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0 likes | 1.11k Views
‘마음’의 개념: 인지과학적 재조명. 부산대학교 심리과학연구소 콜로퀴엄 2002년 5월 17일 이정모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인지과학과정 jmlee@yurim.skku.ac.kr http://cogpsy.skku.ac.kr/. " 무릇 '함'이 곧 '앎'이며 '앎’이 곧 '함'이다. '삶이 곧 앎이다.' - (마투라나, 바렐라(1995) ).
E N D
‘마음’의 개념:인지과학적 재조명 • 부산대학교 심리과학연구소 콜로퀴엄 • 2002년 5월 17일 이정모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인지과학과정 jmlee@yurim.skku.ac.kr http://cogpsy.skku.ac.kr/
"무릇 '함'이 곧 '앎'이며 '앎’이 곧 '함'이다. '삶이 곧 앎이다.' -(마투라나, 바렐라(1995) )
"Human nature is not found within the human individual, but in the movement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in the worlds of artifact use and artifact creation. (Engestroem, Mietttinen, & Punamaeki, 1999) • "To be human requires sharing with nonhumans.” (Latour, 1994)
고전적 인지과학의 개념적 기초 • 인간의 마음이란, Intellect란 무엇인가? • 어떻게 이를 개념화하고 접근할 수 있는가? • 바탕적 관점: Descartes의 관점에기초 • 이 관점에 기초한 표상주의, 계산주의 인지주의 • 이 관점의 한계 점차 드러남
고전적 인지과학의 개념적 기초: • - 계산주의/ - 표상주의 • - 인지주의 • - 심신이원론 • - 주체/객체 이원론/ - 마음/행위 이원론 • - 상징주의 • - emotionless cognition • - 이는 모두 데카르트의 관점에 기초함 • Cartesian Theater: • Mind as a theater in the head
개인적 마음에 초점 not: shared mind (공유된 마음 아님) • rational mind = 인지 • 신체, 물질적 특성과 독립적인 마음 • 주체와 객체의 분리 • activity, action 과 situation 의 측면이 배제된 추상화된 마음의 내용
Fodor’s 모듈: 고전적 인지주의의 전형 • Mind = a mixed architecture • 지각체계= 외부세계정보를 중추체계에 전달하는 기능 • => modular / reflexive systems • 중추체계 = 여러 자료원에서의 정보를 통합하여 세상에 대한 well-grounded belief 도출 기능 • => nonmodular /reflective systems • 지각과 인지: 불연속적 • detached from the real world
최근의 움직임 • - 탈 데카르트적 움직임 • - 보다 넓은 macro-explanation추구 • - unit of analysis의 변화 • - 환경과 괴리되지 않은 마음 • - 연구방법론의 변화, 연구 주제의 확장 • - 주체/ 객체/ 매개 인공물 (도구/상징)의 통합: • - mind as activities • - 다원적 설명 levels of explanation
마음/환경/인지/행위활동 등에 대한 그리고 인지과학적 접근에 대한 개념적 기초(conceptual foundations)의 재구성이 요청됨 • downwards-pull (뇌(몸)의 되찾음) • outwards-pull (환경의 되찾음)
마음이란? • 환경과 인공물, 인공체계 등에 • 확장된 마음(extended mind) • 분산된 마음 (distributed mind) • 상황지워진 마음 (situated mind) • 사회적으로 공유된 마음 (socially-shared mind) • 활동으로서의 마음(mind as activities) • **- 인지생물학/ 담화심리학/ 상황인지심리
마음의 협회: (Society of minds) • Complex Minds -> Simple Minds • Natural Minds -> Artificial Minds • 인간의 마음, / 고등동물의 마음/ .=> 하등동물의 마음, • - 상징체계의 마음, • - 반사적(reflexive) 로보트의 마음, • 인간 마음의 수준을 초월하는 미래 컴퓨터의 마음 등의 • 多 수준의 마음들로 개념화되어야.
