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 likes | 384 Views
그랜나래. 한옥과 서양이 만난 집. 소개 목차 - 한옥. 이집을 만들게 된 동기. 생각한 집의 구조. 집의 관계 , 인원수 공간 , 재료 , 가격 책정. 온돌의 구조 , 과학원리. 기와의 재 료 , 과학원리. 창호지의 역할 , 사용 동기 , 만들어진 방법. 이 집을 생각한 동기. 한옥과 서양의 만남을 두고 .... 한옥의 구조를 각 장점들을 통해 배치하고 서양의 기술을 두면 좋을텐데 ..... 옛것의 소중함 & 장점 + 현대의 기술 & 편리성 =?
E N D
그랜나래 한옥과 서양이 만난 집
소개 목차-한옥 이집을 만들게 된 동기 생각한 집의 구조 집의 관계, 인원수 공간, 재료, 가격 책정 온돌의 구조,과학원리 기와의 재료,과학원리 창호지의 역할,사용 동기, 만들어진 방법
이 집을 생각한 동기 한옥과 서양의 만남을 두고.... 한옥의 구조를 각 장점들을 통해 배치하고 서양의 기술을 두면 좋을텐데..... 옛것의 소중함&장점+현대의 기술&편리성=? 이라는 궁금증과 호기심에 잡혀 이 집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집과 나의 관계 인원수 공간 서재와 강의실을(미래에 교수가 꿈입니다) 양 끝에 두어 햇빛이 잘 들게 끔 제작 하였습니다. 방은 7개 이여서 7인용 공간으로 만들었습니다.
재료, 가격책정 하드보드지 스티로폼 클레이 가격책정 : 방은 7개, 천문대 창호지 온돌을 사용한 집이므로 현실적으로 3억 책정 하겠습니다
생각한 구조 기와 창호지 온돌
온돌의 구조 대류현상 열 내기,취사
온돌의 과학원리 • 열의 전도를 이용해 돌을 달군 뒤 방바닥 전체를 따뜻하게 해줍니다. • 아궁이에서 불을 피워 열을 가하면 열의 손실이 많아 열 에너지의 효율성이 떨어짐으로 아궁이에서 취사도 같이 하였습니다. • 온돌의 축 열 시스템은 아랫목과 윗목의 두께를 달리하여 온돌의 구조 안에 있는 돌에 열을 주어 열을 오랫동안 유지하도록 하였습니다.
온돌의 단점 • 열의 전도를 이용한 난방이므로 방 아랫목 과 윗목의 온도 차가 심해 사람 건강에도 좋지 않습니다. • 방의 환기가 잘 되지 않고 습기가 없어져 건조 되기 쉽습니다. 보완-창문을 크게 설치하고 창호지의 통풍기능을 이용해 열의 대류현상을 막아주고 습도관리 조절을 합니다. 단점을 수정하여 미래에도 더 많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면 되겠습니다.
기와의 재료 암키와 수키와 기와 시멘트 기와 점토기와 금속기와
기와의 단점 • 기와의 제작과정이 까다로워 값이 비싸고 현대에는 기와를 쉽게 볼 수 없습니다. • 기와는 깨지기 쉽고 금속기와 같은 경우는 무게가 무겁습니다. 보완-평소 기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기와를 좀 더 연구하여 발전된 기와를 만들면 보완 될 것 같습니다. 우리는 전통 집의 미를 계승하기 위해 기와를 사용한 집을 설계하였고 미래에 교수가 되었을 때 연구실이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창호지의 재료&만드는 과정 닥나무 1) 닥 삶기 2) 씻기 및 쐬우기 3) 티 고르기 4) 두드리기 5) 씻기 6) 종이 뜨기 7) 물 빼기 8) 말리기 9) 다듬이질(도침 질) 창호지
창호지의 과학원리 • 창호지는 일반 현대식 창문&문 보다 내부의 열에너지를 효율적이게 관리 할 수 있습니다. • 창호지는 외부에 들어오는 빛을 조절해주어(채광의 기능) 서재에서 책을 볼 때 평온하게 볼 수 있습니다. • 창호지는 통풍의 기능도 있어서 습도관리조절을 해줄 수 있어서 쾌적한 생활 공간을 만들 수 있습니다(습기를 빨아드리고 내뿜을 수 있습니다).
창호지의 단점 창호지는 잘 찢어 질 수가 있어서 오랫동안의 사용은 불가피 할 수 있습니다. 보완- 창호지의 재료인 닥나무와 함께 잘 찢어 지지 않는 원료를 넣어 창호지를 만들어 내면 될 것 같습니다. 창호지가 세계로 널리 관심을 받고 있는 이유는 창호지의 재료가 자연에서 나온다는 이유입니다 따라서 사람들이 현대식 구조보다 많은 효과를 볼 수 있는 창호지를 사용하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