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9

제 V 편 실업과 인플레이션 제 17 장 필립스 곡선

제 V 편 실업과 인플레이션 제 17 장 필립스 곡선. 1. 필립스 곡선 (Phillips Curve) 의 의미와 발전 2. 자연실업률가설 (natural rate hypothesis) 3. 인플레이션퇴치정책 (disinflation policy). 제 17 장 필립스 곡선. -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관계에 관심 - 이러한 관계를 설명하는 것이 필립스곡선 (Phillips curve) - 총수요관리정책은 총공급곡선 ( 필립스곡선 ) 의 안정을 전제로 하는 정책

Download Presentation

제 V 편 실업과 인플레이션 제 17 장 필립스 곡선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V편 실업과 인플레이션제17장 필립스 곡선 1.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의 의미와 발전 2.자연실업률가설(natural rate hypothesis) 3.인플레이션퇴치정책(disinflation policy)

  2. 제17장 필립스 곡선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관계에 관심 -이러한 관계를 설명하는 것이 필립스곡선(Phillips curve) -총수요관리정책은 총공급곡선(필립스곡선)의 안정을 전제로 하는 정책 -1960년대 말부터 총공급곡선(필립스곡선)이 불안정하게 이동 1.필립스곡선의 의미와 발전 (1)초기의 필립스곡선 1)최초의 필립스곡선(original Phillips curve) -영국의 A.W. Phillips가 1861-1957년 사이의 영국의 실업률과 명목임금상승률의 관계 실증분석 -실업률과 명목임금상승률이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며 매우 안정적인 관계를 찾아냄

  3. 제17장 필립스곡선 1.필립스곡선의 의미와 발전 (1)초기의 필립스곡선 2)물가형 필립스곡선(pricetype Phillips curve) *1960년 P. Samuelson과 R. Solow교수에 의해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의 관계로 발전 -명목임금상승률(wage inflation)을 물가상승률(price inflation)로 대체 -물가상승률=명목임금상승률-노동생산성증가율 -P=m*ULC=m*WL/Y => P상승률 = W상승률-(Y/L)상승률 -필립스 곡선이 매우 안정적이므로 안정화 정책에 적극적으로 이용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사이에 상충관계(trade-off)가 있다고 보고 필립스 곡선 상의 어떤 조합을 선택하느냐의문제가 중요

  4. 제17장 필립스곡선 1.필립스곡선의 의미와 발전 (2)예상형 필립스곡선(expectations augmented Phillips curve) *1960년대 후반부터 필립스 곡선이 매우 불안정하게 이동 -스태그플레이션현상(필립스 곡선의 우상향 이동) 발생 *이동에 대한 여러 설명 중 통상 예상에 의해 필립스곡선이 이동 -M. Friedman과 E. Phelps가 제시한 예상형 필립스곡선이 가장 대표적 : Expectations augmented Phillips Curve, natural rate Phillips curve -사람들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예상에 따라 필립스곡선이 이동 -이 이론에서는 장기 필립스곡선과 단기 필립스곡선으로 구분

  5. 제17장 필립스곡선 1.필립스곡선의 의미와 발전 (2)예상형 필립스곡선(expectations augmented Phillips curve) 1)단기 및 장기 필립스곡선 *단기 및 장기 필립스곡선은 단기 및 장기총공급곡선과 거의 동일한의미를 가짐 *단기 필립스곡선(SRPC: short-run Phillips curve) -인플레이션 예상치가 주어진 상태에서의 필립스곡선 -우하향의 안정적 필립스곡선 *장기 필립스곡선(LRPC: long-run Phillips curve) -사람들의 예상이 완전히 달성된 상태에서의 필립스곡선 - 인 상태에서의 필립스곡선 -자연실업률(un)수준에서 수직인 선

  6. 제17장 필립스곡선 1.필립스곡선의 의미와 발전 (2)예상형 필립스곡선(expectations augmented Phillips curve)

