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0 likes | 2.15k Views
투약. 투약의 원리. drug. 복용 시 우리 몸의 기능을 변화시킬 수 있는 물질 의사 , 치과의사의 처방 진단 , 치료 , 증상완화 , 예방의 목적 처방 (preseription) ; 약물조제와 투약에 대한 지시서. 약물의 이름. 속명 ; 공식화되기 전에 약 이름 약전명 ; 공식적으로 수록된 약 이름 화학명 ; 약물의 화학적 성분에 따른 이름 상품명 ; 제조회사에서 만들어낸 약 이름. 약물의 형태. 경구 제제 capsule lozenge
E N D
투약 투약의 원리
drug • 복용 시 우리 몸의 기능을 변화시킬 수 있는 물질 • 의사, 치과의사의 처방 • 진단, 치료, 증상완화, 예방의 목적 • 처방(preseription) ; 약물조제와 투약에 대한 지시서
약물의 이름 • 속명 ; 공식화되기 전에 약 이름 • 약전명 ; 공식적으로 수록된 약 이름 • 화학명 ; 약물의 화학적 성분에 따른 이름 • 상품명 ; 제조회사에서 만들어낸 약 이름
약물의 형태 • 경구 제제 • capsule • lozenge • 약용 효과가 있는, 입에서 녹여 먹는 대개 마름모꼴의캔디 • powder • liquid • tablet
비경구 제제 • ample • vial • suppository • onitment
약물작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성장발달 • 임신 중 약물투여는 태아의 영향 • 소아는 약물대사가 민감 • 사춘기, 청년기는 allergy 주의 • 노인은 간, 신장 기능저하
체중 • 소아는 몸무게나 체표면적에 따라 계산 • 성별 • 지용성, 수용성 약물에 따라 남녀간 영향력 달라질 수 있음
유전적 요인 • 개인에 따라 예민한 반응이 나타날 수 있음 • 심리적 요인 • placebo effect
Placebo effect • 독도 약도 아닌, 약리학적으로 비활성인 약품을 약으로 속여 환자에게 주어 유익한 작용을 나타낸 경우 • 과학적인 플라세보 효과 판정법에는 이중맹검법이있음
이중맹검법 • 환자와 의사 양쪽에 치료용 약과 위약의 구별을 알리지 않고, 제3자인 판정자만이 그 구별을 알고 있는 약효의 검정법
음식 • 약물은 냉수 or 미온수로 복용하는 것이 원칙 • 음식과 같이 복용할 경우 흡수에 영향을 줄 수 있음
질병 • 투여시간 • 경구 복용 시 위장관에서 흡수 • 식사 전후로 위장관 흡수에 차이가 있음
환경 •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 약물대사에 영향 • 혈관확장제는 기온에 따라 작용이 달라짐
약물의 작용 • 치료적 효과 • 바람직한 효과 • 단독약물이 여러 가지 효과를 가질 수 있음 • 아스피린 ; 진통, 해열, 소염
부작용 • 예측하지 않았던 이차적인 작용 • 해가 되는 경우, 해가 없는 경우
독성 • 조직이나 기관의 유해한 작용 • 특이체질반응 • 알레르기
내성 • 장기간 복용했을 때, 특정 약물에 대한 대사작용이 낮아지는 현상
축적효과 • 약물 흡수에 비해 배설, 해독이 늦을 경우 • 상호작용 • 2종류 이상을 투여 했을 때 나타나는 효과 • 길항작용 ; 효과 감소 • 상승작용 ; 효과 증대
의원성 질환 • 뜻하지 않은 질병, 우발적으로 발생
약물의 오용과 남용 • 오용 • 약물을 부적절하게 사용하여 독작용 초래 • 남용 • 약물을 지속적이거나 부적절하게 사용 • 정신적, 신체적 의존성, 습관성, 중독
약물의 처방 • 정규처방 • 필요시 처방 ( p. r. n order ) • as required ; pro re nata • 1회 처방 • 즉시처방
처방의 내용 • 대상자 이름 • 약물이름, 용량, 투여경로, 횟수 • 처방 의사 서명
투약 시 기본원칙 • 정확한 약물 • 정확한 용량 • 정확한 시간 • 정확한 투여경로 • 정확한 대상자
투여방법 • 경구 • 주사-주입법 • 피내(ID;Intradermal), 피하(SC;subcutaneous) • 근육 (IM; intramuscular), 정맥(IV;intravenuous)
흡입 • 도포 • 설하 • 취입 ; 가루약을 상처부위에 뿌림 • 점적; 용액이나 가루약을 상처부위에 넣어줌 • 좌약 ; 체강, 체공에 삽입하여 체온으로 약이 용해
