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9

임신부의 신경외과 수술을 위한 마취에 대하여 (Neuroanesthesia for the Pregnant Woman)

임신부의 신경외과 수술을 위한 마취에 대하여 (Neuroanesthesia for the Pregnant Woman) ANESTHESIA & ANAGESIA Vol 107, No 1, July 2008 경희의료원 마취통증의학과 R3 백철민. 본 Review Article 은. Evidence-based recommendation 으로서 ① Intracranial vascular leisions( 例 )SAH, ICH)

solana
Download Presentation

임신부의 신경외과 수술을 위한 마취에 대하여 (Neuroanesthesia for the Pregnant Woman)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임신부의 신경외과 수술을 위한 마취에 대하여 (Neuroanesthesia for the Pregnant Woman) ANESTHESIA & ANAGESIA Vol 107, No 1, July 2008 경희의료원 마취통증의학과 R3 백철민

  2. 본 Review Article은 • Evidence-based recommendation으로서 ①Intracranial vascular leisions(例)SAH, ICH) ② AVM(arteriovenous malformation)과 Sinus thrombosis ③ Ischemic stroke ④ Symptomatic intracranial tumor ⑤ Cerebral abscess ⑥ Spinal cord tumors와 leisions 로 인해 신경외과 수술이 필요한 임신부를 마취하는데 필요한 처리법을 정리하였다 • 전체 임신부의 6~7%에서 임신 중 사망이나 중대 합병증이 유발된다. • 대체로, 관련 문헌보다 임신부에 대한 근거기반의 신경외과 증례가 보다 도움이 되는 경우가 더 많아서, 이 Review article이 마련되었다.

  3. 1.임신중 신경외과 수술이 필요한 경우들 • Brain Tumors ① 여성 10만 명 당 1명 꼴로 CNS의 원발성 종양이 발생되나, 임신 중 발병률이 더 증가되지는 않는다. ② Vascularity의 증가에 따른 edema나 Pregnancy-related immunotolerance에 따른 tumor의 성장에 의해  Sx이 나타나거나 악화된다. ③ 임신 중 원발성 종양으로는 Meningioma가 가장 흔하고 Estrogen과 Progesterone receptors와 연관되어 있어서  임신 중 보다 빨리 자란다. ④ 임신 중 suprasellar와 cerebellopontine angle tumors의 급격한 신경학적 악화가 보고된 바 있다 • ICH ① ICH의 유발 요인 ㉠ Aneurysm rupture (35%) ㉡ AVM의 출혈(65%) ㉢ 기타 ② 유병률은 임신부 10만 명 당 10~50명 정도이고, ③ 임신 중 모성 사망의 약 7%를 차지한다. ④ 대부분 분만 중 발생되고, 이 경우 모성사망률은 20%에 이른다.

  4. 임신중 NS수술이 필요한 경우들 ⑤ 임신이 AVM이 있는 여성의 출혈 가능성을 증가시키지는 않지만 Rebleeding의 비율은 非임신 여성이 3~5%인데 비해 임신 여성은 2.5%로 높다.  Rebleeding을 막는 최선의 방법은 ㉠ Hematoma를 제거하는 craniotomy나 ㉡ AVM 절제술의 실시이다. ⑥ SAH는 영국과 호주에서 3년 연속 간접 모성사망 원인 1위이다. ⑦ 임신 중 SAH는 예후가 안 좋은데, 35%는 태아와 산모 모두 사망하고 25%는 테아 만 사망한다. ⑧ 대부분의 SAH는 Intracranial aneurysm의 rupture에 의해 발생된다. (대략, 임신부 10만 명 당 20명 꼴로 발생된다) ⑨ 임신 중 Aneurysm rupture의 위험이 증가되는 이유로는 ㉠ 순환 혈액량 증가 ㉡ Cardiac output의 증가 ㉢ 동맥혈관벽의 변화를 초래하는 Hormone의 변화 등이 꼽히고 있다 ⑩ 분만 중 Aneurysm rupture의 위험이 크고 임신분만력이 증가될 수록 안전하다는 보고가 있다