  7. 제17장 필립스곡선 1.필립스곡선의 의미와 발전 (2)예상형 필립스곡선(expectations augmented Phillips curve) 2)자연실업률 *장기(잠재)산출량에서의 실업률 -한 나라의 다양하고 매우 차별적인 노동시장들이 평균적으로 균형상태에 있는 실업률 노동시장에서 발생하는 임금의 상승압력과 하락압력이 상쇄되어 균형인 상태의 실업률 *인플레이션과 밀접하게 관련된 개념 -장기산출량수준(Yp)에서는 물가가 상승하지도 하락하지도 않으며 물가가 더 빨리 상승하지도 더 느리게 상승하지도 않는 상태 -자연실업률은 물가가 상승하지도 하락하지도 않는 상태, 즉 인플레이션도, 디플레이션도 발생하지 않는 상태, 물가가 안정적인 상태에서의 실업률을 말함

  8. 제17장 필립스곡선 1.필립스곡선의 의미와 발전 (2)예상형 필립스곡선(expectations augmented Phillips curve) 2)자연실업률 -인플레이션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개념 안정적 인플레이션을 유지하면서 달성 가능한 가장 낮은 실업률(the lowest sustainable unemployment rate) 인플레이션을 가속화시키지 않는 실업률(NAIRU: Non Accelerating Inflation Rate of Unemployment) 인플레이션에 안전한 실업률(inflation-safe unemployment rate) *자연실업률의 구성 -실제실업과 경기적 실업의 차이 -마찰적 실업과 구조적 실업

  9. 제17장 필립스곡선 2.자연실업률가설 (1)상충관계(trade-off) *총수요확대정책의 효과 -현재의 상태(A)에서 수요가 증가하면 단기적으로 B로 이동 -계속 실업률을 낮춘 상태(u0)에 있으면 인플레이션 예상의 조정으로 C로 이동 -C에서 총수요증가를 원상태로 되돌리면 D로 이동

  10. 제17장 필립스곡선 2.자연실업률가설 (1)상충관계(trade-off) *초기균형점(A)과 총수요증가정책이후의 균형점(D)의 비교 -총수요증가정책으로 얻은 것은 일시적인 실업의 감소 A->B->C->D로 가는 동안 일시적으로 실업률이 u0로 하락 -총수요증가정책으로 잃은 것은 인플레이션의 항구적 상승(p0 에서 p1으로 상승) =>예상형 필립스 곡선에서의 상충관계 일시적 실업률의 감소(temporary reduction of unemployment rate)와 항구적 인플레이션의 상승(permanent increase of inflation) =>정책당국자에게 딜레마를 유발

  11. 제17장 필립스곡선 2.자연실업률가설 (2)자연실업률가설 *실업률이 자연실업률을 벗어나면 인플레이션이 가속(감속)함 -실업률은 장기적으로 자연실업률로 수렴 *자연실업률가설(natural rate hypothesis) -장기적으로 실업이 자연실업률로 수렴한다는 이론 -정부총수요정책은 단기적으로 효과가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자연실업률상태로 복귀하여 실업률에 영향을 주지 못함 *최근에 와서 자연실업률가설에 대한 비판이 고조 -자연실업률(NAIRU)의 안정성과 추정에 문제가 있음 미국의 경우 1995년 이전에는 NAIRU가 약 6%정도로 생각함. 그러나 이후 실업률이 4%대로 하락했음에도 인플레이션이 오히려 약간 하락=>필립스곡선이론에 대해 의문을 제기=필립스곡선이론이 문제거나 NAIRU의 값에 매우 큰 불확실성이 있다고 주장

  12. 제17장 필립스곡선 3.인플레이션퇴치정책(disinflation policy) (1)반 인플레이션의 비용: 희생비율과 신뢰성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서는 긴축정책을 통해 사람들의 인플레이션예상을 낮추어야 함 -이 과정에서 상당한 기간 동안의 실업을 감수하여야 함 -현재 D에서 A로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D->E->F->A과정의 실업을 부담하여야 함 -D와 A의 비교 인플레이션율은 p0에서 p1으로 하락 실업률은 자연실업률을 초과하는 u1상태에서 일정한 기간 동안 유지

