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 likes | 496 Views
사이버 윤리와 보안. Contents. 학습목표 사이버 공간의 특성을 이해한다 . 인터넷 윤리의 개념을 이해하고 바르게 행동한다 . 네티켓의 의미를 이해하고 각각의 사례별 네티켓을 알아본다 . 인터넷 중독의 유형을 알아보고 대책과 예방법을 알아본다 . 인터넷 보안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보안의 종류와 대책을 알아본다 . 목차 사이버 윤리 네티켓 인터넷 중독 인터넷 보안. 사이버 윤리. 사이버 공간의 특성
E N D
Contents • 학습목표 • 사이버 공간의 특성을 이해한다. • 인터넷 윤리의 개념을 이해하고 바르게 행동한다. • 네티켓의 의미를 이해하고 각각의 사례별 네티켓을 알아본다. • 인터넷 중독의 유형을 알아보고 대책과 예방법을 알아본다. • 인터넷 보안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보안의 종류와 대책을 알아본다. • 목차 • 사이버 윤리 • 네티켓 • 인터넷 중독 • 인터넷 보안
사이버 윤리 • 사이버 공간의 특성 • 대인 관계의 확대 : 많은 사람이 한 공간에 모일 수 있고 빠른 시간 안에 상호 교류가 가능하여 많은 사람과 관계를 맺을 수 있다. • 익명성: 자신의 신분을 밝히지 않은 채 익명 활동이 가능하다. • 개방성과 평등성 : 시·공간의 제약 없이 누구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 비인간적 관계 : 얼굴을 마주하지 않고 빠른 시간에 만들어지는 대인 관계로 인해 인간적인 유대감이 적다. • 사이버 윤리 교육의 목표 • 인간 존중의 이해 • 자율적인 행동 통제 • 정보 사회에 대한 책임감 인지 • 공동체 의식
네티켓 • 네티켓(Netiquette) • 사이버 공간에서 네티즌이 지켜야 할 기본 예절 • 네티켓 6가지 원칙 • 사이버 공간에서도 상대방은 똑같은 인간임을 기억하라. • 사이버 공간에서도 동일한 가치관에 따라 행동하라. • 그 나라에 가면 그 나라의 법을 따르라. • 절제된 감정으로 논쟁에 임하라. • 타인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라. • 타인의 실수를 용서하라. • 흥부와 놀부 행복 댓글 • http://www.iapc.or.kr/info/infoPrev/showInfoInfoPrevDetail.do?article_id=ICCART_0000000000973&board_type_cd=B5&searchCondition=&searchKeyword=
인터넷 중독 • 인터넷 중독 • 지나치게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일상생활을 저해할 만큼 사회적, 육체적, 정신적으로 지장을 받고 있는 상태 • 인터넷 중독의 일반적 증상 • “하면 할 수록 더 하고 싶어져요” 내성 • “인터넷을 못하면 짜증이 나고 아무 일도 못하겠어요” 금단증상 • “졸리고, 집중도 안되고, 현기증이 생기기도 해요”일상생활장애 더 큰 자극성 기대 중요한 일 포기 가상세계와 현실세계 혼동 불안 우울 초조 만성피로 시력저하
인터넷 중독 • 인터넷 중독 사례 • 게임 중독 • 과도한 게임으로 정신적, 육체적, 사회적 어려움을 초래. • 현실과 게임을 혼동, 범죄를 유발. • 채팅 중독 • 여가시간의 대부분을 사이버 공간에서의 대인관계및 의사 소통에 몰입하는 것. • 현실의 대인관계 형성이 원활하지 못함 • 음란물 중독 • 단순히 성에 대한 호기심을 넘어 음란물을 탐닉하거나 지나칙 집착하는 것. • 정상적인 성적 가치관 형성이 어려움. • 성범죄를 유발.
인터넷 중독 • 인터넷중독 성인 관찰자 진단(15문항) • 누가 봐도 인터넷에 중독된 것을 단번에 알 수 있다. • 인터넷을 사용하더라도 주변 사람들의 시선이나 반응에 무관심하지 않다. • 인터넷 때문에 폭력(언어적, 신체적)을 휘두른다. • 하루에 12시간 이상 움직이지 않고 한 곳에서 인터넷을 한다. • 식사나 휴식 없이 화장실도 가지 않고 인터넷을 한다. • 인터넷 하느라 주변사람들에게 무관심하다. • 인터넷 때문에 폭력(언어적, 신체적)을 휘두르지 않는다. • 인터넷을 하느라 학교나 회사를 무단으로 빠진다. • 인터넷 하느라 연락 없이 하루 이상 외박을 한다. • 인터넷을 하는데 건드리면 화낸다. • 인터넷을 하느라 학교나 회사를 무단으로 빠지지 않는다. • 인터넷을 하는 장소에서 잠을 자고 끼니를 때운다. • 인터넷을 하느라 눈빛이 흐릿하고 멍하다. • 하루 이상 밤을 새우면서 인터넷을 한다. • 인터넷을 하느라 씻거나 머리를 감지 않고 이틀 이상을 보낸다.