  5. 임신중 NS수술이 필요한 경우들 • Traumatic Brain Injury ① 임신부의 Traumatic brain injury는 ㉠ Brain 이외의 부위의 Trauma가 동반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 모체에 대한 신속한 소생술의 실시가 태아의 소생에도 효과적이다. ② 기관삽관과 양압환기가 필요한 경우에는 ㉠ Thiopental이나 Propofol과 Succinylcholine을 써서 ㉡ Rapid sequence intubation을 실시해야 한다. ③ 재태 20주 이후에는 ㉠ Vena cava가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Lt. Lateral position을 취하되 ㉡ 의도치 않게 척주가 rotation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몸 전체를 같이 돌려야 한다. ④ Difficult intubation은 임신부 300명당 1명 꼴로 나타난다. ⑤ 논란의 여지가 있기는 하지만, C-Spine injury가 있는 경우 ㉠ Fiberoptic technique이 권장되고 있고, ㉡ 시간과 장비가 없는 경우에는, 손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Direct Laryngoscopy가 필요할 수도 있다.

  6. 임신중 NS수술이 필요한 경우들 • Spinal Procedures ①㉠ Cauda equina syndrome이나 ㉡ 신경학적 결손이 진행 될 수 있는 산모의 경우엔  응급 Spinal surgery가 필요할 수도 있다. ② Hormone의 영향에 의해 Spinal tumors가 Sx.을 나타낼 수도 있다. ③ Spinal tumor의 bleeding과 evacuation을 요하는 hematoma 등이 있는 산모의 경우  Decompression을 요하는 Vertebral vascular malformations가 있는 경우가 많다. ④ 분만 중 Sx.이 나타나는 Lumbar disk displacement의 유병률은 산모 1만 명 당 1명 꼴이다. ⑤ Lumbar spinal surgery를 위한 Prone position을 취한 23명의 임신부의 경우, ㉠ Fetal monitoring과 응급 C/SEC의 경우엔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지만, ㉡ Placental perfusion은 오히려 증가되었지만, ㉢ 대부분의 마취과의사들은 ‘분만 後 Spinal surgery 시행’을 선호하고 있다.

  7. 2. 분만 전후 태아에 대해 고려해야 할 사항 • ① Maternal hypotension ② Uterine artery vasoconstriction ③ Maternal hypoxemia ④ Acid-base changes 등,  ⓐ Uteroplacental perfusion을 감소시키거나 ⓑ Fetal gas exchange를 악화시키는 어떠한 Maternal physiology의 변화로도 태아는 위험해 질 수 있다. • 임신부에 대한 마취약제나 진통제의 투약에 의한 직접적인 반응이나 ( 例)분만 후 신생아의 호흡부전) 태아에 해로운 약제의 투약 등도 고려의 대상이다. ( 例)태아의 장기가 혈성되는 재태 0~8주에 Anticonvulsant를 투약하는 것) • 임신부에 대한 최대 방사선 조사 허용량은 1 rem이고 최대 안전치는 0.5 rem이다. • ① 태아에 대한 방사선 조사 효과는 재태기간과 조사량에 좌우되고, ② 재태 0~8주 사이의 방사선 조사는 사산이나 기형을 유발하기 쉽고, ③ 그 후 재태기 동안의 방사선 조사는 생 후 ㉠ Growth restriction ㉡Microcephaly ㉢Childhood cancer를 유발 하기 쉽다. • Intracranial aneurysm의 endovascular closure시술이 진행되는 동안, 인신부의 복부 앞 뒷면을 납으로 차패한 경우, 0.3 rem의 방사선을 태아에게 조사한다면 실제로는 0.1rem을 조사받게 된다.

  8. 분만전후 태아에 대해 고려해야 할 사항 • FHR monitoring의 채택 유무는 전적으로 산부인과 전문의의 조언에 기초하여 마취과 의사가 각자 판단할 문제이다. • FHR의 Monitoring은 재태 16주 이상부터 가능하지만, ① Severe bradycardia나 tachycardia와 같은 baseline의 change는 ㉠ 재태24주 이후에 태어난 신생아의 사망률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일 뿐이고 ㉡ 건강한 태아도 FHR baseline의 변화가 있을 수 있으므로 ② 24주 이하의 태아에서 FHR monitoring 결과 만을 갖고 유도 조산을 시도하는 것은 위험한 행위이다. • FHR의 변화는 재태 26주 이후에나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고, • 마취가 걸린 동안에는 FHR의 변화 소실이 흔하게 나타날 수 있다. • 임신부의 수술 중에 Severe fetal bradycardia가 나타날 때는,  Uteroplacental flow와 fetal oxygenation을 향상시켜주기 위해, ① Maternal arterial blood pressure를 높여주고 ② 산모를 Lt. lateral로 돌리고 ③ Normoventilation을 유지시킨다.

