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9

동학 농민운동과 갑오개혁

동학 농민운동과 갑오개혁. 30143 임한솔 , 30141 이정석. 동학혁명의 배경. 동학농민운동. - 열강의 침략적 대립 ( 청 vs 일 , 러시아 vs 영국 간의 대립 ) → 중립론 이 나타났다 . - 정부의 무능 - 외세와 타협과 굴복 - 배상금 지불 - 근대 문물수용에 필요한 경비 지출 - 매관매직 농민에 대한 압제와 수탈 심화 - 일본의 경제적 침투 ( 입도 선매 . 고리대 ) → 방곡령의 실패 (1889) 로 인한 농민들의 적개심. 동학혁명의 전개 (1894~).

acton
Download Presentation

동학 농민운동과 갑오개혁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동학 농민운동과 갑오개혁 30143 임한솔, 30141 이정석

  2. 동학혁명의 배경 동학농민운동 - 열강의 침략적 대립 (청vs일, 러시아vs영국 간의 대립) → 중립론 이 나타났다. - 정부의 무능 - 외세와 타협과 굴복 - 배상금 지불 - 근대 문물수용에 필요한 경비 지출 - 매관매직 농민에 대한 압제와 수탈 심화 - 일본의 경제적 침투 (입도 선매. 고리대) → 방곡령의 실패(1889)로 인한 농민들의 적개심

  3. 동학혁명의 전개(1894~) 동학농민운동 - 제1기( 고부 민란 시기 | 1894. 01. ) → 고부군수 조병갑의 횡포에 항거 → 1894.03.03 해산 → 안핵사 파견 • 제2기( 절정기, 1차 봉기 ) → 안핵사 ‘ 이용태 ’의 마을 약탈 → 무장봉기 : 보국안민, 제폭구민 = 전봉준, 손화중, 김개남, 오지영 → 사발통문을 사방에 보냄 : “우리의 의를 들어 여기에 이르렀음 ~ 탐관 베고, 밖으로 강적 무리 쫓아 ~” → 백산 봉기 - 전봉준의 격문, 4대 강령 발표 • 사람을 죽이지 말고, 가축을 잡아먹지 말라 • 충효, 백성 편안 • 왜놈을 몰아내자. • 권세가와 귀족을 없애라 → 탐관오리 제거, 조세 수탈 시정, 균전사 제거 주장 * 균전사 - 고을 개간을 위해 파견한 관리

  4. 동학혁명의 전개(1894~) 동학농민운동 • 제3기 ( 폐정개혁안 실천 ) → 집강소 설치 (1894. 6) • 전라 53개 군에 설치한 민정 기관 → 농민군 내정 개혁 목적 • 총본부 - 전주에 집강소 총 본부인 ‘대도소’설치 • 민정 체결 = 1인 - 집강 + 서기, 성찰, 동몽 • 기능 - 행정적, 의결기관(의사원), 호위군 설치 • 한계- 정부의 실천 의지 미약 → 교정청 설치 - 자주적 개혁 추진 → 청일 전쟁 - 청에 파병을 요청하자 일본은 톈진 조약을 빙자 군대를 보냄 ( 시모노세키 조약 ) * 시모노세키 조약 (1895. 4. 17) - 조선은 자주국이다. / 청은 일본에 대만, 요동, 팽호도를 할양한다. / 배상금 2억냥 • 제4기 - 재봉기 (2차 봉기, 반외세적, 남접, 북접) → 개혁부진, 일제 침탈 → 남접 = 전봉준 / 북접 = 손병희 / 최시형 → 논산 → 공주 이인 전투 승리 → 공주 우금치 전투 (일본군에 패배) → 정봉준 체포

  5. 폐정 개혁안 동학농민운동 * 폐정 개혁안 12조 • 1. 동학도는 정부와의 원한을 씻고 서정에 협력한다.  • 2. 탐관 오리는 그 죄상을 조사하여 엄징한다.  • 3. 횡포한 부호는 엄징한다.  • 4. 불량한 유림과 양반의 무리를 징벌한다.  • 5. 노비 문서를 소각한다.  • 6. 7종의 천인 차별을 개선하고 백정이 쓰는 평량갓은 없앤다.  • 7. 청상 과부의 개가를 허용한다. • 8. 무명의 잡세를 일체 폐지한다.  • 9. 관리 채용에는 지벌을 타파하고 인재를 등용한다.  • 10. 왜와 통하는 자는 엄징한다.  • 11. 공사채를 물론하고 기왕의 것을 무효로 한다.  • 12. 토지는 평균하여 분작한다.

  6. 동학혁명의 의의 • 성격 : 반봉건, 반침략 • 갑오개혁에 영향을 줌 • 한계 • 근대 건설 방안 미비 • 무력기반 열세 • 신분간 갈등 - 양반은 민보군을 조직해 농민군을 진압 동학농민운동

  7. 갑오개혁의 내용 • :1894년 동학농민 운동을 계기로 조정에서 추진함 • 내 용 • 정 치 • 청나라에 의지하지 않고 자주독립을 지향함 • 과거제도를 없애고 신분차별 없이 관리를 뽑기로 함 • 나라의 공식문서에 한글 사용 • 교 육 • 서울에 소학교,중학교, 사범학교,외국어 학교를 세움. • 각지방에 소학교를 세움 • 경 제 • 근대식 화폐제도 도입 • 도량형을 통일 • 길이, 부피, 무게를 재는 일이 훨씬 쉬워짐 • 사 회 • 양반과 상민의 신분차별을 없앰 • 조혼금지 • 과부 재혼 허용 갑오개혁( 甲午改革 )

  8. 갑오개혁의 결과와 의의 • 결 과 • 일본 세력이 우리나라를 쉽게 침략할 수 있는 여견을 만듬. • 의 의 • 근대적인 체제를 갖춘 나라로 발전하는 터전 • 조선의 전통적인 제도를 새롭게 바꿈 갑오개혁( 甲午改革 )

  9. 발표가 끝났습니다. 감사합니다. 30143 임한솔, 30141 이정석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