인터넷 중독 • 인터넷 중독 예방법
인터넷 보안 • 정보 보안 시 확보되어야 할 3가지 요소 • 기밀성: 보안 등급에 따라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다르게 설정해야 한다. • 무결성: 정보에 대한 변경을 제한하여 정보가 정확하고 완전하다는 것을 보장해야 한다. • 가용성: 권한을 가진 사용자라면 언제든지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 컴퓨터 바이러스(Virus) • 자체적으로 복제 능력이 있고, 컴퓨터에서 파일을 삭제하거나 정상적인 시스템 작동을 방해하는 등의 영향을 미침 •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자신의 시스템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사람들의 컴퓨터 시스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항상 바이러스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세워야 함 • 바이러스 검사와 치료기능을 가진 소프트웨어 설치 • 업데이트를 수시로, 실시간 검사 기능을 이용 • 주기적으로 전체 저장 공간에 바이러스 검사 실시.
인터넷 보안 • 방화벽(firewall) •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하지 않거나 인증되지 않은 접근을 막도록 설계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의미, 인증된 사용자만이 통신 • 서로 다른 보안 도메인 간에 발생되는 트래픽을 통과시키거나 거부하는 기능도 있음 • 외부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는 내부 네트워크로 분리하는 기능도 갖춤 • 패킷필터링 방화벽 – 패킷을 검사하여 특정 IP나 도메인을 허용 또는 거부하는 형태 • 응용 계층 필터링 방화벽 – 응용프로그램과 해당 프로토콜을 인식할 수 있어 비정상적인 프로토콜의 접근을 거부하는 형태
인터넷 보안 • 해킹(hacking) • 네트워크에서 보안의 취약점을 찾아내어 불법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행위 • 컴퓨터 보안 분야에서 해커는 컴퓨터와 네트워크 시스템의 보안 매커니즘(mechanism)에 집중하여 보안 시스템의 안정성을 테스트하는 등 순기능을 담당하고 있음
인터넷 보안 • 크래킹(cracking) • 특정 정보 시스템을 파괴하거나 네트워크에 침투하여 데이터를 변경, 변형하거나 훔치는 범죄 행위를 의미 • 크래커(cracker)는 접근 권한 없이 불법적으로 시스템에 침투하여 피해를 입히거나 데이터를 훔치려는 의도로 시스템에 침입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 • 가장 흔한 크래킹 기법 • IP 스푸핑(IP Spoofing) • 스푸핑은 ‘속이다’는 의미 • 인터넷이나 로컬에서 존재하는 모든 연결에 스푸핑 가능 • 정보를 얻어내는 것 외에 시스템을 마비시킬 수도 있음 • IP 주소를 속여서 공격하는 기법으로,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송신자의 주소를 속여서 수신 컴퓨터를 폭주시키거나 정보를 취득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공격 형태
인터넷 보안 • 크래킹(cracking) • 가장 흔한 크래킹 기법 • 패킷 스니핑(Packet Sniffing) • 스니핑 - sniff의 사전적 의미는 ‘코를 킁킁거리다’ • 스니핑은 코를 킁킁거리듯 데이터 속에서 정보를 찾는 것 • 랜 카드로 들어오는 모든 전기 신호를 읽어 들여 다른 이의 패킷을 관찰 •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조용히 있어도 충분하므로 수동적(passive) 공격이라고도 함 • 네트워크 상에서 자신이 아닌 다른 상대방들의 패킷 교환을 엿듣는 것 • 스니핑 시스템은 관리자가 공격자를 탐지하기도 어렵지만 공격자가 자신이 노출되었는지 인지하기 어려움 • 네트워크상의 패킷을 훔쳐보는 방법으로, 주로 타인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알아내는 용도로 사용
인터넷 보안 • 암호화 • 허가 받은 사용자만 볼 수 있도록 데이터를 변환하는 기술 • 암호화(Encryption)는 평문인 원래의 데이터를 다른 사람이 볼 수 없도록 변환하는 것이고, 복호화(Decryption)는 암호화된 암호문 데이터를 원래의 형태(평문)로 되돌리는 것 • 키가 사용되는 방식에 따라 대칭키 암호화 방식과 공개키 암호화 방식으로 나뉨 • 대칭키 암호화 방식 • 암호화/복호화 과정에서 동일한 키를 사용하므로 대칭키라고 함. 송신자와 수신자가 동일한 키를 사용하기 위해 사전에 동일한 키를 교환하여 감춰 두고 있어야 하므로 비밀키 암호화 방식이라고도 함
인터넷 보안 • 공개키 암호화 방식 • 공개키 암호화 방식은 한 개인이 가지고 있는 공개키(Public Key) 하나와 자신만이 비밀리에 갖고 있는 개인키(Private Key) 하나를 이용
인터넷 보안 • 무선 인터넷 보안 • WEP(유선 동등 프라이버시, Wired Equivalent Privacy) • 초기에 사용된 무선 보안 프로토콜, 현재까지도 상당수 사용되고 있음 • 40비트, 104비트, 128비트가 암호화 키로 쓰이고, 암호화할 때 사용되는 초기화 벡터로 24비트를 사용 • 사용 가능한 순열의 수가 적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크래킹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음 • 표준 64 비트 WEP : 40비트 길이의 키에 24비트 길이의 초기화 벡터가 더해져 RC4 트래픽 키가 생성되고 여기에 사용자가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와 XOR하여 암호화 된 데이터를 전송.
인터넷 보안 • 무선 인터넷 보안 • WPA(와이파이 보호 접속, Wi-Fi Protected Access) • WEP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보안 프로토콜 • 48비트 초기화 벡터와 128비트 암호화 키를 사용 • 패킷이 전송될 때마다 암호화 키를 변경하는 TKIP(Temporary Key Integrity Protocol)기술을 사용하여 좀 더 나은 보안을 가능하게 해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