자아(self) • 단일의 통일된, 자아가 존재함 부정 • -그렇다고 해서 self가 중앙통제적 감독기도 아니고 • 여러 분할된 小-selves의 합도 아님 • 환경과의 상호작용 활동의 순간 순간에서 enaction되는 바의 • Gestalt의 불가분의 두 측면(자아-세상)의 하나임 • changing play of subject-object relations 반영
Gibson • 지각은 - emergent 현상 • direct perception 접근 • 지각자와 지각된 환경이 동일한 지각의 두 기둥일 뿐, 결코 분리되지 않음 • 고로 환경 속의 마음 강조 • -affordance : 세상이 지각자에게 제공하는 바 가능성 => 정보 • 이해 대해 유기체는 조향(attuning) • - 지각과 action연결 시도
재개념화된 마음 문제를 다루는 접근 • 1. Downwards-Pull (뇌의 되찾음) • 인지신경심리 접근 • 연결주의 • 진화심리적 접근 • 2. Outwards-Pull (환경의 되찾음) • 생태학적 접근, • 동역학체계적 접근, • 진화심리적 접근 • 사회/문화적, 상황적 접근:- activity 로서의 마음 • 3. 발견법, 편향 연구 • 추리/판단의 오류, 휴리스틱스 연구
뇌(몸) 의 되찾음: downwards-pull • 몸(뇌) 과 독립적으로 개념화 되는 마음 개념에서 => 뇌 의존적, 뇌에 바탕한 마음 개념으로의 변화 • Brain-Based-Mind (BBM) • 환원주의적 접근의 재 등장 • 인지신경과학적 접근 부상 • 진화론과의 연결 • 그러나 고전적 인지주의의 계산주의 유지 • mind in the brain container 메타포 유지 • 극단의 환원주의적 입장 있음
Neural Modules • 뇌의 기능적 구조요소 • 신경학적 용어로만 기술됨 • 지식(촘스키모듈)이나 계산(Fodorian모듈) 없이도 순수한 신경적 과정으로 인지기능 설명 가능
연결주의 접근 • brain-metaphor 도입 • 계산주의 유지 • 비상징체계 • 비표상체계라고도 볼 수 있음 • lower-level 중심 설명
발견법, 편향 연구: 오류,휴리스틱스 • 마음은 데칼트식의 논리적 합리성을 지닌 것이 아님 • 논리적 합리성 보다는 실용적 합리성 추구 • bounded rationality • adaptive minds - heuristics • simple minds • two types of cognition - association (heuristics) based - rule (algorithms) based • mind as a hybrid system = 상징체계 + 비상징체계 + ?
환경의 되찾음: outwards-pull • 새로 던지는 물음: • 내 마음은 언제 어디에 어떻게 존재하는 것인가? • 내 마음과 환경과의 경계는 어디에 존재하는가? • 마음의 존재의 이유 • 마음의 기능은 무엇인가? (진화적 입장 전개)
-> 마음의 본질에 대한 물음의 재구성 • -> 전통적 정보처리적/ 계산주의 재구성/ 표상주의에 대한 한계와 회의 제기 / 뇌속의 그릇(Container)메타포 벗어남 • => << 새로운 접근 부상 >> • 1. 마음/인지의 재개념화 시도 • 2. 과학적 설명 자체의 재개념화 시도 • - 단일적/선형적 인과적 설명의 한계 • - 다원적/비선형적 설명의 수용
새 관점의 배경 • - Heidegger(62)의 실존현상학 • - Gibson(79)의 생태학적 지각 접근 • - Maturana & Varela(80) 의 embodied cognition • Searle(69)의 話行speech acts 이론 • - Lakoff(87): embodiment of image schema 이론 • - Hutchins(95) 등 인류학자의 지식의 사회문화적 제약 이론/ 인공물과 외적 표상 개념
- Brooks(91)의 무표상적 reactive robotics • -비표상체계 • - Donald(91) 등의 진화론적 관점 • - Winograd & Flores(86): 인지/컴퓨터 디자인 론 • - activity theories (Leont'ev, Wertsch, Lave 등) • - Kahneman & Tversky 등의 판단/ 결정 연구 • - Vygotsky의 사회적 마음
대안적 접근의 윤곽 • 삶 속의 마음의 과제는 실세계, 실시간적 용어로 파악됨 • 탈 중심화된 (decentralized, 즉 unified single self가 없는) 해결 • 마음과 계산의 확장된 전망 • 계산적 과정은 시공간에 확산/확장됨 • 마음과 환경이 독립적인 것이 아님 • 마음은 환경에 embedded • * contextual bounded-ness