  9. 3. 분만의 시기와 방법 • 재태 24주 이전의 Early pregnancy 시기에 Neurosurgical intervention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 Fetal management에 관련된 사항은 산과적 고려사항에 기초할 수 있다. • 만약, 임신부의 Neurosurgery가 계획된 시기까지 태아의 생존이 가능하다면,  수술 전 분만을 고려 할 수 있고, 다음의 3가지 중 한 경우를 만나게 된다. ① 임신초기의 경우에는, ㉠ 자궁 내에 태아를 둔 상태에서 NS수술을 시행하고, ㉡ 일반적인 NS마취법과 산과 마취법을 적용하면 되고 ㉢ 이후에 산과 마취를 할 때는 NS수술 시 사용된 시술 내용과 신경학적 병변을 고려하여 C/SEC에 적합한 마취를 하면 된다. ② NS수술에 앞서 C/SEC을 한 경우에는  산과 마취법과 NS마취법이 약간 변형 될 필요가 있다. ③ C/SEC을 먼저 하고 NS 수술을 뒤에 실시한다.

  10. 분만의 시기와 방법 • NS수술을 요하는 임신부의 마취 시 기본적인 고려사항 ① 마취과의사는 ㉠ 임신 중 발생되는 생리적인 변화와 ㉡ 임신 중 마취 시의 Risk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② 수술적 측면과 NS마취 시 요구되는 사항, 재태 주수에 따라 각각의 경우에 대한 처지 방법이 달라진다. ③ 시간이 허락한다면, NS전문의, 신경방사선과 전문의, 산부인과 전문의, 신생아 전문의 등과의 협조가 필요하다. ④ 수술 전, Anticonvulsant therapy가 준비되고 지속적으로 시행되어야 될 수도 있는데, 어떤 약제는 체외제거, 반감기 등이 임신으로 인해 변경 될 수도 있으므로 사용하고자 하는 약제의 신경학적인 주의사항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⑤ 산모는 음식물의 위식도 역류가 쉽게 일어나므로  Aspiration의 예방에도 신경을 써야한다 ⑥ 위산분비를 막기 위해 Ranitidine 150~300 mg을 수술 1시간 전 경구 투약하거나 산과 수술이 결정되었을 때, Ranitidine 50 mg을 IV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고, Induction 30분 이내에 0.3M sodium citrate 30 mL의 투약도 고려될 수 있다. ⑦ 임신 중 산소요구량은 증대되고, 호흡기계는 임신으로 인해 커진 자궁과 체중의 증가로 인해 변화된다. 例) FRC의 감소는 저호흡이나 무호흡시 모체에서 신속한 불포화반응을 일으키므로, (∵ 임신중에는 동맥혈산소분압이 ½로 감소되기 때문에) 풍부한 산소의 공급이 필수적이다.

  11. 임신 중 마취 시 기본적인 고려사항 ⑧ 기도 확보 및 관리가 신중하게 이뤄져야 한다. ∵ 살이 찌고, 기도 점막의 부종으로 인해 임신부는 Intubation이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⑨ Intubation시엔, 내경이 작은 일반 튜브가 효율적이고 ⑩ Difficult intubation이 예상되는 경우 manage 할 수 있는 장비가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 例) fiberoptic intubation, LMA ) ⑪ 임신의 2nd trimester에는 Aspiration의 risk를 줄이기 위한 Rapid sequence intubation이 권장된다. ⑫ 재태 20주 이상의 경우에는, hip wedge나 side-tilting table을 이용하여 15o 이상 골반을 좌측으로 돌려주면  Aortocaval compression을 최소화 할 수 있다.