경구투약 • 주로 소장에서 흡수 • 가장 일반적인 투약법 • 연하 불능자, 무의 식환자등은 경구투약하기 어렵다
경구투여의 장단점 • 장점 • 간편 • 위세척 가능 • 신체 손상이 적다 • 비교적 안전 • 경제적이다 • 단점 • 맛이 나쁨 • 일부 약은 치아에 영향 • 위액이 작용하여 약효과에 영향 • 흡수량 측정이 부정확
비경구 투약 • 소화관이 아닌 다른 경로로 투약하는경우경우 • 흡인-흡수, 주사법 등등
비경구 투여의 장단점 • 장점 • 빠르고 신속한 효과 • 흡수 양을 정확하게 측정 • 위장상태, 의식상태에 영향 받지 않고 투여 • 단점 • 동통, 조직 손상 • 철저한 무균술 • 과민성, 부작용 우려
주사 • 주사바늘의 번호는 직경이 클수록 번호가 작다 • powder, liquid, tablet 등의 형태
피내주사 ( intradermal injection) • 아래팔 내면, 위팔 측후면, 흉곽 상부, 어깨 부위에 주사 • 비경구 투약 중 가장 흡수가 느림 • 주로 과민반응 시 이용 • 표피 아래 적은 양의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
피하주사( subcutaneous injection ) • 상완삼두근, 하복부, 대퇴직근부위에 주사 • 진피와 근육 사이에 주사 • 피내주사보다는 흡수가 빠름 • 예방주사, 술전투약, 인슐린투약 등에 쓰임
근육주사( intramuscular injection ) • 대둔근, 중둔근, 소둔근 둔부 부위 • 삼각근, 외측광근, 대퇴직근 부위에주사 • 약물을 근육내에 투여하는 것 • 신경 및 혈관손상의 위험성
근육주사방법 • 주사준비 및 투약지시를 확인 • 환자에게 주사 목적과 방법 설명 • 손을 씻는다 • ample에서 약물을 흡입한다 • 0.2 mL의 공기를 더 흡입한다
알콜솜으로 주사부위 소독 • 주사부위에서 밖으로 둥글게 소독 • 바늘 케이스를 제거한다 • 왼손으로 주사 부위를 당기면서 근육을 모아준다
오른손으로 주사기를 잡고 90°로 삽입 • 주사기를 잡고, 오른손으로 내관(주사기 손잡이)을 잡고 흡인(aspiration)하여 주사바늘이 혈관에 삽입되었는지 확인한다 • 출혈이 발생하면 주사준비를 다시 하고 새로운 부위를 선택한다
출혈이 발생하지 않으면 서서히 약물을 주입한다 • 주입부위를 부드럽게 마시지한다 • 보톡스injection, IV injection의 경우 마시지 하지 않음 알코올 솜으로 압박지혈
편안한 자세로 휴식한다 • 주입부위에 급성 동통, 마비, 욱신거림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지 살펴본다 • 투약사항을 기록한다
정맥주사( intravenous injection ) • 주로 척측피정맥, 요측피정맥, 부요측피정맥 부위에 주사한다 • 약효가 빨리 나타나기를 원할 때나 다량을 주입할 때 사용한다
Veins of the Hand • Digital Dorsal veins • Dorsal Metacarpal veins • Dorsal venous network • Cephalic vein • Basilicvein
Veins of the Forearm • Cephalic vein • Median Cubital vein • Accessory Cephalic vein • Basilicvein • Cephalic vein • Median antebrachial vein
정맥주사의 장단점 • 장점 • 약효가 빠름 • 잦은 근육주사의 불편감 감소 • 구강섭취가 불능일 때도 사용가능 • 약물의 혈중 농도를 유지해야 하는 경유 유리 • 단점 • 감염 가능성 • 급격한 부작용
정맥주사법 • 수액준비 • 수액은 주입부보다 높은 곳에 위치, 속도조절기를 열어 수액이 수액선 내로 유입되도록 함(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 정맥선택 • 지혈대를 매고 정맥이 팽창되도록 주먹운동을 함
피부소독 • 주사바늘이나 카덱터를 정맥에 삽관 • 용도에 따라 적당한 크기선택, ex) 수혈 시 18G 이하 사용 • 왼손으로 피부를 당기고 오른손으로 15~30° 각도로 피부에 통과 후 평행하게 각도를 낮춤 • 튜브로 정맥혈이 역류되면 정맥으로 삽입한 것
지혈대를 제거 • 주사바늘과 수액선을 연결하고 수액공급 • 반창고로 삽관부위를 고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