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 likes | 518 Views
아리스토텔레스의 과학. * 사상의 3 분기. 1) 플라톤적 시기 ; 철학과 형이상학적 경향 2) 과도기 3) 독자적 성숙기 ; 과학 , 경험주의 - 공통점 ; 세계는 이성적 계획의 산물이고 철학자 연구하는 것은 보편적인 것이지 개별적이고 우연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 점 - 차이점 -A 는 형상 혹은 이데아가 감각 세계 혹은 물질과 동떨어져 있다는 P 의 입장에 반대 , 형상은 물질 속에 존재한다고 주장 P- 완전한 형태의 실재는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영원한 이데아에 의해서만 파악
E N D
*사상의 3분기 1)플라톤적 시기; 철학과 형이상학적 경향 2)과도기 3)독자적 성숙기; 과학, 경험주의 -공통점; 세계는 이성적 계획의 산물이고 철학자 연구하는 것은 보편적인 것이지 개별적이고 우연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 점 -차이점-A는 형상 혹은 이데아가 감각 세계 혹은 물질과 동떨어져 있다는 P의 입장에 반대, 형상은 물질 속에 존재한다고 주장 P-완전한 형태의 실재는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영원한 이데아에 의해서만 파악 • P-감각의 역할 무시, 수학적인 면 중시 • A-감각과 경험 강조
다양한 주제에 공헌 • 논리학-형식논리학: 타당한 주장과 타당하지 않은 주장-전제들의 참, 거짓과 무관하게 인식할 수 있는 주장의 타당성과 비타당성을 체계적으로 구분, 분석- 최초의 인물 • 심리학-현대 행동주의에 가까운 일원론의 입장 • 윤리학-윤리학은 정밀과학이 아니며 선과 미에 관련된 질문은 그 답에 있어서 어느 정도 다양성을 허용할 수 있다고 주장 • 사회학-그리스 도시 국가 헌정사를 연구하면서 사회를 체계적이고 비교학적이며 경험적 분석의 대상으로 삼은 최초의 인물 • 시학(poetica)-창조적 예술이 가져다 주는 즐거움뿐 아니라 교육적 가치를 강하게 옹호함으로써 시인을 Platon과 달리 복권
(1) 물질 이론 • 아리스토텔레스-지상의 모든 것을 구성하는 물질은 지수화풍- 4원소설 수용, 영향을 받았으나 변형, 원자론에 대항 • *뜨,차/ 습,건의 두 쌍 성질을 바탕으로 • 흙(뜨, 습), 물(차, 습), 공기(뜨, 습)불(뜨, 건)등 4원소의 성질 연결 • 물이 가열되면 물의 차가운 성질이 뜨거운 성질에 굴복해서 물이 공기로 변화한다는 식으로 물질의 변화를 설명 - 물질 변화의 원리는 훗날 이슬람의 연금술사들에게도 영향 • 무거움과 가벼움-물질의 본질적 개념, 훍-물-공기-불 천상계 물질 순으로 우주 속에서의 물체의 위치를 말해주고 있는 것-우주의 중심이 주로 흙으로 되어 있는 지구인 까닭
(2) 우주구조 • 천구는 플라톤과 같이 관념적이거나 계산을 위한 방편이 아니라 실재하는 실체 • 우주의 시작점과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고 우주는 영원(신이 우주를 창조했다고 믿는 기독교 신학과 중세에 충돌) • 우주에는 천상계와(superlunar) 지상계(sublunar)의 엄격한 구별 . 천상계는 불변이고 완전하며, 지상계는 변화가 있고 불완전하다. 이에 따라 지상계에는 생성과 소멸이 있다. • 지상계- 지, 수, 화풍의 4원소로 구성, 천상계는 5원소인 에테르로 구성 • 일어나는 운동의 차이-지상계는 시작과 끝이 있는 직선 운동, 천상계에는 시작도 끝도 없는 완전한 운동인 등속원운동이 주로 존재 • 지구가 구형임을 최초로 증명 < 지구는 평평하다 라는 상식적 믿음을 전복
(3) 운동이론 • 자연운동-물체가 자연적인 위치로 향한다 • 강제 운동-물체가 다른 방향으로 억지로 가게 한다. 외부의 힘 필요 • 이 두 운동은 갈릴레오까지 계속 • 강제 운동에서 힘과 물체는 접속, 힘을 가하는 손을 떠난 다음에도 물체가 계속 공중을 날 수 있는 까닭은?
힘을 가하는 손을 떠난 후에도 물체가 계속 공중을 수 있는 까닭? • A의 대답; 투사체 운동(Impetus) • ;투사체가 손을 떠나면 공기를 교란시키고 교란된 공기가 뒤로 와서 투사체를 앞으로 나아가게 하고 다음 층 공기가 또 뒤로 와서 밀고 이렇게 해서 계속 운동한다. • 투사체의 추진력이 천천히 약해져 완전히 없어질 때 운동이 끝나고 땅으로 떨어짐 • 강제운동이 끝- 자연 운동이 시작- 이 둘은 섞이지 않는다
진공부정-무거운 물체는 가벼운 물체보다 매질을 뚫는 힘이 커서 빨리 떨어져야 하는데 공기가 없다면 똑같이 떨어질 것. 이것은 모순이므로 진공은 없다고 주장 근대역학의 운동 개념과 차이-운동: 생성 소멸, 양의 증감, 질의 변화, 위치 변화, 찬 것이 더워지는 것, 씨앗의 나무 됨, 아이가 어른 됨 가능태에서 현실태로 됨-완전한 운동인 등속원운동이 주로 존재
(5) 4 원인론 • 질료인-사물이 무엇으로 만들어 졌는가 • 형상인-사물의 모양이나 기능 • 작용인-사물에 어떤 변화나 운동을 가져오는 것 • 목적인-어떤 대사이나 과정 혹은 사건이 복무해야 할 선(the good • 목적인과 형상인 강조
(3)생물학자 • 날카로운 관찰, 정확한 기술, 주의 깊은 분류, 저술의 1/5가 생물학 • 고래와 물고기 구별, 오징어의 양성 생식 기술-동물 해부 • 벌의 습관과 병아리의 배의 발전 관찰 • 520종 분류, 해양 동물이 잘되어 있음(120어류, 60종 곤충) • 18세기 린네가 분류학을 체계화할 때까지 그대로 내려옴
*아리스토텔레스 자연철학의 특징 • ①엘레아 학파 거부, ‘변화와 원인의 존재’ 인정->목적론적(변화와 원인 강조) ②자연에는 질서가 있고 분류에 의해 찾아낸다-체계적인 면 ③사실과 관찰에 의존, 경험적(그러나 고대 그리스 세계에서 자연은 관조의 대상이지 조작의 대상은 아니었기 때문에 여기서 말하는 경험적이라는 것은 근대적 의미의 실험적이라는 뜻은 아님) ④자연학은 수학과 다른 범주-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은 비수학적
*그리스의 자연관 ①인공, 자연의 엄격한 구별 ②본질, 현상의 엄격한 구별 ③수학적, 경험적, 기계적인 면 존재 ④플라톤/피타고라스-수학적 전통, 아리스토텔레스-경험적 전통, 원자론-기계적 전통 ⑤16, 17세기-세 전통의 통합: 근대과학의 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