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likes | 389 Views
3 장 자료의 표현과 연산. 1 조. 201336009 김학겸. 3-1 자료의 종류. 201336009 김학겸. 3-1-1 숫자체계 1. 컴퓨터가 처리하는 수는 모두 2 진수 이다 . 2. 우리가 사용하는 숫자 체계는 비자릿수와 자릿수가 있다 . 3. 자릿수 (Positional Number) 체계는 기록되는 자리에 의해 크기가 결정 되는 수치표현의 방법이다. 201336009 김학겸. 3-1-2 진법
E N D
201336009 김학겸 3-1 자료의 종류
201336009 김학겸 • 3-1-1 숫자체계 1.컴퓨터가 처리하는 수는 모두 2진수 이다. 2.우리가 사용하는 숫자 체계는 비자릿수와 자릿수가 있다. 3.자릿수(Positional Number) 체계는 기록되는 자리에 의해 크기가 결정 되는 수치표현의 방법이다.
201336009 김학겸 • 3-1-2 진법 1.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중요한 수의 체계는 2진수, 8진수 , 16진수 이다. 2.각각 진법에 따라 다른 진수로 변환할수 있다.
201336009 김학겸 • 3-1-3 2진수, 8진수, 16진수의 표시 1. 2진수의 비트를3비트씩 LSB로부터 묶어 표시하면 8진수가 된다. 2.2진수를 4비트씩 LSB로부터 묶어 표시하면 16진수가 된다. 16진수
201336009 김학겸 3-2 수치 자료의 표현
201336009 김학겸 3-2-1. 고정 소수점 수의 표현 • 고정 소수점 수치자료는 소수점의 위치가 가장 오른쪽에 있다고 가정하는 것으로 소수전이 없는 정수형 상수의 표현방법이다. • 고정 수소점 수치의 표현은 보통 부호를 가진 정수로 2바이트의 하프워드(half word) 형식과 4바이트의 풀워드(full word) 형식이 있다. • 맨좌축 비트인 MSB(Most Significant Bit) 는 부호 비트(Sign Bit)로서, 양수 일때는0 , 음수일때는1로 표시된다
201336009 김학겸 • 3-2-2. 부동 소수점 • 부동소수점은 유효숫자를 표시하는 가수부와 소수점의 위치를 지정하는 지수부를 사용해서 나타내는 표현방식이다. • 소수점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않고 유동적이기 때문에 유동 소수점, 변위 소수점이라고도 한다.
201336009 김학겸 • 3-2-3 기타 2진 코드 1.BCD코드(Binary Coded Decimal code) 2진화 10진 코드 혹은 8421 코트라고 불리며 2진수체계를 사용해서 표기한다. 2. 웨이티드 코드(Weighted code) 2진수를 코드화 했을 때 각각의 비트마다 일정한 크기의 값을 갖는 코드를 말하며 8421코드, 2421코드, 5421코드, 바이퀴너리코드등이있다. 3. 해밍코드(Hamming Code) 오류를 검출한 후 교정까지 할 수 있는 코드로서, 정보비트의 수레 따라서 패리티 비트의 수가 결정되어 해당 위치에 놓인다.
201336009 김학겸 • 3-2-4. 10진수 자료 • 언팩 십진법 형식 (Unpacked Decimal Format) 언팩 십진법 형식은 존 10진법 형식 이라고도 하며 수치문자 코드이다. 1바이트는 존부분과디지트 부분이 들어가는데 존부분에서는 항상 F(1111)가 들어가고 디지트부분은 10진수 값이 BCD코드 형식으로 들어간다 2. 팩 십진법 형식(packed Decimail Format) 컴퓨터 내의 처리코드로서 1바이트에 2개의 숫자를 8421코드로 나타내고 부호는 마지막 니블(nibble)에 양과 음의 부호가 들어가며, 연산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