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k likes | 3.83k Views
다문화 국가 이해 교육 프로그램. 베트남 탐구 여행 ~. 1. 베트남은 어디에 있나요 ?. 아시아. 베트남. 2-1. 베트남에 대하여. 정식 명칭 :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 위치 : 아시아대륙 남동쪽 ( 인도차니아 반도동부 ) - 중국 , 라오스 , 캄보디아 접경 / 한국보다 2 시간 늦음
E N D
다문화 국가 이해 교육 프로그램 베트남 탐구 여행~
1. 베트남은 어디에 있나요? 아시아 베트남
2-1. 베트남에 대하여 • 정식 명칭 :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 • 위치 : 아시아대륙 남동쪽 (인도차니아 반도동부) - 중국, 라오스, 캄보디아 접경 / 한국보다 2시간 늦음 • 면적 : 331,689㎢ (남한면적의 3.3배, 남북한 총면적의 1.5배 ) • 수도 : 하노이(HaNoi) • 종족 : 베트남족(킨족89%)+ 화교(100만명) +산악 소수민족(타이,므엉,메르 등 55개) • 언어 : 베트남어+산악 소수민족언어+불어권 사용국 • 독립일 :1945년 9월 2일 • 국가원수 : 응우엔민 찌엣 국가주석(2006년 취임,임기5년) • 인구 : 86,116,559명(2008년기준)
2-2. 베트남의 행정구역 • 5개의 중앙직할시, 57개의 성 • 직할시(주요 도시) 1)하노이: 수도 – 호암끼엠호수, 호아로 수용소 문묘(VAN MIEU)=공자묘 성 조셉성당 2)호치민시 - 가장 큰 도시, 메콩강 하구에 위치 - 사이공이란 불렸던 도시 3) 다낭시 - 남중부지역의 최대 상업,항구도시 4) 하이퐁시 -베트남 제일의 항구도시 -하롱만, 도손해변, 유향탑(사당) 등 5)껀터 -남부의 메콩 델타 최대의 도시
2-3. 베트남의 기후 • 북부지역 : 아열대성 • 남부지역 : 열대몬순 • 연평균기온 : 24.1도 (북부 23.2도, 중부 24.1도, 남부 27.1도) • 최고기온 : 하노이 32.8C, 호지민시 34.8C • 강우량 : 하노이 1,1680mm/연, 호지민시 1,950mm/년 • 최저기온 : 하노이 13.8C, 호치민시21.0C
2-4. 종교 • 불교(70%이상), 기독교(카톨릭9%, 개신교), 이슬람교 호아하오교, 까오다이(유교, 불교, 도교의 혼합종교) 등
북 베트남 남 베트남 현재 국기 3. 베트남의 국기 vs • 이름: 한국어- 금성홍기, 베트남어- 거떠 상우왕 • 응우옌 흐우 티엔(베트남 혁명가)이 1940년 프랑스 식민통치에 반기를 든 코친차이나 봉기에서 처음 사용했음. • 1955년 베트남 인민공화국(북 베트남)의 국기로 채택 • 북 베트남에 의해 통일되어 1976년 이후 통일 베트남 국기 됨. 독립운동시: 붉은 색-독립을 위한 피, 노란색-인종(황인종), 별의 오각-사농공상병(士農工商兵 다섯 인민)
4. 베트남의 국화-연꽃(호아센) 베트남 사람과 너무 낯익은 꽃이고, 농촌부터 도시까지 어른부터 어린이까지 어디든지 누구나 다 잘 압니다. 연꽃으로 장식, 차, 향료 등 다양하게 사용합니다.
