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 likes | 518 Views
정보봉사의 이론과 실제 - 대학도서관 및 공공도서관 서비스중심 -. 김종은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2003. 7 Kimche@knue.ac.kr. 1. 학습목표와 대상. Purpose. 도서관에서 봉사의 목적으로 수집되거나 가공 , 제작된 자료나 정보들을 소속원이나 주민들에게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
E N D
정보봉사의 이론과 실제- 대학도서관 및 공공도서관 서비스중심- 김종은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2003. 7 Kimche@knue.ac.kr
1. 학습목표와 대상 Purpose • 도서관에서 봉사의 목적으로 수집되거나 가공, 제작된 • 자료나 정보들을 소속원이나 주민들에게 효과적으로 •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 도서관은 외부로 부터 정보를 받아서 이를 이용 할 수 있도록 가공하여 외부 환경으로 출력하는 개방체제(Open system)이다. 정보(자료)가 있어야하고, • 가공하는 시스템(정보시스템 및 사서)이 있어야하고, 가공물(웹페이지 및 데이터베이스)이 있어야하고 외부 환경 (이용자)가 있어야한다. Targets • 소장된 자료(장서) • 구독 중인 자료(전자저널, eBook) • 자관에서 제작하거나 가공한 자료(원문, 데이터베이스) • 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정보기기 • 타도서관과의 협력망을 통해서 이용하는 자료(정보) • 이용하기 위한 이용자 교육 • 온/오프라인을 통해서 이용하는 시스템 • ** 다만, 이곳에서는 실물자료(장서)의 이용은 • 제외합니다.
2. 21세기 도서관 정보서비스의 특성 Digital Library • 인터넷 웹기반 (홈페이지)을 이용하여 시간과 공간의 • 제약을 받지 않고 정보를 제공(벽없는 도서관, • 가상도서관, 디지털도서관) • 본문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디지털정보관리시스템의 • 구축으로 지식 정보의 신속한 접근과 활용 • (직접 지식 제공으로 학습사회 구현, 생애교육지원) • 상호 협력 네트워크 구축으로 방대한 정보자료 수집 및 • 정보공유 체제(상호원조, 협동으로 서비스확장) • 특성화된 정보서비스(차별성, 경쟁력) • 문화적, 교육적특성(고유문화 보존, 발전시키고, 교양, • 취미등 삶의 질을 향상) • 학습의 장소(독서, 진로지도, 취업준비, 고급의 독서 • 장소,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제공) Digital Librarian • 디지털 전자매체 중심 봉사자 • (인쇄매체 관리중심에서) • 지식 정보의 관리자, 직접 전달자(정보의 소재파악에서) • 자료의 접근 제공자, 전국망 중계자(실물의 소유와 자관중심에서) • 창조적 웹라이브러리 구축자(수동적 위치에서) • 특성화된 주제 정보 시스템 구축(일반적인 시스템에서) • 문화관리사, 평생교육관리사 • (지역문화 소개, 지역정보를 관장, 평생교육을 지원)
3. 도서관 정보서비스의 변화 방향 University Library • ** 온라인 정보서비스 • 세분화된 주제정보서비스 및 통합검색 병행 • (분관은 특화된 주제 또는 형태별 실물 자료 이용) • 전자저널 원문서비스 및 E-book 증가 • 독립된 서비스팀 구성, 인포데스크, 참고봉사, • 홈페이지 관장 등 업무 강화 • 문헌복사서비스(DDS) 활성화 • 학위논문 및 자체 연구물 원문 , 본존자료 원문 구축 • 특정자료 및 지정도서(Reserve book) 제공 • 이용자 정보교육(IL) 강화 • 대출대상 확대, 평생교육제공, 평생회원제 • Mobile서비스 확대 • 멀티미디어 웹서비스 확대 Public Library • ** 온라인 정보서비스 • 연구, 전문, 대학도서관과 협력강화 • (자료의 한계 극복, 이용자 요구) • 박물관, 미술관, 문화원 등 지역 문화기반 시설과 협력 • 지역도서관망 주관 • (공공, 학교, 대학, 전문도서관 과 우선 협력, 서비스 • 극대, 업무중복 방지, 국가 자원활용 극대) • 분관 ( 또는 소규모도서대출실관) 증설- 접근용이 중요 • 기관간 회원의 공유 • (회원카드 공동 활용, 공동 대출, 공동규제, 역량 증대) • 우편대출, 반납제도 및 자동차 반납 코너 운영 • (우수회원제도 무료, 일반회원 보증금제도) • 어린이, 청소년 문제, 진로 상담 , 도서관 이용 • 참고상담 코너운영(자원봉사 전문 요원 상주) • E-Book서비스 증가 • 문화행사, 교양강좌, 음악회, 만남 사교의 장소 • 지역자료의 보존, 특성화 활용(홍보) • 멀티미디어실 강화, 비도서자료 적극 활용
4. 도서관 정보서비스 자원 Information Resources 소장자료, 구독자료 Database(자관 및 타관) BBS (예:교육연구보고자료) CD-ROM E-Journal E-Book & Document Photo & Image, Map Audio & Video Metadata & URL Webpage Mobile Digital Facilities Scanner High Speed Scanner Microform Scanner & Reader PC & Printer Color Printer Namo, Acrobat PSP, Photoshop, Flash USB, PDA, CD-R(W) CD-Space, DVD Digital Camera & Camcorder 확대경 및 고정 확대기 무선 랜카드 ** 정보기기 활용을 통한 Offline 서비스
5. 디지털 문서 서비스 Access & authenticate IP방식, ID방식, 혼합방식, 가상IP(Virtual network)방식 DRM(저작권 인증서비스) Open(완전 무료공개) *대부분 기관홈페이지 서지 정보, 및 기관자료는 완전 오픈, 일부 무료이용 컨텐츠 완전 오픈 (부가 서비스 지원) 다만, 회사 기밀이 필요한 것, 관계자만 알 수있는 것은 ID방식으로, 그리고 불필요한 접속을 줄이고 회선여유을 위해서 인증된 사람만 접속하도록 할 수 있슴. Security • PDF문서(열기암호,도구없애기 • (모든기능거부), 편집거부, • 인쇄거부, 저장거부 • DRM Player(공급업체의 특정 • Player의존, 호환성 상실) • DWM(Digital watermarking) • DRM(Digital rights • management) • IDS(Intrusion detection system) 특정 파일, 서버에 불법침입차단시스템
6. DRM system Concept • DRM(Digital right management) • 저작권관리제도, 전자도서관 활성화 기여 • 구축 및 등록: 모든 문서에 • DRM고유번호(메타정보)- DRM관리처에 • 전송(DRM database) • 이용자: User-자관서버에 원문접속-저장시 • DRM인증 (DRM관리처승인)-자관에 통보- • 저장, 재저장시-불가 또는 인증URL • 체크-재승인 받아야 함 • 정산시스템-DRM본부-승인 체크파일에 • 따라서-자작권료있는 것은 해당 도서관에 • 지불 요청-완료 • Watermark(디지털서명,생산자명,2차 • 재사용,도용방지)와 병행 • 모든 것은 국민양심에 따라 실효성, • 이용자 불편을 해소할 완전 전자문서 • 배포 실현은 불가능함 Flow • 도서관- DRM서버에 등록(원문URL 및 • 관련 저작사항) • 이용자-검색- DRM서버에서승인 • - 원문 다운로드(제공 도서관 서버에서) • DRM서버관리기관- 이용자 • 인증사실통보(정기적) 및 저작권 수수료 • 증수의뢰 • 저작궈료의 정당한 지불 및 전자자료의 투명한 • 이용으로 도서관 활성화에 기여 • 재저장시 다시 인증 받아야함 • 네트웍 및 시스템에 부하가 걸려서 원문 • 접속속도가 느려지며, 이용에 불편 초래
