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 likes | 747 Views
주제 : 도로 조명. 작성자 : 20703 김건희. 목차. 1. 목적 2. 검토사항 3. 소요조도 4. 광원의 선정 5. 조명기구의 선정 6. 조명기구의 배치 7. 도로조명의 계산 8. 조명기구의 높이 및 간격 9. 균제도 10. 노면휘도. 1. 목적. 보행자 및 보행운전자의 보임을 확실하게 한다 . 사고 및 범죄 등의 위험을 예방한다 . 안전하고 쾌적한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도시의 미를 조장한다 . 상업활동에 기여해야 한다. 2. 검토 사항.
E N D
주제 : 도로 조명 작성자 : 20703 김건희
목차 1. 목적 2. 검토사항 3. 소요조도 4. 광원의 선정 5. 조명기구의 선정 6. 조명기구의 배치 7. 도로조명의 계산 8. 조명기구의 높이 및 간격 9. 균제도 10. 노면휘도
1. 목적 보행자 및 보행운전자의 보임을 확실하게 한다. 사고 및 범죄 등의 위험을 예방한다. 안전하고 쾌적한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의 미를 조장한다. 상업활동에 기여해야 한다.
2. 검토 사항 노면의 광속(휘도) 분포 - 광원과 피조면 사이의 심한 휘도대비는 교통사고를 유발한다. 조명기구에 의한 눈부심 -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는 등기구의 적당한 높이는 5~7m. 속도에 따른 적정한 조도 유지 유도성 - 커브, 인터체인지 등
4. 광원의 선정 part 1 종류, 크기, 광색, 휘도, 수명 등을 고려한다.
4. 광원의 선정 part 2 설치높이의 광원과 광속 - 기구에서 직접 운전자의 눈으로 향하는 광도가 그 광원광속에 비례하여 규제되고 있으므로 광원광속에 따른 최소의 설치고를 아래의 표에 표기하였다.
5. 조명기구의 선정 part 1~2 일반 조명기구와는 달리 가늘고 긴 도로명을 조명하므로 배광(램프로부터 나오는 빛을 노면에 가능한 한 균일하게 분포)에 대한 고려와 함께 효율이 높은 등기구가 요망된다. 검토사항 - 기계적 강도(기초포함) : 풍속 30m/sec에 견디는 정도. - 외부환경(비, 눈, 바람 등)에 견디는 구조. - 미적 감각의 효과가 있는 것(필요 시 의장을 한다).
5. 조명기구의 선정 part 3 조명기구의 종류
6. 조명기구의 배치 part 1 직선도로
6. 조명기구의 배치 part 2~3 곡선도로 - 유도성을 중시하여야 하며 멀리서 도형의 모양을 알 수 있도록 등기구 를 배치한다. - 대칭식과 편측식(도로에 바깥쪽에 설치)이 있다. - 곡선의 곡율반경이 적을수록 조명기구의 간격을 짧게 한다. 교차점 - 교차점은 사고발생 우려가 큰 곳으로 횡단 보호자의 확인이 필요하다. 따라서 많은 조도가 필요하게 된다.
7. 도로조명의 계산 part 1~2 조도 - 도로의 성격이 정해지면 소요조도 표로부터 조도를 구하고 경제성과 장래성을 고려한다. 광원 및 기구의 선정 - 광원 : 도로의 성격에 맞는 광색, 광질, 밝음, 수명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 다. - 조명기구 : 모양, 배광, 보수의 용이성, 견고성 등을 검토하여 선정한다.
7. 도로조명의 계산 part 3 조도계산 (1) 소요광속(F) = BSED/UN = BSE/UNUf - F : 전등 1개의 필요광속(lm) - U : 조명률(자동차 도로의 경우 0.3~0.35) - N : 광원의 개수 - B : 도로의 폭(m) - S : 등기구 간격(m) - E : 평균수평면 조도(lx) - D : 감광 보상률 - Uf : 유지율
7. 도로조명의 계산 part 3 광원을 크게 하는 경우 - 등기구 간격도 커지므로 기구수가 감소하여 건설비가 낮아지나 조도의 얼룩짐이 커져 균제도가 나빠진다. 광원을 작게 하는 경우 - 등기구 간격도 작아지므로 기구수가 증가하여 건설비가 높아지나 조도 의 얼룩짐이 작아져 균제도가 좋아진다.
8. 조명기구의 높이 및 간격 part 1~2 등기구 가설높이 : 5.5~12m 설치간격
8. 조명기구의 높이 및 간격 part 3 도로조명기구 배치와 조도측정위치
8. 조명기구의 높이 및 간격 part 3 조도 및 휘도 : 횡단보도의 조도는 횡단보도 조명기준에 레벨이 정해져 있다. 단, 보통의 도로조명의 조도가 횡단보도의 전후 50m 이상에 걸쳐서 평균 30lx를 초과할 때에는 이 부근의 노면휘도가 관찰점에서 대략 만족할 수 있는 값이 되며 도로조명만으로 효과가 기대되므로 직사식의횡단보도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러나 이것은 횡단보도의 어떠한 위치에 있어서도 보행자의 전신에 가능한 한 충분한 휘도가 미치도록 요구한 것이고, 특히 보행자의 발치가 너무 어두우면 보행자의 도로횡단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멀리에서 자동차의 운전자가 발견했을 때 보행자가 있는 위치의 거리감이 나오기 어렵다.
10. 노면휘도 노면휘도는 운전자의 위치에서 본 차도의 건조상태에서의 평균휘도로 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