  12. 4. NS수술중 임신부의 처치법 • 혈역학적인 측면 ① 혈역학적인 변화를 빠르게 감지하고 처치할 수 있도록,  Intraarterial BP monitoring이 권장된다. ② Cerebral과 Uteroplacental perfusion을 유지하기 위해  혈역학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 적절한 수액의 공급 ⓑ Aortocaval compression의 방지 ⓒ Vasopressor drugs의 예방적 또는 조기 사용 ⓓ 동맥압의 monitoring이 요구된다. ③ 임신중인 자궁이 좌측 편위 될 수 있도록 임신부의 체위를 적절히 변경시켜야 한다.  만약 가능하다면, 긴 두개강 내 시술 중 임신부는 Lateral position을 취해야 한다. ④ NS수술은 대량출혈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Large bore IV access를 갖추는 것이 좋다.  Central venous access는 ⓐ Vasoactive drug의 투약 ⓑ CVP monitoring ⓒ Air emboli의 제거를 용이하게 해준다. ⑤ Phenylephrine은 α-receptor agonist로서 작용하여서  Maternal cardiovascular stability와 Neonatal acid-base status를 개선시켜 준다.

  13. NS수술중 임신부의 처치법 ⑥ 혈압은 ㉠ Baseline values에 근접하게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 Mild preeclampsia(140/90)나 Severe preeclampsia(160/110)시에는  대략 140/90 mmHg 근방까지 혈압을 낮춰줄 필요가 있다. ㉢ ICP가 증가되어 있는 응급 NS수술時에는 BP를 낮추지 않는 것이 좋다. ㉣ 불안정한 Cerebral aneurysm이 남아있는 경우의 BP조절에 대해서는  아직 논란에 빠져 있다. (정상혈압의 임신부에게는 SBP < 150 mmHg가 권장되고 있다) • 호흡관리 측면 ① 임신中엔 호흡수가 증가되어 있기 때문에, 정상 PaCO2는 30~32 mmHg이다. ② Controlled hyperventilation은 ㉠ ICP가 급격하게 증가된 경우에 고려해 볼 수 있지만, ㉡ PaCO2 < 25 mmHg 의 Severe hyperventilation은 Uterine artery vasoconstriction을 유발하여 Maternal oxyhemoglobin dissociation curve의 좌측편위를 일으킬 수 있고 Head injury 가 있는 환자에 있어서 예후에 나쁜 영향을 미치므로 Prophylactic hyperventilation은 바람직하지 않다 ③ 고로, 저자들은 Maternal PaCO2 25 ~30 mmHg를 권장하고 있다

  14. NS수술중 임신부의 처치법 • 마취심도 측면 ① 적절한 마취 심도의 유지는 수술 중 각성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② 마취 심도가 깊을 경우 ㉠ 혈역학적으로 나쁜 영향을 주게 되고 ㉡ 마취에서 회복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③ 수술에 방해를 주지 않는다면㉠ BIS나 ㉡ 다른 각성상태 모니터링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 체온관리 측면 ① Neuronal preservation을 위한 유도 저체온 요법이 더 이상 권장되고 있지는 않지만, ㉠ 임신부의 저체온은 태아의 저체온과 밀접하게 연관되고 ㉡ ICP증가時에는 morbidity 증가와 연관되어 있음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② NS수술 중 ㉠ 임신부의 체온을 정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 강제가온기(Forced air warmer)를 사용할 수 있고, ㉡ 체온 감시를 위해 방광이나 식도에 temperature probe를 둘 수도 있다.

  15. NS수술중 임신부의 처치법 • Mannitol과 IV 수액요법 측면 ① ICP를 조절하는 방법 ㉠ Head-up position을 약간 해주는 것 ㉡ 간헐적으로 양압환기를 해주면서 Low tidal volumes를 유지해 주는 것 ㉢ 항구토제 투약 등 구토를 방지시키는 것 ② Mannitol은 ㉠ 임신부에게 투약시 태아에 축적효과 있어서 ⓐ Fetal lung fluid production의 감소 ⓑ Urinary blood flow의 감소 ⓒ Plasma sodium concentration의 증가 등의 Physiological changes를 야기 할 수 있는 Fetal hyperosmolality가 생길 수 있다 ㉡ 동물실험에서는 태아에서 임신부로의 수분이동으로 인한 Fetal dehydration이 발생되었다. ㉢ 하지만, 0.25~0.5 mg/kg 사용시에는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다는 학계보고가 있다 ③ Furosamide는 ㉠ Hourly Urine Output을 조심스럽게 모니터링 하면서 사용되어야 한다. ㉡ Cerebral 또는 Spinal neurosurgery時에 Cerebral edema와 hyperglycemia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Isonatremic, isotonic, glucose-free solution이다.

