가》(1990, 2009) • 전국 단위의 학회 차원에서 죽음에 대한 개론적이지만 공동의 연구라는 의의; 세계 주요 종교 전통들과 한국의 주요 종교 전통들의 기본적인 죽음 이해를 개론적인 수준에서 고찰 (증산교, 무속, 불교, 힌두교, 유가철학, 도교, 가톨릭, 기독교, 이슬람교) • 이은봉: 《여러 종교에서 보는 죽음관》(1990); 《한국인의 • 죽음관》(2007) • 정진홍: 《만남, 죽음과의 만남》(2003)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죽음의례 죽음 한국사회》(2013) • 최근 한국 죽음 의례 동향을 종교학적인 입장에서 총체적으로 조명한 공동 연구; 한국인의 죽음 의례 전통, 주요 종교의 죽음 의례의 특징과 변모를 탐구
철학 연구동향 • 정동호 외: 《죽음의 철학》(1986); • 《철학, 죽음을 말하다》(2004) • 한국의 철학자들에 의한 공동의 철학적 죽음 탐구; 동서양의 철학자들(소크라테스와플라톤 이후의현대 서양철학자들과 장자와유가)의 죽음 이해를 탐구 • 구인회 외: 《삶과 죽음의 철학》(2003) • 임철규: 《죽음》(2012) • 강영계: 《죽음학 강의》(2012) • 박영호: 《죽음공부》(2012)
문학/유학/민속학 연구동향 • 박상륭: 《죽음의 한 연구》(1986) • 김열규: 《메멘토 모리, 죽음을 기억하라: • 한국인의 죽음론》(2001) • 김열규 외: 《한국인의 죽음과 삶》(2001) • 심경호: 《내면기행: 선인들, 스스로 묘비명을 쓰다》 • (2009) • 구미래: 《한국인의 죽음과 사십구재》(2009) 《한국불교의 일생의례》(2012)
사회학/심리학 연구동향 • 김상우: 《죽음의 사회학》(2005) • 박형민: 《자살, 차악의 선택》(2010) • 몸문화연구소: 《애도받지 못한 자들》(2012) • 이부영: 《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 • (2012) • 천선영: 《죽음을 살다 – 우리 시대 죽음의 의미와 • 담론》(2012)
윤리학/법학/의학/간호학 연구동향 • 구인회: 《죽음과 관련된 생명윤리적 문제들》(2008) • 문국진: 《주검이 말해주는 죽음 – 법의학자의 죽음에 관한 고찰》 • (2009) • 이인영: 《생명의 시작과 죽음:윤리논쟁과 법 현실》(2009) • 이석배 외: 《연명치료중단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사전 • 의료 지시서에 관한 연구》(2010) • 김건열: 《존엄사Ⅰ,Ⅱ, Ⅲ》(2005, 2011, 2012) • 한국법철학회: 《생명윤리와 법》(2013)
기독교 연구동향 • 김경재: 《별세신학》(1999) • 김균진: 《죽음의 신학》(2002) • 김영선: 《생명과 죽음》(2002) • 한국문화신학회: 《죽음 삶의 현장에서 이해하기: 그리스도교의 죽음관》 • (2004) • 기독교윤리학회: 《삶 죽음 그리고 기독교윤리》(2006) • 호남신학대학교 해석학연구소:《죽음의 사회적 폭력성과 해석학》(2007) • 최태영:《죽음 너머 영원한 삶》(2011) • 서강대 생명문화연구소: 《생명과학과 생명윤리》(2012) • 문시영: 《생명윤리의 신학적 기초》(2013)
불교 연구동향 • 전이창: 《죽음의 길을 어떻게 잘 다녀올까》(1995, 2000) • 고영섭: 《불교와 생명》(2008) • 강선희: 《체험으로 읽는 티벳 사자의 서》(2008) • 淸華禪師: 《靈駕薦度法語》(2009) • 불교생명윤리정립연구위원회: 《현대사회와 불교생명윤리》 • (2010) • 일묵스님: 《윤회와 행복한 죽음》(2010) • 정준영 외: 《죽음 삶의 끝인가 새로운 시작인가》(2011)
상장례 연구동향 • 국사편찬위원회: 《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2005) • 박태호: 《장례의 역사》(2006) • 정경균 외: 《화장 후 납골, 봉안, 자연장 등의 발전방안 연구》 • (2010) • 김시덕: 《한국의 상례문화》(2012) • 송현동: 《서울 사람들의 죽음, 그리고 삶》(2012)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죽음의례 죽음 한국사회》(2013)
학제간 연구동향 • 조계화 외:《죽음학서설》(2006) • 간호학, 교육학, 그리고 사회복지학 전공자에 의한 공동의 실천지향적 죽음 탐구서 • 정현채 외:《삶과 죽음의 인문학》(2012) • 의학, 종교학, 불교, 유교, 기독교전문 연구자들에 의한 공동의 생사 탐구서 • 한국죽음학회 웰다잉 가이드라인 제정위원회: • 《죽음맞이: 인간의 죽음, 그리고 죽어감》(2013) • 생사학, 종교학, 의학, 간호학, 상장례전문 연구자들에 의한 죽음교육에 관한 공동 저술