5. 베트남의 상징 • 국장: 웍후이 • 동물: 용
6. 베트남의 역사 지정학적 특성 때문에 외국의 침략과 지배를 자주 받음 1884년에 프랑스 식민지가 되어 프랑스령인도차이나에 편입됨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면서 외세들이 다시 들어와 베트남은 1954년까지 정치적 혼란기를 맞음 1954년에 북베트남의 공산당정권이 북베트남에서 프랑스 식민 세력을 완전히 몰아낸 후, 북위 17도선을 경계로 남북으로 갈림 남, 북으로의 분단은 20여 년에 걸친 긴 전쟁을 가짐 월남전 북베트남 승리 – 1975년 사이공 함락 : 남베트남(미국, 한국, 필리핀 등) vs 북베트남(구소련,중국) 세계에서 유일하게 미국과의 전쟁에서 승리를 통해 공산화를 이룸
7. 베트남의 인사말 안녕하세요? - 씬자오 (Xln chao) 안녕히 가세요 - 땀비엣(Tam biet) 만나서 반갑습니다 -라악 한 하안 드억 랍 마악 (Rat han hanh duoc gap mat) 또 만나요 - 행 라압 라이(Hen gap lai) 잘 지내세요-하이 드 딘 씃 괘 (Hay giu gin suc khoe)
8. 베트남의 화폐 (동) • 통화 단위는 동 - 지폐:200. 500. 1000. 2000. 5000. 10000. 20000. 50000. 100000. 500000동 - 동전 : 200. 500. 1000. 2000. 5000 • 앞면그림 - 인물 (호치민 등) • 뒷면그림 - 전통가옥, 유적, 동물, 노동 모습 • 길거리 과일이나 음료수를 사먹을때 필요한 동(Dong) 정도만 환전을 하는것이 좋음.
9-1. 베트남의 음식 • 주식은 주로 밥(껌)을 먹고 가끔 쌀국수(퍼)와 반미(프랑스 바게트 빵 비슷)도 즐김 • 생선은 바닷고기보다 민물고기를 선호함-강,호수 • 고기는 보통 돼지고기(구이, 조림)나 닭고기 요리 • 야채(라우):상추, 오이, 향기가독특한 라우텀을 생채로 먹음 • 국(깐): 고기와 나물이 들어감 • 밥은 찰기가 적으며 젓가락 사용 • 음식의 큰 특징은 시고 달며 짜다. • 베트남 간장(느억 맘)에 생선을 찍어 먹음
9-2. 베트남의 유명 음식 쌀국수 월남쌈
10. 베트남의 과일 • 열대과일의 종류도 매우 다양함. 대체적으로 당도가 매우 높은 편임. 종류에 관계없이 팔 때 kg로 판매함. 두리안 망고 스타애플 램부탄 파파야
11. 베트남의 전통의상 • 전통의상 중 하나 • 예전엔 남녀 모두 입음 • 중국 치파오의 영향 받음 • 평상복에서 예복까지 다양함. • 현재의 아오자이는 1940년대 형태 형성 • 깃을 짧게 세우고 양쪽 다리 옆에 길게 슬릿을 넣은 여성용 긴드레스 • 미혼은 흰색, 기혼은 자색으로 정장 • 평상복은 주로 검은색입음
11-2.베트남의 전통모자 베트남은 열대성 기후로 겨울에도 남쪽은 덥고, 북쪽은 서늘하답니다. 사람들은 더위를 피하고그늘을 만들기 위해 ‘농’을 만들어 머리에 쓰고 다닙니다. ‘농’은 야자수 잎으로 만듭니다.