  16. NS수술중 임신부의 처치법 • Steroid treatment 측면 ① 동물실험과 제한된 수의 임신부 임상 시험에서 Dexamethasone의 Single dose사용은 어떠한 Teratogenic 이나 Carcinogenic effect를 나타내지 않았다. ② Dexamethasone 1일 4회 4mg IM이나 IV 투약이 Surfactant의 생산을 증가시켜 Fetal lung maturity를 촉진시키지만, ③ Betamethasone이 이러한 목적에서는 보다 좋은 Neonatal outcome을 보여준다 • Antiemetic treatment 측면 ① 대부분의 Antiemetic drugs가 임신 中 안전하지만, ㉠ Metoclopramide, ㉡ Antihistamines, ㉢ Droperidol, ㉣ Serotonin3 receptor(5-HT3) antagonists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② ㉠ Intubation-induced hypertensive response나 ㉡ Anesthesia-induced hypotension으로 인한 ICP와 Cerebral blood flow의 요동을 줄이기 위해 Laryngoscopy사용으로 인한 반응을 제거해 줄 수 있는 약제의 사용이 요구된다.

  17. NS수술중 임신부의 처치법 • 기타 ① 몇몇나라에서는 임신중 Propofol의 사용이 금지되고 있기 때문에,  임신 중 전신마취시에는 Thiopental이 여전히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 Propofol과 Thiopental은 둘 다, ㉠ Hypertensive response, ICP, Cerebral metabolism을 감소시키면서도 ㉡ Cerebral autoregulation을 유지시키고, 마취회복을 신속히 할 수 있도록 해주지만, ㉢ Laryngoscopy와 Intubation에 의한 혈역학적인 반응은 Propofol이 더 감소시킨다. ② 임신 중 NS수술을 위한 장시간(14~18시간)의 수술 時 Propofol을 IV로 사용해 마취한 경우,  10~11시간이 경과한 후 부터는 Mild metabolic acidosis가 관찰되었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장시간 수술시에는 Propofol의 사용을 피할 것이 제안되었다. ③ 임신 중 NS수술을 위한 Volatile anesthetics의 경우, ㉠ Isoflurane과 Sevoflurane이 적합한데, ㉡ 이는 이들 약제는 동물실험에서 ⓐ Cerebral metabolic rate를 감소시키고, ⓑ ICP를 거의 변화시키지 않고 ⓒ Cerebral protection을 제공했기 때문이다.

  18. NS수술중 임신부의 처치법 ㉢ MAC값은 모든 Volatile anesthetics에서 비 임신에 비해 25% 정도 감소되어서,  Initial end-tidal Isoflurane concentration은 1.0% Sevoflurane concentration은 1.5% 정도가 적합하다. ∵ 이 농도가 적절한 마취 심도를 유지하면서도 적절히 자궁을 이완시키고, Cerebral autoregulation을 보존시켜 줄 수 있는 농도이기 때문이다. ㉣ NS 수술 후 적절한 자궁 이완을 유지시켜 조산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약제로는  Nifedipine, NSAIDs 등이 있다. ④ NS술 후 분만의 시작은 복통의 시작으로 알 수 있는데, 일부 저자들은, NS수술 후 자궁수축력측정기(tocodynamometer)에 의한 감시를 권장하고 있다.