<삶과 죽음을 생각하는 회> • 개신교에 바탕을 두고 1991년 창립되어 ‘죽음’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과 죽음교육의 대중화를 계몽하는 활동 • 죽음학과 죽음 준비교육 강연회와 세미나 개최 • 죽음 준비교육 지도자 양성 및 활동 • 웰다잉 강사 뱅크 운영 및 지원 • 장례문화 연구 • 슬픔 치유를 위한 소그룹 상담/호스피스 연구와 교육 • 도서출판 및 독서 모임 메멘토모리 운영
<한국죽음학회> 연구동향 • 2005년에 창립한 철학∙종교학∙심리학∙사회학∙의학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한 학술포럼 • 소수의 전문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연구와 세미나 위주의 제한적인 활동 • 최준식 교수의 연구서: • 《죽음, 또 하나의 세계》(2006) • 《죽음의 미래》(2011) • 《죽음학개론》(2013) • 《임종준비》(2013) • 《사후생이야기》(2013) • 한국죽음학회: • 《한국인의 웰다잉 가이드라인》(2010) • 《죽음맞이》(2013)
<한림대생사학연구소> 연구동향 • 한림대 생사학연구소(2004)와 생사학HK인문한국연구단(2012-2022)은 현재 한국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생사학 연구 센터 • 현재 〈한국적 생사학 정립과 자살예방 지역 네트워크 구축〉이라는 인문한국 프로젝트를 통해 한국의 생사학 정립과 자살예방을 위한 인프라와 네트워크 구축이라는 막중한 과제를 수행 • 책임자 오진탁 교수는한국 생사학 분야의 개척자로 지난 10년간 바람직한 생사 이해와 죽음 문화의 정착과 아울러 자살 예방을 위한 생사학 정립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물들을 저술 • 《죽음, 삶이 존재하는 방식》(2004) • 《마지막 선물》(2007) • 《소극적 안락사 대안은 없는가》(2007) • 《자살, 세상에서 가장 불행한 죽음》(2008) • 《삶, 죽음에게 길을 묻다》(2010) • 《죽음이해가 삶을 바꾼다》(2013) • 생사담론의 통합적인 연구와 자살예방 지역 인프라와 네트워크 구축 • 생명/죽음 교육 전문 교육 과정(석박사 과정)을 통해 전문가 양성
해외 주요 연구서 번역 동향 • E. Kubler-Ross: 《인간의 죽음》(1979);《사후생》(1996, • 2002);《어린이와 죽음》(1997); • 《죽음과 죽어감》(2008) • R. Moody: 《다시 산다는 것》([1993], 2007) • A. Deeken: 《죽음을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2002); 《죽음이 삶에게: 죽음의 인식으로부터 삶은 가치 있게 시작된다》(소노아야코와 공저,2012) • P. Aries: 《죽음 앞에 선 인간》(1997);《죽음의 역사》(1998) • E. Morin: 《인간과 죽음》(2000) • J. Bowker: 《세계 종교로 보는 죽음의 의미》(2005) • 傅偉勳: 《죽음 그 마지막 성장》(2005)
해외 주요 연구서 번역 동향 • K. Doka/J. Morgan 외: 《죽음학의이해》(2006) • P. Sambhava: 《티벳 死者의 書》(2005, 2008) • C. Becker: 《죽음의체험》(2007) • S. Schopf: 《죽음의 탄생》(2008) • E. Becker: 《죽음의 부정, 프로이트의 인간이해를 넘어서 》(2008) P. & E.Fenwick: 《죽음의 기술》(2008) • Susumu Shimazono: 《사생학이란 무엇인가》(2010) • L. DeSpelder/A. Strickland: 《죽음: 인생의마지막 춤》 • (2010)
전망과 과제 • 한국적 생사 담론의 정립과 확산 • - 생사 담론 연구 센터들과 연구자들의 확대와 • 상호 협력 - 국제 연구단체들과 연구자들과의 상호 협력 강화 • - 생사 담론 아카이브 구축 • 생명/죽음 교육의 전문인력 양성과 커리큘럼 개발 및 확산 • - 초∙중∙고∙대학과 지방자치단체들과 시민단체들과의 협력을 통한 생명/죽음 교육의 확산 • - 지역 생명/죽음 교육 센터의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