12. 베트남인들이 좋아하는 운동 • 축구, 테니스, 배드민턴, 탁구 등
13. 베트남의 대표적 축제 • 지어또 훙브엉 • 국가행사만큼 거대한 축제행사 • 기간 : 4월14일~24일까지 10일간의 축제(양력) • 베트남에서 축제(= 레 호이)란 조상과 신에 대한 존경과 감사라는 상징적 의미가 민간의 고유한 놀이 문화와 결합되어 표현되는 형태 • 전국적으로 마을마다 다양한 축제가 행해짐(100여개)
14. 베트남의 대표적 교통수단 • 씨클로 – 자전거와 인력거를 합체시킨 모양의 교통수단(영화도 있음) • 자전거- 자전거에 많은 물건을 싣고 다님 • 오토바이– 값싼 중국산 오토바이의 수입으로 급증하고 있음 • 보트 - 물고기잡이, 이동수단ㄷ으 다양하게 쓰임
15. 베트남의 전통예술 공연 1 음악, 노래, 암송, 낭독, 춤과 마임 등이 한데 어우러진 전통공연들은 수백 년을 거치는 동안 베트남의 독특한 전통문화로 자리매김했다. 학광호 (민간 전통가극) 무어로이느윽(수중인형극)
15-2. 베트남의 전통예술 공연 2 전통 오페라 학보이, 대중 오페라 학쩨오, 개량된 오페라 까이릉 학보이 (중국 경극 바탕,고전극) 까이릉 (감미로운 노래, 춤) 학쩨오 (유머스런 대중연극)
16-1. 베트남의 유명 관광지 • 하롱베이 - 영화의 배경으로 유명 : 인도차이나, 굿모닝 베트남 -크고 작은 섬들(1,600여개)과 석회암 기둥들이 장엄한 바다 풍광을 연출함 -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됨
16-2. 베트남의 유명 관광지(후에) 민만황제릉 후에성
16-3. 베트남의 유명 관광지 판티엣 모래 사막 하이반패스
16-4. 베트남의 유명 관광지 메콩강 유역 성 조셉 성당 냐짱:프랑스 식민지였던 시절부터 개발된 관광지
17. 베트남의 놀이 베트남 빙고게임 뱀브댄스 쩌이주엔
18. 베트남의 인물-호치민(호지명) • 인도차이나 공산당의 창설자 (1930) • 베트남 독립동맹(베트민)의 동맹원(1941) • 베트남민주공화국(북베트남)의 대통령(1945~69) • 거의 30여 년 동안 베트남 민족운동의 지도자 • 제2차 세계대전 뒤 아시아의 반식민지운동을 이끈 인물로 가장 영향력 있는 20세기 공산주의 지도자 중 한 사람 • 1969.9.2. 사망 구엔 아이 쿡, 구엔 타트 탄
19. 베트남의 교육제도 1 1. 유아원 <냐 째>, 유치원 <머우야우> - 여성의 사회활동이 많아 유아원(1세~2세)과 유치원(3세~6세)에 오전 6시~ 오후 5시에 아기를 데리러 감. 통학버스가 없음. 2. 초등학교 <쯔엉 띠우 혹> - 1학년부터 5학년까지 다님. - 보통 6세에 학교를 보냄(나이에 상관없이 입학 가능) - 교복: 파란바지,흰 와이셔츠, 빨간 머플러 - 수업 오전 7시~11시, 오후 1시 ~ 4시 - 45분 수업에 15분 휴식으로 이루어짐 - 1학기는 9월~12월, 2학기는 1월 ~ 5월(방학: 6월~9월) - 학비는 1년에 2번 냄(1회:80만원정도) - 점심은 급식 하는 학교와 급식하지 않는 학교가 있음