  19. 5. 응급NS수술과 C/SEC을 함께 해야 하는 경우의 마취방법 • Intracranial aneurysm rupture나 Cauda equina syndrome의 경우 ① 비록 임신中이라도 응급NS수술이 필요하고 ② 대부분 전신마취가 채택된다. • 3rd trimester gestations의 경우에는, ① 먼저 C/SEC을 하고 NS수술을 하는 것이 가능하나, NS수술 중 Uterine atony로 인한 Postpartum hemorrhage가 문제가 될 수 있다. ② Oxytocic drug의 투약에도 불구하고, ㉠ 일부 저자들은 C/SEC시에는 흡입마취제 기반의 마취를 하고 두개강내 수술시에는 IV기반으로 마취방법을 바꿔서 자궁출혈을 줄이도록 제안하고 있지만, ㉡ 대부분의 저자들은 두 수술 모두 흡입마취제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20. 6. 일반적인 산과 마취에 대하여 • 일반적인 마취에 있어서는 ① Propofol 등 을 이용한 TIVA와 ② IV 방식과 흡입마취제의 병용이 둘 다 제안되고 있다. • C/SEC時 Propofol을 Induction과 Maintenance 모두에 적용하는 것은 논란에 빠져 있는데, ∵ 이는 ‘TIVA’가 ‘Thiopental과 흡입마취제 병용시’에 비해 Neonatal Neurobehavioral Performance를 감소시키는 것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 정량의 Thiopental (4~5 mg/kg)이나 Propofol (2~2.5 mg/kg)과 Succinylcholine (1~1.5 mg/kg) 을 사용시에는  임상적으로는 아무 문제 없는 일시적인 ICP의 증가가 있을 수 있다. • 비탈분극성 근이완제의 사용에 대해서는 논란에 싸여 있는데 ①임신부의 경우 Difficult intubation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② 하지만, SAH가 있는 산모의 경우, ㉠ 더 이상의 Neurological damage의 발생을 막는 것과 ㉡ Cerebral function을 보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사항이므로, ㉢ Laryngoscopy를 이용한 Intubation시 혈역학적 안정성이 유지되도록 ⓐ Moderate dose fentanyl(2~5 μg/kg)과 ⓑ Intermediate-acting neuromuscular blocking drug을 투약한다.

  21. 일반적인 산과마취 • SAH가 있는 임신부의 C/SEC Induction시 Opioid의 사용時에는 ① Short-acting opioid인 Remifentanil을 Induction 1분 전에 1 μg/kg 투약하고 Target-controlled propofol infusion을 사용한다는 학계보고도 있지만, ② Neonatal chest wall rigidity로 인한 Apnea 발생시  Neonatal Resuscitation을 할 수 있는 인력이 갖춰져 있어야 한다. ③ 분만전, Alfentanil을 사용한다는 증례도 학계에 보고되어 있는데,  이 경우도 Neonatal Care와 Resuscitation을 할 수 있는 인력이 갖춰져 있어야 하고, Neonatal naloxone이 필요할 수도 있다. • Eclampsia나 SAH가 있는 산모의 Induction직후에 Magnesium sulfate 30~60 mg/kg IV도 효과적이다. • Esmolol 0.5~1.0 mg/kg은 Fetal bradycardia를 유발 할 수 있다. • Lidocaine 1 mg/kg은 Remifentanil 보다 덜 효율적이다. • Nitrous Oxide는 NS마취 時 금기이다. ∵ ① ICP와 Cerebral blood flow, Cerebral oxygen metabolic rate를 증가시키고 ② Autoregulation을 손상시키고 ③ Air bubbles를 확장시키고 ④ 수술 후 Nausea & Vomiting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22. 일반적인 산과마취 • Oxytocic drugs ① ICP와 Cerebral blood flow에 대한 효과는 아직 연구되어 있지 않지만, Intracranial tumors 환자에서 부작용 없이 Oxytocin을 사용했다는 학계 보고는 있다. ② 일시적인 저혈압을 야기하여 수 분간 심박수와 심박출량을 증가시킨다. • Ergometrine ① 강력한 venoconstrictor이고, ② Blood-Brain Barrier가 붕괴된 상황에서 ICP를 끌어 올리는 승압제로서 작용하고, ③ Autoregulation을 없앤다. ④ 하지만, Cerebral venous constriction을 일으켜서 Intracranial blood volume을 감소시키기도 하기 때문에  Intracranial hypertension의 치료시 사용되고 있다. ⑤ 임신 중 두개강내 질환이 생긴 경우에 Ergometrine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NS team과 먼저 상의를 해야 한다.

