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0 likes | 2.62k Views
산업보건위생. 상처와 출혈의 처치. 1. 상처와 출혈의 처치. 목 차. 제 1 장 상처 처치 제 2 장 출혈과 쇼크 제 3 장 간단한 외상 시 처치방법. 상처 처치. | 제 1 장. 상처 처치. 개방성 상처. 상처 처치. | 제 1 장. 개방성 상처. 찰과상 피부의 표피층만 다친 경우 신경의 말단이 피부와 함께 벗겨져 통증을 호소 상처부위가 크거나 이물질이 상처 안으로 들어가면 감염. 상처 처치. | 제 1 장. 개방성 상처. 열상
E N D
산업보건위생 상처와 출혈의 처치 1
상처와 출혈의 처치 목 차 • 제1장 상처 처치 • 제2장 출혈과 쇼크 • 제3장 간단한 외상 시 처치방법
상처 처치 | 제1장 상처 처치 • 개방성 상처
상처 처치 | 제1장 개방성 상처 • 찰과상 • 피부의 표피층만 다친 경우 • 신경의 말단이 피부와 함께 벗겨져 통증을 호소 • 상처부위가 크거나 이물질이 상처 안으로 들어가면 감염
상처 처치 | 제1장 개방성 상처 • 열상 • 상처가 가장자리가 톱니 모양으로 불규칙하게 생긴 상처 • 주로 피부가 자동차나 물체에 부딛치거나 강한 힘을 받을 때 찢어져 생김 • 절상 • 가장자리가 매끄럽게 수술시 절개부위처럼 생긴 상처 • 상처의 깊이, 위치, 크기에 따라 출혈량이 다름
상처 처치 | 제1장 개방성 상처 • 자상 • 손톱이나 칼에 찔린 상처 • 상처가 깊고 좁기 때문에 피부의 내부조직까지 상처가 남 • 상처부위는 작아 보이지만 감염의 위험이 크고 원인이 되는 물체가 꽂혀있기도 함
상처 처치 | 제1장 개방성 상처 • 박탈상(결출상) • 살이 찢어져 상처부위에 붙어 있기도 하고 완전히 떨어져 나가기도 하는 상처 • 주로 귀,손가락,손에 생김 • 떨어진 상처를 잘 유지하여 병원으로 가져가야 함
상처 처치 | 제1장 개방성 상처 • 절단상 • 손가락, 발가락, 손, 발, 팔, 다리와 같은 신체부위가 잘려나간 경우 • 잘려나간 부위를 병원으로 환자와 같이 이송
상처 처치 | 제1장 폐쇄성 상처 • 강타, 충격, 추락이나 자동차 사고 등 둔탁한 물체가 몸에 부딪혀서 생긴다 • 피부표면이 개방되지 않고 표피 아래의 조직과 혈관이 파손되어 폐쇄된 공간에서 출혈이 발생 • 연조직의 파괴, 내부조직의 손상, 출혈 발생 • 낙상이나 탈구에 의한 골절, 타박상, 압좌상, 내부열상과 천자상, 내장 파열 등 공동장기의 파열, 간과 같은 고형장기의 파열 등
상처 처치 | 제1장 폐쇄성 상처
상처 처치 | 제1장 개방성 상처의 응급처치 • 상처세척 • 상처보호 • 감염예방 • 특수한 상황에서의 개방성 상처 시 처치
상처 처치 | 제1장 개방성 상처의 응급처치 • 상처세척 • 반드시 세척해서 감염 예방 • 가벼운 상처는 흐르는 깨끗한 물로 세척, 물에 담그지 안도록 하며, • 동물에 물린 상처, 불결하고 너덜너덜한 상처, 찔린 상처는 바로 병원으로 이송(감염가능성 높은 상처) • 봉합이 필요한 상처나 자상에는 항생연고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상처 처치 | 제1장 개방성 상처의 응급처치 • 상처보호 • 소독 드레싱 사용 • 지혈과 오염을 예방 • 붕대는 드레싱을 고정할 때 사용
상처 처치 | 제1장 개방성 상처의 응급처치 • 감염예방 • 감염 징후: 부종, 발적, 통증, 고름, 발열 • 오한과 고열이 있으면 감염이 순환기까지 미쳐 패혈증을 의심 • 파상풍 : 72시간 이내 맞아야함(8시간:Golden time) • 파상풍 예방접종을 전혀 하지 않은 사람으로 상처를 입었을 경우 • 과거에 예방접종을 하였으나 지난 10년간 추가접종을 하지 않은 경우 • 상처가 불결하고 추가접종을 한 지 5년이 넘은 사람