마음 개념의 확장 • 담화적(discursive) 마음 = mind as a social construction of discourses. • 물리적/사회적 환경에 구체적인 몸 속에 구현된(embedded) 마음, • 비표상(nonrepresentation) 체계로서의 마음, • 환경과 상호작용 할 때에 비로소 존재하게 되는 마음,
not: 많은 innate & static 지식이 내장된 단원적 modules로서의 마음 • but:최소한(Less)의 지식/표상을 지니고 있지만, 환경과의 상호작용 가운데서 매 상황에 대한 역동적 적응 반응들이 연계되어 이루어지는 순간적 앎의 연결들로서 많은 것을 이루는 마음 • but:여러 다른 마음들 (multi-agents: 타인, 컴퓨터, 문화시스템, 기타 도구)에 의해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으로 제약되고 결정되는 마음
<표상에 대한 관점의 변화> • 표상의 존재, 그 필요성에 대한 관점이 변함 상황지워진 맥락에서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실시간적으로 드러나는 인지적, 학습 구조는 내적인 별도의 표상을 전제함이 부적절함을 시사 ⇒ 비표상주의(Non-representationism)관점 제기 *Action models - 인지는 대상 조작, 활동, 기술 - Vygotsky : 인지는 사회적 세계에서의 action - Harre : 사회적 행동이 인지의 연장이 아니라 인지가 사회적 행위의 연장
비표상(주의)관점 • 심리학의 관점을 밖으로 움직임 • 심리학의 기본 대상이 actions • 심리학의 기본 관찰 대상이 현상적 측면 • 단순한 적응적 지능(adaptive intelligence)
<동력학 체계 :> Mind as a Society of Dynamic Systems • 인지과정이란 계산적 정보처리가 아니라 • Evolving in an abstract space of possible states • A trajectory through a series of states • Cognition is basically skillful coping with the world, which can be done without explicitly representing it. • It is temporal, • because of this interaction with the world, rather than static representational structures mirroring nature. • 인간과 하위동물과의 연속성 강조 • 환경과의 연결강조
반 데칼트 입장 • 자연주의적 입장 • 전통적 입장 • 표상, 정적상태, 지식구조 강조, 백과사전적 입장, 인간 마음의, 인지의 stability 강조/ variability를 지식표상 구조에 의해 설명 • 동역학적 입장 • 활동 의존적 과정으로서의 지식 • 순간적 과정의 연계로서의 지식 • 안정성과 변이성은 복잡한 역동체계들의 實시간(real time) 활동의 joint 산물
<Activity Dependent Structure/Processes> • 두뇌의 감각/운동/지각 영역의 구조가/과정이 • 그리고 지식이 ⇒ 순간적 앎만 있지, 지속적 지식 표상은 없다. • Edelman Þ role of perceiving in knowing • 앎 := 현시점의 즉시적 지각경험 + 최근의 지각 경험 역사 + 전생애적 개체의 발달 역사 + 그 종의 진화 역사
Self-organization processes : • Knowing is the dynamic product of a moment in time • a product that integrates immediate sensory input, current internal activity & developmental and evolutionary history of the organism. • Reactive robotics 연구 ⇒ 환경의 속성들에 의해 다소 직접적으로 제어됨. 단순한 적응적 지능(adaptive intelligence)
