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 likes | 551 Views
보존과학회지 Vol 7, No1, 1998. 전쟁기념관내 문화재 보존을 위한 환경요인으로서의 미생물의 분포 최윤정 ․ 임선기 *․ 민경희 ** 숙명여자대학교 생물학과 , 서울시 용산구 청파동 2 가 53-12 * 전쟁기념관 보존과학실 , 서울시 용산구 용산동 1 가 8 번지. 신나는 김선생 ;;;♡. 1. 서론. 박물관 내의 보존환경으로서의 미생물의 영향은 문화재 손상에 중요한 의미를 갖게된다. 1. 서론. 2.1. 시료채취 장소.
E N D
보존과학회지 Vol 7, No1, 1998 전쟁기념관내 문화재 보존을 위한 환경요인으로서의 미생물의 분포최윤정 ․ 임선기*․ 민경희**숙명여자대학교 생물학과, 서울시 용산구 청파동 2가 53-12*전쟁기념관 보존과학실, 서울시 용산구 용산동 1가 8번지 신나는 김선생;;;♡
1. 서론 박물관 내의 보존환경으로서의 미생물의 영향은 문화재 손상에 중요한 의미를 갖게된다.
2.1. 시료채취 장소 일시 : 1996년 4월 25일~4월29일 AS - 공기 포집기를 설치한 장치 P - 곰팡이 분리배지 조사위치 C - 섬유소 분해배지를 놓은 위치 TP - 고온성균 분리배지를 놓은 위치 L - 세균 분리배지 설치 위치
2.3. 공기 포집기에 의한 공중미생물 조사 • PM10 Minivol Sampler(모델 SN904, Air Metries, U.S.A)를 사용 • 공기필터로는 0.4μ의 membrane 필터를 사용 • 공기여과 속도는 분당 5L로 1시간 동안 미생물을 포집 • 포집된membrane 필터는 해당되는 한천배지위에 놓고 배양기에서 2~3일간 배양하여 미생물의 생장을 관찰하고 콜로니 수를 계산
3. 결과 및 고찰 • 낙하법과 공기포집기에 의한 실내 공중균 조사 • 분포조사방법의 타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공기중의 미생물이 낙하하는것을 포착하는 낙하방법과 부유하고 있는 상태의 미생물을 인위적으로 포집하는공기포집방법을사용
3.1. 낙하법과 공기포집기에 의한 실내 공중균조사
3.2. 전쟁기념관의 보존환경 개요 • 1994년에 개관하여 수도권에서 비교적 최근에 건립된 박물관으로 깨끗하고 양호한 환경 • 본 연구를 위한 조사일시는 관람객이 많은 토요일과 관람객이 없는 휴관일을 선택하여 조사하였다.
3.2. 전쟁기념관의 보존환경 개요 2층 현관입구로 관람객의 출입이 가장 많은 곳 으로 공기가 심하게 유입되는 장소 전시실 내부는 전시실 중에서도 가장 내부에 위치하여 안정된곳으로 관람객에 의한 공기의 유동이 심하지 않는 곳을 선택
3.3. 전쟁기념관내 공중진균, 세균의 분포 • Emoto는 나라박물관내의 공중균을 낙하법을 이용하여 공기중에2분간 노출하여 미생물을 채집한 결과 85,75cfu의 값을 관찰하였음을 보고하였다. • 이 결과를 바탕으로 고찰해 본다면 본 기념관 보다 현저하게 높은 진균류가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쟁기념관은 대단히 깨끗한 보존환경을 유지하고 있었다 볼 수 있다.
3.3. 전쟁기념관내 공중진균, 세균의 분포 • 공중진균의 분포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 이들 결과는 앞에서 실험 기법의 타당성 검토를 위해 행했던 실험에서 보이는 양상과도 일치함을 알 수 있다.
3.4. 전쟁기념관내 곰팡이의 분리 동정 Curvulariainaequalis (fig11) Aspergillusoryzae (fig8) Aspergillusversicolor (fig 7) C .cladosporioides (fig10A) Curvulariaharveyi (fig12) C.Herbarum (fig10B)
4. 결론 • 전쟁기념관의 문화재 보존을 위하여 환경요인으로서 미생물의 분포를 낙하법(평판 배지법)과 공기포집법으로 조사. • 낙하법에 의한 박물관의 세균수는3431cfu/㎡/hr이었으나, 공중 진균수는2345cfu/㎡/hr로 공중세균수가 현저하게 많게 나타났다.
4. 결론 • 인간에 의한 가장 공기의 유통이 심한 전시실 입구의 공중 진균포자분포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전시실 내부, 그리고 관람객의 출입이 없는 일반수장고, 공기정화가 잘 되어있는 특별수장고의 순서로 공중 진균류의 분포가 낮게 나타났다. 기념관 내의 공기의 이동이 적은 수장고보다 전시장은 관람객에 의하여 유입되어 들어오는 공기유입에 의하여 미생물이 먼지와 함께 유입되고 있음을 확인.
4. 결론 • 관람객이 출입하는 개관일이 휴관일보다 공중 진균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보아 인간의 출입에 의하여 공기가 유입되면서 박물관내 진균의 분포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박물관내 세균의 분포경향도 진균류의 분포의 경향과 같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4. 결론 • 기념관내에서 분리된 진균류중 동정된 것은 19종이었으며 이중 섬유소 분해 진균은 8종이었고 고온성 진균은 1종으로 동정되었다. 그러므로 박물관내 문화재 보존을 위하여 가능한 관람객의 출입에 의한 공기의 유입을 최소화 하여야 할 것이며, 박물관내의 공기를 여과하여 미생물의 분포를 감소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