7.정보서비스의 조건 Prepare • 서비스계획(보고서) • 현황-문제-개선-예산과 인력투입내용-기대효과 - 평가계획 포함 • 서비스 팀 상설조직(또는 Task Forc구성), 교육, 필요한 경우 구조조정으로 팀 조직:- 홈페이지 운영, 특화서비스, 참고상담, 인포데스크 , • 각실 정보서비스 지도, ILL 및 정보서비스메뉴얼 총괄 • 팀구성 효과: 정보의 신뢰성, 정확성, 신속성유지, • 정보의 일관성 유지 필요 • 인터넷(초고속통신망) 및 디지털기기 • 디지털정보원(Database & 전자문서구축) • 특정 소장자료, 구독자료 • 웹컨텐츠(웹페이지개발, 자관개발 원문, • 구매원문, 회원제공정보, 협력망지원정보) • ** 단순한 소재파악 서지 목록정보는 Digital library 서비스가 아님, 지식정보가 필요함 • ** 정보자원의 한계 극복과 이용자의 요구 때문에 다른 도서관과 협력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운영할 수 없슴 Database & BBS • 구축목적 명확화, 내부구성원 및 관련 • 기관간의 협의 도출 필수 • 설계: 서지범위, 초록여부, 원문여부, • 원문 메타링크, DBMS, BBS저장 • 문헌신청(형) 여부(원문은 미리 • 파일로 구축 개인에게 비공개- 관리자만 • 접속) 신청에따라 유 무상제공 • 서버설치(홈페이지 및 서지관리, 보안, • 백업필수, 백신, windows2000이상, • Unix, 원문저장서버 별도) • CD-Space서버 (CD자원 활용) • 통합 메타검색엔진서버 • 구축(협력기관 공동운영), 이질적 • DB 통합검색, 간단한 서지 및 • 원문축출 제공
8. 자관 DB활용 정보서비스 From Library Database • 최신정보축출 (연도순, 내림차순, ERIS최신정보) • 특정 키워드 검색제공 • 주제정보제공 (주제명 축출, 대구중앙e-Book, 경희대) • 상관색인 축출 (KDC상관색인 참조, 청주대도서관 색인) • 학위논문 마춤제공 (전공별 축출) • 연간물 리스트제공 (엑셀- 웹) • 최근 입수도서 주제별 리스트 • 멀티미디어자료 리스트 • (별치기호 축출) • 연간물 입사항 제공(Check-in) • 통합검색엔진 제공 (협력도서관의 (메타정보 축출) • ** 좋은 검색엔진의 조건풍부한 정보, 주제별 정보제공, 데이터베이스 갱신 주기 • 가 빠를것, 검색속도, 검색 옵션의 다양성 및 사용자 환경(interface)을 지원 • * URL을 항시 오픈해서 접속할 수있도록 제공 • 경향닷컴- yahoo 교육연구정보 검색) Effect • 효과: • 자료를 일별 할 수 있는 가상 서가를 제공한다. • 이용자가 검색 법을 몰랐을 때, 검색에 실패할 • 때 유용한 정보서비스가 제공된다 • 홈페이지 검색 및 자료의 이용율이 높아진다 • 고가의 데이터베이스를 최대한 활용 • ** From e-Journals’ database: • Current journals list 제공(입수사항, 목차정보) • 소장저널리스트 제공(주제별, 알파벳 순) • 출판사( 또는 제공 대행사별) 리스트 제공 • (전체 리스트에 링크, 주제별 중요저널만 링크, • 공급자가 준 웹페이지만 링크) • 주제별 중요저널을 선별 원문을 링크해서 • 제공하면 좋은 효과 (원문은 백업해서 • 도서관에서 문헌복사 서비스용으로 관리)
9. 인터넷 정보원 및 서비스 개발 Object • 유용한 정보(지식)가 있을 것 • 신뢰성있는 홈페이지, 웹페이지 • 반드시 주제별(전공)우선, 알파벳 가나다순 리스트 • 조사, 분석, 평가, 요약설명 단계 • 예) POSTECH Library, 배열ll ERIS, 전공별 배열 • 공공도서관 서비스 개발 • 계층별 서비스 개발. 