Autonomous Robots: Brooks • 전통적 AI연구: 사람들이 가진 인지 능력의 조그만 일부분을 연구의 대상 영역으로 삼음 • -reactive robotics 연구: 상대적으로 단순한 행위자(실제든 흉내낸 것이든) 이기는 하지만, 전체적인 행동적(activity) 능력을 연구의 대상 영역으로 삼은 경우. • - activity-producing subsystem -표상 없이 입력-> 행위 • - > “경쟁하는 행동들의 모음” 일뿐
비표상체계(nonrepresentational system) • < 비표상체계 관점 > Brooks, Shannon 등 • 표상의 존재, 그 필요성에 대한 관점이 변함 • 상황지워진 맥락에서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실시간적으로 드러나는 심적, 인지적, 구조는 내적 별도의 표상을 전제하는 것이 부적절함을 시사
Action selection관점(Franklin, 1995) • : 마음이란 자율적 agent의 action selection mechanisms (paradigms) • - 마음의 주 과제는 다음 행위의 산출 • - 마음은 행위를 산출하기 위하여 기억 생성 • - 마음은 수많은 별개의 시스템에 의해 가능하여짐 • - 마음은 불연속적인(Boolean) 것이 아니라 연속적인 것
진화심리학: Cosmides & Tooby 등 • 뇌: Not: massive-general purpose Learning machine • 뇌는 물리적 체계- 환경에 적합한 행동 생성하도록 designed • 뇌신경회로 특성은 진화 과정에서 자연선택 과정에 의하여 조성됨 • 진화 초기 단계의 상황별 문제해결 위한 특수 신경회로 모듈들이 진화됨: specialized modules • 영역특수 절차를 지님 • 원시 hunter-gatherer 시절의 심적 반응, 처리 특성이 잔존
Brunswick: - probabilistic functionalism • 마음은 환경 자극 사이의 관계성 구조 탐색하여 반응 구조와 부합되게 하는 계산 수행 • 새로운 메타포: - 마음은 통계학자 • 유기체의 행동은 본질적으로 확률적, • 인간 지각 = 직관적 통계학자 • 원격 환경 단서와 반응 사이의 관계를 확률적 관계로 처리 • 적응 달성의 기능 • 많은 단서를 조합 계산하여 반응 산출
Simple Heuristics: Gigernzer • Mind as an intuitive statistician • Brunswick: 현재(환경구조) 적응측면에 초점 • Gigerenzer: 현재와 과거(환경구조+역사) 측면 포함 • 앨고리즘적 계산이 아니라 휴리스틱스적 계산 • 생태적 합리성 원리에 의하여 계산, 반응 생성 • 환경에 적합한 휴리스틱스 적용 • 빠르고 검약한 휴리스틱스 Fast-Frugal Heuristics • [환경구조] X [ 휴리스틱스] 구조
Darwinian Modules • 진화 모듈들 • 영역 특수적 • Mind => 영역 특수적 절차를 지닌 기제나, 영역 특수적 표상에 작용하는 기제들로 이루어진 것 (Cosmides & Tooby, 1994) • 계산 기제 Computational mechanisms • 유전적 요인에 의해 대부분 도는 전적으로 결정되는 특성을 지닌 인지구조 • 그러나 이에 사회문화적 영향 결정 추가 입장 제시
자연선택 Natural selection의 산물 • 적응 • 원시 수렵-사냥시대의 적응 방식에 기반함 • 모든 인간이 보유하고 있는 보편적 특성 – 문화적 보편성이 내적 표상화 • 예: • 속임자 탐지 모듈 cheater detector module • 위배자 탐지 모듈 violation detector module
Massive modularity • Massive modularity hypothesis(MMH) • 마음은 대분분 또는 완전히 다윈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 Mind = 원시 수렵시대의 인류의 선조들이 당한 적응적문제들을 해결하기위해 고안된, 진화된 수백, 수천의 기능적 컴퓨터들 (모듈들)의 협동공동체 • 각 모듈 => 자체의 계획, 과제, 조직
Karmiloff-Smith • representational-re-description • 마음은 모듈 형태로 출발하는 것 아님 • 환경에 노출되어 점진적으로 모듈화 됨 • 성인이 되어서도 모듈적인 특성을 지닌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음 • 경험이 단순한 parameter setting은 아님 • 맥락 민감적 융통적인 체계임