19. 베트남의 교육제도 2 3. 중학교 <쯔엉쭝혹꺼써> - 6학년 ~ 9학년(11살~12살에 입학. 나이 많아도 입학 가능) - 수업은 하루에 5시간인데 (오전 7시~12시 vs 오후 1시~6시) - 졸업시험에 통과하면 고등학교 진학 시험(2번 이상 통과 필수) 4. 고등학교 <쯔엉 쭝 혹포통> - 10학년~12학년(보통 15세~18세에 입학), 남녀공학 - 교복: 남학생은 바지와 흰 셔츠, 여학생은 아오자이 - 교육 내용: 주로 대학입시 위주(대학교가 적어 경쟁률 치열) - 12학년은 6월에 고등학교 졸업시험 (졸업 후엔 7월 시험: 시험에 떨어지면 졸업x 대학입학 시험x) 5. 대학교 <쯔엉 다이 혹 > - 대학교 과정은 5년으로 이루짐.(대학생은 군대 면제) - 대학생들은 방학 중 봉사활동을 많이 함. (산골 아이들에게 글자 지도, 새 집 지어줌-가정형편이 어려운 집)
20. 베트남의 시골 풍경들 까이뭄 - 바구니 모양의 베트남 전통배
21-1. 우리나라와 비슷한 풍습 • 龍의 문화(건국신화에 등장), • 쌀을 주식으로 하는 식생활 • 젓가락 문화 • 부모와 조상 공경 - 제사 • 스승과 연장자를 공경 - 세배 • 장례식 중시-장지길, 무덤 • 결혼식을 중시-약혼, 함, 결혼, 부조금 • 제사 풍습 • 흰색의 의복을 즐겨 입는다는 것
21-3. 우리나라와 비슷한 풍습 • 자식을 소중히 여기고 태교에 힘씀. • 돌 잔치 있음 • 뉀단(=설날): 음력 12월 25일~1월3일 - 12월25일(별조날): 믁덷+ 꽃-제사, 벌초다. - 1월1일:아오자이를 입고 제사, - 1월 2일부터 세배와 비슷한 인사를 다님 • 충투(=추석): 음력 8월15일 - 어른들은 충투때 만 먹는 떡(반충투)을 먹고 대화함 - 아이들은“롱댄추투”를 학교에 가지고 가서 놈.
21-4. 우리나라와 비슷한 풍습 믇넬 반충투 롱댄추투
22. 우리나라와의 관계 베트남 전쟁에 많은 군인 참여 - 라이따이한 탄생 한국과는 1992년에 국교를 정상화 함 국제결혼으로 많은 베트남 여성들이 한국에 옴 베트남 현지에 공장이 많이 들어서고 외교와 유학으로 많은 교류를 함
♣ 한국과 베트남의 습관 차이 1 * 유교문화를 오랫동안 영향을 받아 풍습이 차이가 없는 것처럼 보이나 약 80여년간 프랑스의 지배로 우리보다 사고 방식이 서구화되어 있다. • 우리나라와 같이 주종, 상하관계가 엄격히 지켜지지 않고 있다. - 우리나라와는 달리 직책이나 직위, 직분 등을 성이나 이름 앞에 붙이지 않는다. 가까운 사이일수록 더욱 그렇다. - 얼핏 보기에는 버릇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서구화) 특히 남부베트남에서 두드러진다. • 베트남에서는 여성들에 대해 차별 대우, 멸시해서는 안된다. - 오랜 전쟁에서 남성들은 죽고 여성들이 가정을 꾸리고 자녀들을 교육시키는 등 강인한 정신력을 갖지 않으면 안 되었기 때문에 여성들의 지위가 매우 높다.(베트남 여성 존종)
한국과 베트남의 습관 차이 2 • 베트남인들은 일반적으로 낙천적이고 여유롭다 - 문화의 정도와 풍토의 차이로 인해게으르고 더럽다고 오해하는 사람도 있으나 잘못된 편견이다. • 베트남인들은 주먹다짐을 하며 싸움을 하지 않는다. - 말로 모든 것을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그래도 안 될 때는 그 자리를 피한다. - 우리나라 사람들은 그들에 비해 성질이 너무 급하다고 생각한다. - 베트남 근로자들을 다룰 때 인격적으로 대우해 주어야 한다. : 절대로 차별을 느끼게 하거나 모욕을 주어서는 안 된다. 때리는 것은 절대로 금물이다. • 9를 으뜸이자 신성한 수로 여기며,13은 액운의 상징으로 여김. 또한 5는 베트남어로 위험의 뜻과 비슷해 숫자의 합이 5가 되거나 15, 25등 5로 끝나면 이를 기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