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0 likes | 828 Views
미래의 로봇산업. 한양대학교 교수 임준홍. 로봇의 사례 - USA. i 로봇 - iRobot 사 에서 개발 . - 무선으로 웹에 연결돼 말하고 들을 수 있다 . - 디지털 카메라와 내부 안테나를 장착하고 조종자의 무선 조종장치에 의해 움직인다 . 조종자는 로봇의 눈을 통해 사물을 보고 귀를 통해 소리를 들을 수도 있고 내부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면 조종자가 세계 어디에 있든 로봇조종이 가능하다 .
E N D
미래의 로봇산업 한양대학교 교수 임준홍
로봇의 사례 - USA i 로봇 - iRobot 사 에서 개발. - 무선으로 웹에 연결돼 말하고 들을 수 있다. - 디지털 카메라와 내부 안테나를 장착하고 조종자의 무선 조종장치에 의해 움직인다. 조종자는 로봇의 눈을 통해 사물을 보고 귀를 통해 소리를 들을 수도 있고 내부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면 조종자가 세계 어디에 있든 로봇조종이 가능하다. - 전방의 장애물을 인식해 피할 수 있고 경사도 오를 수 있다. 또한 앞에 사람이 앉아 있을 경우 자신의 목 높이를 조절해 눈을 마주칠 수도 있다.
로봇의 사례 - USA Polycot - 환경 따라 변신하는 로봇 - 로봇뱀 : 우주(화성) 탐사용. - 평지에서는 탱크 바퀴처럼 굴러가다가, 계단을 만나면 뱀으로 변신해 기어오르고, 울퉁불퉁한 곳에서는 거미로 변하는 기상천외의 변신 로봇. - 이 변신로봇은 재미교포 2세 한인 과학자인 마크 임 박사가 만든 것.
로봇의 사례 - USA 탐사로봇 - 미국 항공우주국(NASA) 에서 개발. - 개구리 로봇은 특수 용수철로 약 1.8m 높이를 뛰어오를 수 있다. 중력이 작은 화성에서는 바퀴로 구르는 것보다 훨씬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로봇이 인터넷으로 연결돼 여러 마리의 로봇개구리가 공동 임무를 할 수도 있다. - 개미(로버)는 중추신경계가 없지만 길을 가다 장애물을 만나면 돌아갈 줄 안다. 개미의 행동방식을 모방하는 제어기술이 응용된 것. 6개의 바퀴는 어떤 지형에서도 안정성을 유지하는 개미의 다리를 본뜬 것. <개미로봇> <개구리로봇>
로봇의 사례 - USA • 자비어 • - 카네기멜론 대학 로봇탐구연구실 에서 개발. • 웹으로 작동. 네티즌들은 자비어가 보는 것을 인터넷에서 웹으로 볼 수 있고 교실이나 연구실로 이동하도 록 명령을 내릴 수도 있다. 다른 사람에게「헬로」하고 인사하 거나 농담을 하도록 지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로봇의 사례 - USA • 싸이(CYE). 일명 Spy-Cye • - 프로보틱스사 에서 개발. • - 간단한 인스턴스 식품을 갖다주고 청소도 하는 가정용 서비스로봇. • 발대신 2개의 톱니모양(쓰레받기 모양)의 바퀴로 움직이지만, 한번 장애물에 걸리면 그 위치를 기억해 다음에는 이 물체를 피할 수 있다. • 내장된 카메라로 집안 곳곳을 촬영, 인터넷에 띄워준다. • 한번 충전하면 24시간 대기하고 연속동작 시간은 5시간 정도이다.
로봇의 사례 - USA • COG • - 메사추세츠공과 대학(MIT) 인공지능연구소 에서 개발. • 인간의 상체 모양을 하고 팔이 두개 달린 시험용 휴머노이드 로봇. • 보이는 물건에 팔을 가져가 잡을 수 있고 고개를 끄덕이는 연구원들의 단순한 동작을 따라 하는 등 인간에게는 유아 수준의 행동을 하는 방식을 터득했다.