상황지워진 활동으로서의 마음 • mind as situated activities, mediated activities • 개인이 아니라 개인과 사회적, 물리적 환경의 상호작용 강조 • 정보의 처리를, 정보의 구조와 외적 변화에 대한 가능한 행위를 연결시켜 정보가 생성되는, 해석되는 과정 = 인지 • 비선형적, 비인과적 설명 개념 인정 • 새로운 분석단위 제시: • 객체지향적, 집단적, 문화매개적 인간활동
1. 마음은 뇌 속에 캡슐화 된 것이 아니라, • - 인간과 환경(물리적, 사회적)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구현됨. • - 고로 환경과 괴리된 마음이란 불가 • - 인공물 (artifacts), 외적표상이 일상 문제해결에서 사용됨 • 2. 실제 세상의 구조가 인간 행동을 제약, 인도 - 인간의 내적(심적) 조직화 특성이 환경의 변화를 결정할 수도 있음
3.- 인간의 마음은 경험되는 상황 또는 어떤 범위의 상황들과 완전히 괴리되거나 탈맥락화 될 수는 없음 • 4. - 상황에서 지각된 기능적 측면을 -> 운동적 행위로 "직접" 전환하는 생득적-내재적(built-in) mechanism 有 • 5. - 환경이 제공afford하는 바는 환경에서의 불변성(invariants)이며 단순히 pick-up하기만 하면 됨. 직접 지각되기에 정보처리나 표상이 필요 없음
자연의 거울(Mind as a Mirror of the nature)로서가 아닌 제어기로서의 마음(Mind as Controller) • - 뇌는 외부의 사태에 대한 내부 記述description들의 저장장소가 아님 • - 뇌는 행위결정 관련 연산자/조작변수operators로서 작동하는 내부구조들의 장소 • 행위-지향적 표상 (action-oriented representations):
<Mind as mediated activities:- Vygotsky> • 마음은 문화, 사회적, 역사적 맥락에서 구성됨 • 인간과 인간의 관계는 문화적 도구 ( 언어) 매개에 의해 • 사회문화적 상황에서 도구에 의해 매개된 행위가 기본 • 사회적 과정이 일차적이고 이것이 내면화 유사 과정 거쳐서 마음이 내용, 행위가 됨 • 사회문화적 도구가 마음을 가능하게 하고, 제약함 • 마음은 분석보다는 매개된 행위로서 기술되어야
마음의 본질 : 기회주의적 • - minimal computation/ representation--: • - maximum improvising, adlib (상황에서 단서 활용하여) -: • '내 마음의 도구, 행위의 도구는 내 안에 있는 것이 아니라, they are out there' • -> indexicalized representation
Indexicalized Representation • - 많은 내용을 기억 속에 explicit하게, 표상화하지 않고 • - implicit 상태로 환경에 내재화하게 내버려 두는 데에 있음 • (distributed representation, extended cognition) • - 환경의 역할: indexical 표상 • - 그리고 상황이 주어지면 이러한 환경 맥락 단서(index)에 근거하여 최대한으로 improvise, adlib 함 • 인공물 => meaning construction activities
종합 • 그릇으로서의 뇌에 담긴 마음 메타포 수정 • 마음, 몸, 환경의 경계선 없음 • 마음의 내용인 표상을 인정한다면 • 이는 외부 환경 자극에 대한 추상화 표상이 아니라, • 행위관련 연산자, 조작자로서 작동하는 표상 • 행위 지향적 표상 • 이 행위 지향적 표상의 구조와 환경의 구조와 대응, 매칭, 부합coupling 시키는 과정에서 • 환경의 물리적 세계(실재론) • 추상적 내적 관념 세계 (관념론) 도 아닌 • 행위-마음( activities-mind) 세계가 가능 • 행위-처방: 경향성으로서 마음에 존재 • 마음 = 환경과 관계 맺기 how to relate 활동
Not , but • 많은 정보를 명시적 표상으로 뇌에 저장 • 환경에 최대한 분산표상, 뇌 내에 최소한 표상 • 최소한 정보처리, 인지경제 원리 따름 • saticeficing - 제한 시간 내에 적당한 적응적 결과 도출 • 논리적 합리성, 앨고리즘 중심 처리 • 실용적 합리성, 휴리스틱스적 , 기계적 처리 • 오류 무릅씀 : errors - 자연스럼 • simple heuristics 적, 확률적 • 진화역사적 특정 상황에 적합한 행동양식 (모듈)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