인간 발달정도가 다르다. • * 어린이- 지적 호기심 왕성, 독서습관, 이용 습관 • * 청소년- 가치관이 형성, 예민한시기, 진로상담, 독서상담, 학습상담, 이성문제 상담 • * 성인- 50세이상 장년 노인에대한 서비스 개발 계속교육, 취미, 여가정보서비스 • * 직장인(20-40대)- 독서자료, 레포트지원, 온라인 학습환경, 취업정보, 경제정보,건강문제, 가정문제 • 집단에대한 서비스- 시청, 교육청,군청등 단체, • 지방의회의원 서비스 개발 • 희망도서신청-통보, 관심분야 논문제공, 자료 택배대출 및 반납 제공 등(시간이 없는자에게 봉사) • 신규 전입자 조사 및 도서관안내 Resources • 대학(학과, 학부) 및 전문도서관, 전문연구정보센터 • 학술정보서비스기관, 국립도서관 • 특성화 주제정보 서비스 • (ERIS, Doctorkorea, Edunet, 건강링크) • 중요정부 및 지방기관, 연구기관, 문화기관, 문화재 • 방송 및 신문언론기관 • 학술 및 교양, 오락잡지(전자저널) • 전문가 개인 홈페이지, 지방 인사, 인명록 • 중요 데이터베이스 웹페이지 • 상호대차 및 문헌복사서비스정보 • 전자도서, 전자 참고자료, 출판사 및 인터넷 서점 • ** 대학도서관 서비스개발 • 수준별 서비스 개발, 대학 학부생, 대학원생, 교직원 • * 대학- 교양강좌, 외국어, 과제, 독서, 취업, 지정도서, 실문자료중심 • * 대학원- 학위논문, 해외저널, 외국도서, 연구보고서, 국내학술기사, 세미나자료, 현장정보 • * 교수- 연구보고서, 잡지기사, 해외저널, 해외도서, 학회
10. 인터넷 컨텐츠 Concept • 인터넷 정보서비스를 위해서 홈페이지의 목적(제공)에 맞는 유용한 컨텐츠(Contents)가 필요하다. 인터넷에는 구입 할 수없는 비정형적 자료(회색자료)들이 많이 있다. 홍보, 공지, 사보, 웹진, 특허, 연구동향, 탐방, 통계, 여론함, 보고서, 최신게임 등 아이디어의 보고들이다. • Information형태: 일방적 정보제공, 데이터베이스 • 사서는특성화된 주제의 2차 메타정보를 구축해서 • 서비스해야 경쟁력있는 도서관 • Entertainment형태: 시각적 동적 영상물 • 게임, 영화, 뮤직 등 • Communication형태: 쌍방향 대화 중심 • 재택수업, 교육교재, 원격진료, 메신저, 채팅등 • 사서는특성화된 주제의 2차 메타정보를 구축해서 서비스해야 경쟁력있는 도서관 • 대부분 주된 형태가 있으나 혼합형태로 제공한다 Success • 누구나 쉽게 제작하고 원문을 올릴수있다 • 기관의 명예을 걸고 신뢰할수있는 정보와 내용이 깊이 있어야하고, 질적으로 우수해야한다. 자기 것 보다 더 좋은 안내도 링크해서 참고토록 배려해야 한다. • 이용 대상을 고려 이용자 수준에 알맞거나 단계별로 약간 높은 것이어야 한다.(학부생 중심인가, 대학원생 중심인가, 교수 중심인가? 대학원생 및 교수 중심 서비스을 위해서 보다 전문적인 깊이있는 서비스 필요) • 국내외 학술지, 최신 동향정보 제공을 위해서 별도의 00서비스 홈페이지가 필요하다. 그래야 학생들도 수준에 맞는 교양 독서위주 컨텐츠 개발이 가능해 진다. 최근 눈높이에 맞지 않는 저급한 홈페이지는 고급 이용자들이 외면하고있다. • 질적으로 우수하고 차별화 된것만이 살아남은다. • ***우수한 켄텐츠 조건: • 신뢰성(참고문헌, 추천사이트안내) • 내용의 깊이(지식중심,원문중심,이용자 수준에 맞춤) • 최신성(주기적 갱신, 최신자료 올리기등) • 주제성(지식에 도움이되어야하고, 관련 주제에 충실함) • 질의응답(참고봉사를 위한 성실한 답변)
11. Mobile 서비스 Concept • 휴대폰이나 PDA을 통해서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제공된 소장자료의 검색, 예약, 연기, 대출조회, 희망도서 신청 등을 확인하며, 공지사항, 개인별 주지사항 등 문자메시지로도 통보하는 도서관의 적극적인 서비스 방법 • WAP서비스로 별도의 서버, 업그레이드 필수, 담당직원 훈련, 각 휴대폰 회사 협조, 단말기에따라 지원여부 결정 • 별도 개발회사, 도서관리 프로그램 개발업체와 협력하여 개발 • 홍보철저, 이용안내 메뉴상설 • 백석학술정보관(천안대) • 전자신문문자서비스 • 인쿠르트채용정보서비스 Success • 서비스내용: • 소장도서 검색 • 대출예약, 좌석예약, 대출연기,대출조회 • 연체통보, 대출중지통보 • 희망도서신청, 희망도서조회 • 문헌복사신청, 처리결과통보 • 전천후 서비스: • 언제 어느때나 PC유무와 상관 없이 도서관 서비스를 받을 수있다. • 자료이용증대 • PC설치 대용, 경비절감 • 휴대폰사와 제휴 수익증대 • 다만, 이용자의 휴대폰 사용비용 부담