상처 처치 | 제1장 특수한 상황에서의 개방성 상처 시 처치 • 물체가 꽂혀있는 경우 • 이물질을 임의로 제거하지 않음 • 상처부위를 개방한 후 가능하면 직접압박으로 지혈하고 움직이지 않게 고정
상처 처치 | 제1장 특수한 상황에서의 개방성 상처 시 처치 • 절단 시 처치 • 직접압박과 절단된 부위에 압박드레싱을 적용하여 지혈 • 지혈법-직접압박, 동맥점 압박, 거상 • 감염주의 • 절단부위를 찾아 환자와 함께 병원으로 이송 • 절단부위 처치: 마른 거즈로 싸서 비닐봉지나 방수용기에 담은 후 얼음이 담긴 물에 띄운다
상처 처치 | 제1장 특수한 상황에서의 개방성 상처 시 처치 • 절단 시 처치 : 절단 부위를 차게 보관하지 못하고 6시간이 경과되면 살릴 가능성이 희박, 제대로 차게 보관한 경우 최장 18시간까지 생존 가능 • 마른 거즈로 싼다 • 비닐봉지나 방수용기에 담는다 • 얼음이 담긴 물에 놓는다
상처 처치 | 제1장 개방성 복부손상 시 처치 • 개방성 복부손상일 경우 척출되거나 노출된 장기를 만지거나 제자리도 삽입하지 않도록 한다 • 상처부위에 멸균 드레싱이나 가능한 깨끗한 천을 생리 식염수로 적신 후 상처부위에 대고 습한 드레싱 위에 그림과 같이 폐쇄성 드레싱을 적용한다
상처 처치 | 제1장 쉬기 얼름대기 압박하기 올려주기 가볍게 폐쇄된 상처일 경우 응급처치 방법 • 얼음주머니는 동상예방을 위해 한번에 20분 이상 적용하지 않도록, 피부에 거즈를 대고 탄력붕대를 배주고 부상당한 사지를 심장보돠 높여 통증과 부종을 줄인다
상처 처치 | 제1장 심각한 손상 기전을 가지 폐쇄성 응급처치 • 손상의 정도가 심하거나 파악하기가 어려울 때 현장에서의 특별한 처치방법이 없으므로 신속히 병원으로 이송
출혈 및 쇼크 | 제2장 출혈 • 외상으로 인한 손상이나 심혈관계 질환 등과 같은 여러 원인으로 혈관이 찢겨지거나 파열되어 신체의 외부 혹은 내부로 피가 나는 상태 • 외출혈 : 상처로부터 출혈되는 것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음 • 동맥출혈 • 정맥출혈 • 모세관출혈 • 내출혈: 출혈이 눈으로 보이지 않음, 신체내부에서 출혈되는 것
출혈 및 쇼크 | 제2장 외출혈의 종류 • 동맥출혈-빠른 속도로 피가 솟구침, 지혈이 어려움, 매우 위험 • 정맥출혈-정맥으로부터 흘러나오는 경우, 지혈이 동맥출혈보다는 쉽다. 간혹 깊숙한 정맥인 경우 출혈량 많고 지혈어려움 • 모세혈관 출혈-조금씩 나오는 가장 흔한 출혈, 지혈도 쉽고 심각하지 않음
출혈 및 쇼크 | 제2장 외출혈의 종류
출혈 및 쇼크 | 제2장 내출혈의 종류 • 눈에 보이지 않는 경우로 흉강, 복강, 골반강 등 신체 내부에서 출혈이 되는 것 • 눈에 보이지 않는 경우로 흉강, 복강, 골반강 등 신체 내부에서 출혈이 되는 것 • 육안으로 관찰하기가 어려워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음 • 외상 뿐 아니라 궤양 등으로 발생
출혈 및 쇼크 | 제2장 내출혈을 의심할 수 있는 손상기전 • 둔상의 기전 • 추락 • 자동차 혹은 오토바이 충돌사고 • 자도차-보행자 충돌 • 폭발손상 • 관통상의 기전 • 총상 • 칼이나 얼음조작도, 드라이버 등 유사한 물체에 의한 자상 • 박힌 상처