로봇의 사례 - USA • 단테 • - 미국 항공우주국(NASA)와 카네기멜론 대학 로봇센터 에서 개발. • 극한작업 로봇. • 7대의 카메라와 다양한 센서를 탑재한 높이 3m의 이 로봇은 8개의 다리 를 갖고 있어 일명 "거미로봇"이라고도 불린다. • 달이나 화성 표면 등을 탐사하면서 3차원 지형도와 기후도를 작성하기 위해 개발.
로봇의 사례 - USA • 미네르바 • - 카네기멜론 대학 에서 개발. • 대화형 이동로봇 (1998년) • 전시회에서 안내인 역할 - 관람객들은 로봇 뒷목 부분의 터치스크린을 눌러 필요한 사항을 안내 받을 수 있다.
로봇의 사례 - USA • 키스멧 • - MIT대학 인공지능연구소 에서 개발. • 어린아이 정도의 감성을 표현할 수 있으며 인간의 감성을 처음 모방했다. • 대표적인 것으로 부모와 아이간의 감정적 반응교류를 모방, 키스멧이 감정에 따라 즉각적으로 얼굴표정을 나타낼 수 있게 했다.
로봇의 사례 – Japan AIBO - SONY사 에서 개발. -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 기능 : 희로애락을 표현하는 인공지능 기능. - 소리와 빛에 감응하며 장애물을 피할 수 있다. - 사람이 다가가면 동물처럼 반응하는 등 다양한 동작을 보여준다. - 사람의 목소리까지 흉내 내며, 주인의 생일과 같은 중요한 날짜를 기억하도록 하는 등의 프로그램도 가능하다.
로봇의 사례 – Japan SDR-3X - SONY사 에서 개발. - 신장 50cm, 체중 5kg의 인간형 로봇. - 사람의 목소리를 알아듣고, 춤을 추고 체조도 하며 일본인들처럼 90도로 허리를 굽혀 인사할 줄도 안다. 화상 인식 기능도 장착되어 있다. - 한 발로 균형을 잡으면서 엎드렸다가 일어나는 등 고도의 운동능력 보유.
로봇의 사례 – Japan ASIMO - 혼다 에서 개발. - 신장 120cm, 체중 43kg으로 아이가 책가방을 멘 모양. - 세계 최초로 두 다리로 걸으면서 방향을 틀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다. 걷는 동작이 사람과 별 차이를 못 느낄 만큼 자연스럽다. 악수 같은 미묘한 손의 움직임도 재현해낸다.
로봇의 사례 – Japan • PAPERO • - NEC 에서 개발. • 디지털 홈 로봇. - 10명 정도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고 일본어 삼백 개를 알아듣는다. • - 3개의 바퀴로 움직이고 TV, 비디오 등 가전제품도 사람의 명령(말)에 따라 리모컨으로 작동하며 (텔레비전의 채널을 돌리거나) 전자우편을 주고받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음성 및 화상메시지를 비디오에 저장 할 수 있다.)
로봇의 사례 – Japan 원더보그 - BANDAI 에서 개발. - 곤충(딱정벌레) 로봇. - 자신을 둘러싼 환경을 스스로 판단해 행동. - 사람이 손을 대면 울면서 후퇴하고, 장애물을 만나면 앞 다리로 물건을 밟고 넘어가려고 애를 쓴다.
로봇의 사례 – Japan BN-1(네코로) - BANDAI 에서 개발. - 고양이 로봇.- 주인이 입력해 놓은 행동 패턴에 따라 움직이도록 고안된 애완용 로봇. - PC에 연결한 뒤 프로그램을 조정해 여러 가지 동작을 설정할 수도 있다. - 진짜 새끼 고양이 만한 이 로봇은 적외선, 소리, 빛 등 8가지 센서 내장.
로봇의 사례 – Japan 도그닷컴 - 토미사 에서 개발. - 애완 로봇으로 실제 강아지처럼 주인의 음성에 반응해 꼬리를 흔들고 머리를 쓰다듬어 주면 좋아한다. 기분에 따라 변덕을 부리기도 한다.
로봇의 사례 – Japan 바다도미 - 미쓰비시 중공업 에서 개발. - 원격으로 제어되는 로봇물고기. - 컴퓨터에 의해 지느러미의 꼬리 부분과 두 개의 가슴지느러미가 움직인다. - 배터리는 물고기에 내장된 코일에 의해 자동으로 충전되고 수족관에 주입된 전자기장으로부터 전력을 끌어들인다.