12. ILL (DDS)서비스 Concept • 미소장 자료나 이미 대출된 자료, 복본이 적은 • 자료를 도서관 협력망을 통해서 소장 도서관에 • 요청하여 자료를 습득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 국가차원에서 자원 절약 • 도서관 차원에서 풍부한 정보제공 • 도서관 생존의 핵심서비스 • 전국 단일도서관 봉사체제 연계 • 반드시 일정한 수량의 도서와 저널, 또는 • 특성화된 도서(자료)를 가추어야 ILL • 협력자격이 주어진다 • (아무 도서관이나 신청 자격을 주면 전체 • 도서관의 발전에 저해, 해당 기관장 투자소홀. • 개인은 공공도서관, 학교도서관을 통해서 신청 • 권장, 자료는 제공기관에서 직접 받도록) • 도서관은 미소장자료 서비스을 위한 일정한 • 공공예산을 편성, 소속원의 불만을 해소 • 시켜야 한다. Success • 조직화 • (유능한 직원, 친절한 직원 배치,업무증가에 • 따라 직원 추가배치, 업무가 많아서 고달프면 • 매력적인 곳이 안된다, 외국 대학 도서관은 • 별도의 팀장과 업무처리 실이 따로 있다. • 근무평정시 가산점으로 사기를 높인다) • 업무투명화 (수입금의 국고, 기성회계 처리, • 복사실 이체등 업무을 투명하게함. 불투명시 일 • 을 처리할 수 없거나 책임을 지지 않을려 한다) • 신청 및 처리 데이터베이스화 • (메일서비스 한계, 신청, 신청결과보기, • 신청관리처리, 통보메일포함, 원문보기) • 예) ERIS문헌신청(자관), 국립중앙(자관), • KERIS(협력망) • 비용 저렴, 파일서비스 활성화, 육체적 노동은 • 적게, 요금처리 간편하게, 원문복사(파일) • 상태가 양호해야 한다
13. 웹페이지 서비스 Concept • 웹페이지 성공조건: • Community(15%) • 방문자 쉼터, 휴게실, 동호회, 사랑방, 스포츠,오락소개, 이색 포탈사이트 들어가기, 회원에게 게시판 접근 ID제공, 여론 수렴, 이벤트행사 등 • Contents (70%)홈페이지 운영 목적과 관련된 주된 데이터베이스, 읽을거리, 볼거리 등 컨텐츠제공, 반드시 검색 및 자료이용 도움말을 넣도록 한다. • Commerce(15%) • 배너 마케팅, 제품교환 마게팅을 상호 사이트간에 잘하도록 개방체제 운영, 주요 포탈홈페이지에 등록 • *** 잘되는 사이트 특징: • 새로운 컨텐츠와 주기적 업데이트 • 화려함 보다는 목적에 알맞은 컨텐츠 • 고객관리 철저, 방문자의 질문에 신속, 성실한 답변 • 도메인이 외우기 쉽고, 다른 사이트와 교환마케팅 활발 • 검색엔진이 첫페이지에 나온다 • 자주찾는 단어, 검색어가 안내 되었다 • 웹서버 관리 철저(백신,보안, 도메인 세팅 확인 필수) All in one site or each independent site • 전 주제서비스(All in one) • 전주제 망라(포털사이트), 방대한 컨텐츠관리 어려움, 이용자 고급화 차등 등 사이트운영 부담 • 야후, 다음 등 포탈, 일반 대학도서관 (실물관리 중심) • 특성화된 주제서비스(each independent- DL핵심) • 특화된 주제정보 운영, 이용자 고급화, 고정이용자, 회원제 운영 용이, 컨텐츠 전문화 용이, 웹관리자 교육용이( 연구도서관(환경분야), 전문정보센터, ERIS) • ***off-line 서비스매체 • PC, PDA, Notebook, CD-R(W), E-book viewer, multimedia CD, DVD, Scanner, PSP, Photoshop, Flash등 이미지작업 툴, alzip압축툴, USB, Mydisk 무선LAN카드, 디지털사진기, 캠코더, 필림스캐너, 프린터 등 • ***이용자 교육의 중요성 • 정보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 자관 홈페이지 부터 정보검색법 교육, 정보기기 활용법, 원격지에서 정보저장, 가공하는 법등을 교육해야 한다. On/off line 방식 겸용 • 교육을 하고 안하고의 차이는 엄청나다.