출혈 및 쇼크 | 제2장 내출혈의 징후(Sign of internal bleeding) • 피부에 멍이나 타박상이 생김 • 배가 아프거나 만지면 통증을 느끼고 딱딱한 것이 만져짐 • 늑골골절 혹은 가슴에 멍이 나타남 • 신체표면의 손상은 내부손상이 있음을 암시 • 멍, 부종 혹은 중요장기의 통증 • 통증이 있거나 부어오르거나 변형된 사지 • 입, 직장, 질 또는 기타 체공으로부터의 출혈 • 토혈, 객혈 • 혈변 • 쇼크의 증상
출혈 및 쇼크 | 제2장 출혈 시 처치 • 내출혈의 경우 • 상처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올려주기 • 직접압박을 통해 지열하거나 필요한 경우 압박점을 찾아 지혈 • 외출혈의 경우 • 기도개방 –호흡 –순환 확인 –최종치료는 병원의 수술실에 가능
출혈 및 쇼크 | 제2장 출혈 시 처치 • 외출혈 시 처치 • 직접압박에 의한 지혈 • 동맥점 압박에 의한 지혈 • 지혈대의 사용
출혈 및 쇼크 | 제2장 출혈 시 처치 • 직접압박에 의한 지혈 • 처치자는 감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의료용 장갑 착용 • 옷을 벗기거나 잘라서 상처 노출 • 소독거즈로 드레싱 후 직접압박 지혈 • 10분이내 지혈안되는 경우 압박강도가 약하거나 부위가 잘못된 경우-압박강도와 부위 조정 후 거상 • 다른 손상이 없으면 지혈하면서 병원이송
출혈 및 쇼크 | 제2장 출혈 시 처치 • 직접압박에 의한 지혈 • 출혈이나 상처의 종류에 관계없이 응급처치는 동일 • 지혈이 가능 우선적이고 중요한 처치 방법
출혈 및 쇼크 | 제2장 출혈 시 처치 • 동맥점 압박에 의한 지혈(의료종사자에 한함) • 직접압박과 동시에 상완동맥, 대퇴동맥 등의 압박점을 눌러 혈류를 늦춘다. • 직접압박법과 거상으로 지혈되지 않을 때 사용
출혈 및 쇼크 | 제2장 출혈 시 처치 • 지혈대 사용법 • 환자의 피부가 절단되지 않도록 폭이 넓고 평평한 지열대를 사용 • 사지에만 사용하되 관절 위에 직접 착용하지 않음 • 출혈부위 가까운 곳에 폭이 넓은 지혈대를 사용하여 2번감기 • 지혈대를 묶어서 매듭을 짓고, 그 위에 막대를 놓음 • 막대를 매답하고 출혈이 멈출 때까지 막대감기 • 출혈이 멈추는 지점까지 조이되 그 이상 조이이 않도록 함 • 출혈이 멈추면 막대 감므 것을 멈추고 막대를 고정 • 지혈대는 늦추거나 제거하지 않도록함 • 다른 구조자나 병원 의료진이 알 수 있도록 환자의 이마 등에 시간 표시
출혈 및 쇼크 | 제2장 출혈 시 처치 • 지혈대 사용법
출혈 및 쇼크 | 제2장 출혈 시 처치 • 내출혈시 처치 • 내출혈 증상과 징후가 관찰되면 빠른 병원이송 • 기도유지, 호흡확인, 맥박확인 • 구토 대비, 측와위 고려 • 쇼크에 대비하여 쇼크체위(다리 30도 거상) • 즉시 의사의 치료
출혈 및 쇼크 | 제2장 출혈 시 처치 • 비출혈시 처치 • 기관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가능한 환자를 앉은 상태로 머리를 앞으로 기울임 • 윗입술과 잇몸사이에 둥글게 말은 거즈를 넣고 압박 • 코를 손가락으로 눌러 압박 • 코위에 얼음주머니 올려주면 지혈에 도움 • 가능하면 혈액을 삼키지 않는다 • 두부손상 시 비출혈은 뇌압 상승위험이 있으므로 패킹하지 않음
출혈 및 쇼크 | 제2장 출혈 시 처치 • 비출혈시 처치
출혈 및 쇼크 | 제2장 쇼크 • 쇼크란 • 순환기 계통의 이상으로 전신적인 혈액순환이 저하되어 장기로 산소가 비정상적으로 운반되는 현상 • 원인 • 출혈, 설사, 고열 등으로 인한 탈수, 약물, 경추 손상으로 인한 혈관이완, 정신적 충격, 심장의 기능저하, 감염에 의한 혈관이완, 심한 흉부손상, 기도폐쇄, 과민성 반응