  23. 7. Interventional Neuroradiology시 마취 • 임신時 SAH의 진단과 치료는 非임신시와 동일하다. • Open craniotomy와 surgical clipping이 필요한 환자의 증가에 비해 Interventional Neuroradiology로 치료가 가능한 환자가 증가되고 있다. • Interventional Neuroradiology의 주요 시술 대상 ① Cerebral Aneurysms의 Endovascular Coiling 時 ② AVM의 Preoperative Embolization 時 • 임신부에 대한 Interventional Neuroradiology 時 고려할 점은 ① 대부분의 Intervention시에는 전신마취와 Invasive BP monitoring을 필요로 하나 진단이 목적인 때에는 그냥 하거나 Minimal sedation만 필요할 수 있다. ② 일부 환자의 경우에는 Intervention 中 중요한 시점에(例) Intracranial artery의 occlusion을 잠시 test하는 때) 잠시 환자를 깨워야 할 수도 있다. ③ 다양한 단계의 Sedation이 요구 될 수 있다. ④ Interventional Neuroradiology는 ㉠ 마취과 의사와 떨어진 곳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산과마취를 하기에는 불리하고, ㉡ 그래서, Neuroradiology 中 분만을 한 산모에서 산후 대량 출혈이 있었던 Case가 학계에 보고된 바 있다. ⑤ 지혈이 되지 않는 산후 대량 출혈에 대비하여, ㉠ Arterial cannulation과 ㉡ Uterine artery에 대한 Endovascular closure를 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24. Interventional Neuroradiology시 마취 • Femoral artery cannulation을 하기 전에는 ① 투약물의 흡인 예방과 같은 예방책이 반드시 미리 준비되어 있어야 하고, ② 재태기간 20주 이상인 임신부의 경우에는 자궁 전치(Uterine displacement)時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 Interventional Neuroradiology를 하기 위해서는 Heparin이 투약되어야 하는데, ㉠ 응급 C/SEC이나 ㉡ 산과적인 출혈의 발생시에는 Reversal이 필요할 수도 있다. • Fetal compromise가 발견될 시에는  분만이 이뤄질 때까지 Neuroradiologic Procedure를 중단해야 할 수도 있는데, 이 때, ① Intracranial catheter(s)는 회수하고 ② Femoral artery sheath(s)는 그대로 남겨두고, ③ heparin은 reverse 될 수 있다. • Fetal monitoring이 Fetal mortality나 morbidity를 줄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Doppler monitoring의 유용성은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Radiology suites 내에서 자신의 입지를 세우지는 못하고 있다. • SAH를 Coiling으로 치료 받은 일부 산모가 치료 후에 자연분만으로 안전하게 출산하였다는 내용이 학계에 보고되어 있다.

  25. 8. NS수술 직후 C/SEC을 하는 경우의 마취 • Late 2nd와 3rd Trimesters에는, 임신부가 Neurosurgery를 받은 후 태아가 건강한 것으로 판명되면 임신을 지속해도 된다. • 임신부가 Neurosurgery를 받은 후, C/SEC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고려해야 할 점을 ‘9. ICP와 부위마취’에 정리했다. 9. ICP와 Regional anesthesia • 임신부가 Alert하고, 협조적이면서 ICP가 정상인 경우에는 마취관련 유병률 및 사망률을 감소시키는데, Regional anesthesia가 보다 유리하다. • ICP가 높은 경우에는 Spinal anesthesia를 위한 Dural puncture 후에 CSF 압력이 급속히 감소되면서 Herniation이나 Intracranial hemorrhage를 야기 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例) Epidural anesthesia 後에 Intracranial Subdural Hematoma가 형성된 경우와 Spinal anesthesia 後에 SAH가 생긴 경우가 학계에 보고되어 있다. • 반면에, ㉠ 수술 中 CSF가 많이 누출되었거나 ㉡ Transnasal Pituitary surgery후에 CSF rhinorrhea가 생겼거나 ㉢ Facial trauma를 입은 경우에는 ICP가 감소될 수도 있다.

  26. Epidural injection은 ① Dural sac을 압박하여 ICP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으나 ② 임상적으로는 별로 의미가 없다. ③ 하지만, 천천히 약물을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① 하반신마비(Paraplegia)가 있거나 ② 자율 과반사(Autonomic hyperreflexia)가 있거나 ③ Cervical AVM이 있거나 ④ Ventriculoperitoneal shunt가 있는 임신부의 C/SEC時에도 Regional anesthesia(Spinal이나 Combined spinal-Epidural)가 유용하다. • ① 가성 뇌종양(Pseudotumor cerebri)을 앓고 있거나 ② Lumbar-peritoneal shunt가 있는 임신부의 C/SEC시에는  Epidural anesthesia가 유용하다.