14. 정보서비스의 실제 Mugar memorial library University of Boston • ** 소장자료, 구독자료를 철저히 활용토록하였다 • (training 주목) • Electronic Resources by Subject • Library Catalog • Other Library Catalogs • Electronic Indexes • Interlibrary Loan • Electronic Journals • Reference Shelf • Research Guides • Staff, Training • Capstone/ Circulation/ Collections/ Interliberary loan/ Reference/ security • URL: • http://www.bu.edu/library/mugar-hm.html UCLA University of California ** 펼침목록을 잘 활용하고 있다, 소장(구독) 이외의 중요 웹사이트도 주제별로 잘 정리되어 있다 (online chat 주목) Find Online Materials (Browsing subject 예)Find Books & Other Materials (Orion, CDL) Find Articles by title (by subject) Find Research Guides by Subject ( 2차정보원) Find Help with Research (온라인 채팅 방식, 상담시간 홍보) * Support Services and Research Undergraduate Students | Graduate Students | Faculty/TAs | Instruction by UCLA LibrariesMore Library Links: News, Exhibits, and Events | Giving Opportunities | Library Administration | Services for Non-UC Users | Employment URL: http://www.library.ucla.edu/
15. 정보서비스의 실제 NLE Nat’l Library of Education • 메타서치엔진GEM, 전문데이터베이스 ERIC 을 운영하는곳 • 미국 국립교육도서관 • Resources • GEM( the Gateway to educational materials) • VRD • (Virtual reference desk) • ERIC(educational resources information center) • NCEF(Clearinghouse for edu facilities) • USNEI(US network for education information) • ED plus(Educational Documents ordering for staffs) • URL: • http://www.ed.gov/NLE/ NLE Nat’l library of environ • 원문을 직접 조사 이용하도록CRS Browser topic • 이 잘 되어있다 (국회의원들의 활용 지원) • 미국 국립환경도서관 • NCSE Programs • CRS ReportsInternet Reference DeskNative • Americans and the • EnvironmentPopEnvironmentPopPlanet • US Environment • Environmental Hot Topics • Featured Links • Foundations Providing Grants for Environmental Purposes • NLE Environmental Jobs & Resumes • Virtual Environmental Law Library • State of the Environment Reports • Toxicology Resources on CBRNE • Web U.S. Higher Education • URL: • http://www.ncseonline.org/NLE/
16. 정보서비스의 실제 POSTECH Library 작은 메뉴에 풍부한 컨텐츠가 이용하기 쉽게 구축되었다. (주제별, 알파벳순, 다른웹사이트등 이용자을 궁금한 마음을 알고 만든것 같다) 포항공과대학 도서관 자료검색 학술데이터베이스 전자저널 E-book VOD 이용자서비스: (원문복사, 희망도서신청, 개인정보관리) URL: http://www.postech.ac.kr/library/ ERIS Kor nat’l univ of education 도서관 부설 특성화된 교육분야 전문정보서비스 회원제운영( 정보공동 구축 및 정보제공자가 회원) 교육연구정보서비스-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ERIS database(최근연구정보, 연구동향, 연구원논문) E-journals (해외학술지 목차검색, 전공별리스트, 중요지정저널 원문제공, ProQuest e-journals) Multimedia (ICT교수-학습자료, 교과서 및 지도서, 교사우수연구자료, 전자도서) ERIC & useful sites (ERIC서비스, 학위논문, 학회지,PDU해외 학위논문, 교육통계, 유용한 웹사이트) Subject matters in education (각 교과교육 별 ERIS 주제별 최근 정보, 예: 교육정책) DDS, BBS URL: http://eris.knue.ac.kr/