로봇의 사례 - Korea DiTi - 인츠닷컴과 (주) 로보티즈 공동개발. - 디디(블루)는 수컷, 티티(핑크)는 암컷 디지털 로봇 (쥐 모양). - 배꼽을 누르거나 박수소리에 동작. - 디디와 티티의 바닥을 모니터 스크린에 갖다 대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환경으로 꾸며짐. 바닥부분에 붙어있는 7개의 인공지능 센서가 인터넷 사이 트에 빛의 움직임을 감지해 다운로드. 로봇에 부착돼 있는 인공지능 센서가 홈페이지에서 깜박이는 빛을 인식해 먹이를 내려받는 게 작동원리이며, 일종 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것과 마찬가지.
로봇의 사례 - Korea 테리 - 말로 명령만 내리면 그대로 행동하는 귀여운 로봇강아지. - 진짜 강아지처럼 다양한 소리로 자신의 마음을 표현. - 걷기 등의 교차동작을 포함하여 원 그리기, 뒤로 8자 그리기 등의 특수 동작 들을 구현 할 수 있다.
로봇의 사례 - Korea 센토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개발. - 인간의 오감을 가진 4각 보행 지능형 휴먼 로봇 1호 ‘센토’(Centaur). - 센토는 음성인식장치(귀), 사람 턱의 구조를 닮은 음성발생장치(입), 사물을 입체로 보는2대의 스테레오 컬러카메라(눈), 촉감을 느끼는 인공피부센서 등으로 사람과 흡사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스스로 장애물을 피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로봇의 사례 - Korea CAIR-2 - KAIST 인공지능센터 에서 개발. - 1993 년 대전 엑스포에 등장해 어린이들의 사랑을 독차지했던 꿈돌이-꿈순 이 로봇(공식이름 CAIR-2). - 사람의 말을 알아듣고 시각센서를 이용해 장애물이 있으면 돌아가거나 "비켜주세요"하고 요구한다.
로봇의 사례 - Korea 사이버킥 - 한국의 토이세븐 에서 개발. - 축구로봇. - 조이스틱을 사용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기만 하면 사방팔방으로 로봇 을 조종할 수 있다. - 로봇 한대당 1대의 조이스틱 조종기를 사용, 축구공을 몰고 가 골인을 시키는 시합이다.
로봇의 사례 - Korea 루시 - 한국의 다진시스템에서 개발. - 인간형 2족 보행 로봇. - 로봇의 전진 및 방향전환 등의 행동이 자연스럽다. - 사용자가 무선으로 로봇의 머리부분에 부착된 카메라의 영상을 전송 받을 수 있도록 했으며 동시에 로봇의 프로그램 이나 동작패턴을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다.
로봇의 사례 - China • 테크노퍼피 • 걸을 때개발한 모터로 저소음과 유연성을 자랑. • 'Thank you', 'tekno', 'Excuse me', 'Sorry', 'Whoops', 등 말함 • 기분에 따라 컹컹, 우-워, 낑낑대며 짓는다. • 부르면 꼬리를 흔들고 좋아하거나 주인에게 다가옴. • 머리나 목을 쓰다듬으면 좋아서 귀와 꼬리를 흔들고 짖는다. • 어두어지면 서서히 잠을 자고 밝아지면 깨어나서 짖는다.
미래의 로봇 전망 마이크로 로봇- 암세포만을 골라 죽이는 미세 로봇, 혈관청소 로봇 등. 서비스 로봇- 청소 로봇, 잔디 깎는 로봇, 휠체어 로봇, 우편 배달 로봇, 진화 및 폭격피해복구 로봇 등. 농업용 로봇- 파종, 관개, 농약의 살포, 농산물의 포장 등 여러 가지 농사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 등. 우주공간 로봇- 기계손 로봇, 탐사로봇 등. 자동운송 로봇- 무인로봇비행기, 자율적 해저운반체 로봇 등. 오락용 로봇- 대화용 오락로봇, 로봇장난감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