출혈 및 쇼크 | 제2장 쇼크 • 쇼크의 증상과 징후 • 창백한 안색, 차갑고 축축한 피부 • 동공 확대 및 불빛에 대한 반사작용의 둔화 • 갈증, 불안감, 두려움, 약하고 빠른 맥박, 불규칙하고 약한 호흡, 오심과 구토, 점진적인 혈압저하, 의식소실
출혈 및 쇼크 | 제2장 쇼크 • 쇼크의 처치 • 기도를 유지하고 필요 시 산소를 공급 • 다리를 지면에서 15-30cm정도 들어올리는 쇼크자세를 취해 줌. • 어린이를 안정시키고 보온 • 구토가 심한 경우 고개를 옆으로 돌려 눕힌 자세를 유지 • 입으로 아무것도 주지 않음 • 맥박, 혈압, 호흡, 체온을 5-10분 간격으로 측정
출혈 및 쇼크 | 제2장 쇼크 • 쇼크의 자세
간단한 외상 시 처치방법 | 제3장 관절 • 멸균드레싱 • 포장을 벗기고 붕대 끝을 찾아 들어 올림(오염 주의) • 패드를 상처 위에 놓음 • 붕대로 상처부위 드레싱을 고정 • 맥박, 순환, 감각 상태를 확인 • 거즈드레싱 • 멸균된 드레싱이 없으면 거즈 패드를 사용 • 거즈패드를 상처 위에 곧바로 높음 • 거즈 위에 몇 겹을 덧댐 • 반창고로 고정하거나 붕대로 고정
간단한 외상 시 처치방법 | 제3장 관절 • 접착 드레싱 • 흔히 작은 상처에 사용하는 밴드 • 포장을 벗기고 패드를 아래로 향하게 보호대를 잡음 • 보호막을 벗기되 완전하게 때어내지 않음 • 드레싱 패드는 만지지 않도록 주의 • 보호막을 떼어 내어 끝을 눌러 붙임
간단한 외상 시 처치방법 | 제3장 냉찜질 • 타박상이나 염좌 있는 곳에 적용하여 부종과 통증을 줄인다 • 손상 24시간 이내에 적용한다 • 비닐주머니 반 이상 얼음을 채운다 • 주머니 묶고 수건으로 싼다 • 부상부위에 얼음주머니를 놓는다 • 20-30분간 상처부위를 냉찜질하고 얼음을 보충한다
간단한 외상 시 처치방법 | 제3장 붕대감기 • 붕대감기 전 • 부상자에게 무엇을 하려는 지 설명 • 가능하면 앉거나 누운 자세로 부상자를 편하게 • 항상 부상자 앞에, 가능하면 부상 입은 쪽으로 서있기 • 붕대 감을 때 • 출혈을 멈추고 드레싱을 고정 시킬 수 있도록 단단히 감아야 하나 혈액순환에 지장이 없도록 • 다친 부위를 받쳐줌 • 가능하면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붕대 끝으로 나오게 하여 혈액순환 상태를 점검
간단한 외상 시 처치방법 | 제3장 붕대감기 • 다리고정을 위한 붕대감기 • 다리 사이에 부드러운 패드를 대줌 • 넓은 붕대로 무릎 위를 고정하고 좁은 폭의 붕대로 발과 발목을 팔자붕대로 하여 고정
간단한 외상 시 처치방법 | 제3장 붕대감기 • 혈액순환상태를 식별하는 법 • 손발의 피부가 차고 창백 • 심하면 피부가 거무스레한 회색이나 푸른색 • 저리거나 따끔거림 • 그 부위를 움직일 수 없음
간단한 외상 시 처치방법 | 제3장 붕대감기 • 롤(Roll) 붕대 감는 법 • 붕대 꼬리를 부상 부위 아래에 대고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두 번 머리를 똑바로 돌려 감는다 • 사지는 나선형으로 감고 전 층의 1/2~2/3을 덮는다 • 끝날 때는 한번 똑바로 감고 끝을 고정한다 • 팔, 다리 등 원위부의 순환을 점검한다
간단한 외상 시 처치방법 | 제3장 붕대감기 • 팔꿈치와 무릎에 붕대감기 • 약간 구부린 자세로 유지 • 관절부위를 감고 아래 위로 절반을 덮어가면서 감는다 • 끝내려면 두 번 똑바로 감고 끝을 고정 • 혈액순환 상태를 점검
간단한 외상 시 처치방법 | 제3장 붕대감기 • 삼각붕대 • 붕대 접기
간단한 외상 시 처치방법 | 제3장 붕대감기 • 삼각붕대 • 삼각붕대로 손, 발 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