  13. 제17장 필립스곡선 3.인플레이션퇴치정책(disinflation policy) (1)반 인플레이션의 비용: 희생비율과 신뢰성

  14. 제17장 필립스곡선 3. 인플레이션퇴치정책(disinflation policy) (1)반 인플레이션의 비용: 희생비율과 신뢰성 *희생비율(sacrifice ratio) -인플레이션을 1%p 감소시키기 위하여 희생한 실업증가(또는 산출량감소)의 크기 -ex) D에서 인플레이션율 8%, A에서 3%, DEFA과정에 3년 소요. 자연실업률=5%, u1=9%라면 총비용=3년*4%p=12(%p-year). =>인플레이션 1%p 낮추기 위한 희생비율=12/5 = 2.4 (%p-year)의 경기적 실업률 -희생비율을 산출량으로 나타내는 경우: 만약 실업률 1%p가 산출량 2%p 감소에 해당한다면 희생비율은 연간GDP의 약 4.8%p의 감소에 해당

  15. 제17장 필립스곡선 3.인플레이션퇴치정책(disinflation policy) (1)반 인플레이션의 비용: 희생비율과 신뢰성 *희생비율의 크기 -희생비율은 인플레이션의 현수준에 따라 달라질 것임 필립스곡선의 기울기와 경기침체의 강도에 의해 영향을 받음 -급진주의와 점진주의 급진주의(cold turkey): 단기간 내에 인플레이션퇴치 방식 => 단기간의 심한 경기침체 점진주의(gradualism): 점진적으로 인플레이션퇴치 => 장기간의 완만한 경기침체

  16. 제17장 필립스곡선 3.인플레이션퇴치정책(disinflation policy) (1)반 인플레이션의 비용: 희생비율과 신뢰성(credibility) *인플레이션퇴치비용이 매우 큼->긴축정책의 대안을 모색 -케인지안: 소득정책(incomes policy) -통화론자: 정책의 신뢰성확보 즉, -신뢰성이 있는 경우: 긴축정책으로 인플레이션 하락시키면 인플레이션예상치의 하락으로 해결=>no output(employment) effect 신뢰성이 없는 경우: 긴축정책으로 인플레이션하락시키면 인플레이션 예상치는 불변이고 실업의 증가로 나타남=>negative output effect -신뢰성 있는 공개된 정책으로 인플레이션비용도 낮고 신속하게 인플레이션방지 가능: 인플레이션은 통화적 현상이므로 통화안정필요 통화준칙, 통화위원회제도, 금본위제, 물가안정목표제 등

  17. 제17장 필립스곡선 3.인플레이션퇴치정책(disinflation policy) (2)물가연동제(indexation) -인플레이션의 통제 대신 인플레이션에 적응 -대표적인 방법이 물가연동제(indexation) 사람들이 일반적 물가수준의 변화로부터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게 물가변동을 조정해주는 메카니즘 생계비연동조항(COLA 조항, cost of living adjustment) 등 -전반적 물가연동제(full indexation)는 위험 연동제는 부분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

  18. 제17장 필립스곡선 3.인플레이션퇴치정책(disinflation policy) (3)자연실업률의 하락을 위한 정책 *자연실업률의 지속적 상승의 이유 -온정주의적 정부정책 실업보험, 사회보장적 이전지출, 최저임금법 등 -노동이동에 대한 제약증대 -불확실성 증대 *자연실업률의 하락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 -미시 경제적 정책이 필요 -노동시장에 대한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 노동시장정보제공, 컴퓨터화된 정보제공, 직업소개소 -교육, 훈련 프로그램강화 -노동시장에 대한 제약제거 온정적 복지정책에 대한 검토

  19. 제17장 필립스곡선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