17. 정보서비스의 실제 The New York Public library ** 소장자료, 웹자료서비스 위주, 독서문제공 문화행사, 이벤트 등은 분관에서 소규모로 Contributions & membership Library Card/ Renewing books The Research Libraries(4개 주제도서관) Online Resources: - catalogs - digital library collections Health information/ online for Kids Ask librarians Best of the webs The Branch libraries Full list of neighborhood libraries URL: http://www.nypl.org Daegu & Incheon Central Public Library • 대구광역시 중앙도서관 • ** e-Book, 원문DB( 자관 것, 저작권 없는 것, 옛잡지), • VOD(실무강좌, 자격취득 강좌 등), eBook 종합검색 (목록, 목차, 이미지, 주제별), 문화행사(Event)홈페이지 최대한 활용, 방문효과가 끌것임, 컨텐츠 풍부 • 베스트eBook/ 스테디eBook/ 신착eBook • URL: http://211.33.201.23/ (e-Book)URL: http://www.tglnet.or.kr/home/default.html • 경쟁사이트: http://www.nbl.or.kr/ (대구남부도서관) • 인천광역시 중앙도서관 • ** 소장자료 제공, 학위논문제공, 연간물 리스트 제공등 검색 보완, 평생학습관 의 각종 강좌 실시 • 자료검색/ 회원서비스/ 각 자료실안내 • 평생학습관/ 이동도서관/ 순회문고 • 학위논문제공/ 중앙정보마당(사이버강좌) • URL: http://www.ijlib.or.kr/
18. 정보서비스및 정보사서의 발전 Trends • 통합 메타검색 서비스 추진 • 관련된 분야 웹통합검색엔진 • (예: 전문연구정보세터, • 사이트통합검색(KEDI), • 교육연구정보통합검색, LG상남) • 멀티미디어 지원 강화 (세미나발표, 학술대회 등 • 직접제작하여 연상으로 제공, • 멀티미디어학습자료 제공 • CD-space network 기술 발전 • 예: 토목연구정보센터, VOD • eBook 전문사이트(별도) 강화 • 원문서비스 개발로 전자정보실 효율적 운영 추세 • 국립중앙, 국회, KERIS, ERIS등 원문제공은 • 공공도서관 활성화 지름길 • 홈페이지가 단순화, 집중화 되었다 (한눈에 들어오게) • 도서관기준(안)을 지침으로 발전 • * 보존도서관운영논의 - 국립중앙에서 운영 바람직 Trends • 사서의 디지털 정보 구축 역할 • 수많은 정보사이트를 분석 평가하여, 2차 정보를 가공 • 제공한다. 이용자가 쉽게 주제별로 접근하도록 한다, • 제2차정보 제공자, 데이터베이스 가공 전문가, • 정보이용 교육자 역할, 정보네트웍 구축자 • 도서관기능이 전문화 세분화 특성화 되어간다 • 웹 출판물의 증가는 도서관기능을 실물자료 관리에서 • 컨텐츠개발과 관리역할을 하게하며, 차별화된 • 고급정보 제공을 위하여 특화된 서비스를 개발 • 도서관은 새로운 학습의 장으로 등장 만남의 장소, 주민의 지적 유희, 고급의 독서시설 • 제공으로 평생학습 기회 제공 • 전자정보실 활성화 • 멀티미디어실, 디지털자료실 운영으로 정보격차 해소* 21세기 도서관상과 사서서비스 참조
공공도서관 서비스개발을 위한 IFLA/UNESCO 가이드라인/ Philip Gill, 장혜란 역. (한국도서관협회, 2002) 인터넷을 이용한 참고봉사/ 김휘출(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1998) 디지털 환경에서의 이용자 서비스/ 김종은(국립중앙도서관 연수교재, 2003) 우리나라 디지털 라이브러리 현황과 전망/ 이현실(사대도협회지 제3집, 2002) 대학도서관 활성화 방안/ 오헌석 (초중등학교 및 대학도서관 발전 종합계획 p.21-, 교육인적자원부, 2003) 디지털도서관 간의 상호 정보교류 방안 연구/ 이우범(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1권 3호) 감사합니다. - The End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