  27. 10. 수술 후 관리 • 통증조절 ① 일반적으로 Intracranial 이 extracranial surgery보다 덜 아프고, ② Craniotomy pain은 환자의 50% 정도에서 Moderate to Severe하게 느껴진다. ③ ㉠ 임신부를 편안하고 활동할 수 있게 만들어 주고, ㉡ 혈역학적으로 안정되게 유지하려면  적절한 술 후 통증 조절이 필요하다. ④ Analgesia는 국소마취제의 침윤, Scalp blocks, Opioids나 Pracetamol의 사용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⑤ Morphine, Codeine, Tramadol의 Postcraniotomy pain에 대한 효과 비교에서는 ㉠ Morphine이 가장 진통효과가 높고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Tramadol은 Respiratory depression은 없지만, Seizure threshold를 낮추기 때문에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⑥ Extracranial surgery 후에는, 임신부의 정신상태만 괜찮다면, Patient-controlled IV opioid ( fentanyl 이나 morphine )가 고려될 수 있다. ⑦ Spinal surgery 후에는 Neuraxial opioids나 Epidural analgesia가 효과적이다.

  28. 수술 후 관리 ⑧ Cyclooxygenase1과 Cyclooxygenase2 inhibitor, NSAIDs는 금기이다. ∵㉠ Intracranial surgery후에 출혈성 경향을 증가시키고, ㉡ Renal failure, Necrotizing enterocolitis, 생후 Fetal circulation의 지속 등 태아에 대한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특히, 재태32주 후부터) ㉢ Celecoxib, Parecoxib, Valdecoxib와 같은 Cyclooxygenase2 inhibitor는 혈소판에 대한 작용은 없지만 임신 중 안전성에 대한 검증이 아직 이뤄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 Deep Vein Thrombosis의 예방 ① 임신은 hypercoagulable state이기 때문에,  수술 후 Thromboembolism의 Risk가 증가된다. ∴ ㉠ Antithromboembolic [TED] stockings, ㉡ Calf stimulation ㉢ Calf compressors ㉣ Pedal pumps 등의 비 약물적인 예방 요법이 수술中 사용되어야 한다. ② Neurosurgery후 출혈성 부작용의 Risk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Heparin과 혈전예방제의 사용에 관해 NS전문의와 상의해야 한다

  29. 수술 후 관리 • Cerebral Vasospasm ① SAH가 있은 지 3~6일 후 Cerebral vasospasm이 발병할 수 있다. ② Triple H-therapy (Hypertensive, Hypervolemic, Hemodilution)가 완벽한 근거 없이 각 병원에서 쓰이고 있다. ③ 임신부는 혈장은 증가되나 적혈구는 덜 증가되기 때문에,  비임신부에 비해 Hypervolemic 하면서 hemodiluted 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혈액상태는 SAH 後의 Cerebral Vasospasm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④ Preeclampsia時에 혈압을 높이면 Eclampsia의 Risk가 증가될 수 있고 다른 Cerebral comlications가 발생 될 수 있다. ⑤ Magnesium sulfate는 SAH後 Vasospasm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 Cerebral vasospasm과 연관된 Eclampsia의 예방과 치료에 쓰이고 있다. ⑥ 임상증상에서 Vasospasm이 진단되었거나 Trans-cranial flow velocity에 변화가 감지되면, 일부 병원에서는 전신마취 下에서 동맥혈관에 Papaverine이나 Verapamil을 투약한다. ㉠ 하지만, 임신부에의 적용은 태아의 방사선 축적효과 때문에 논란에 싸여 있고, ㉡ 관련 연구 및 안전성에 대한 입증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이다. ⑦ Nimodipine은Intracranial vasospasm을 감소시키는데 널리 쓰이고 있다. 동물실험에서는 태아의 기형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인체에서는 태아 및 신생아에게 특별한 부작용 보고 없이 Preeclampsia의 치료에 널리 쓰이고 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