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5

제 12 장 실물경기변동이론

제 12 장 실물경기변동이론. 제 1 절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제 2 절 노동투입의 2 기간 선택문제 제 3 절 시장균형모형 제 4 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제 5 절 평가 제 6 절 맺음말. 제 1 절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 표 12-1>. < 그림 12.1>. • 투자는 변동이 가장 심하고 경기순응적. • 소비는 변동이 작고 강하게 경기순응적 한국은 소비변동이 소득변동보다 큼. • 순수출은 변동이 크고 약하게 경기역행적. • 물가지수는 경기역행적.

shana-logan
Download Presentation

제 12 장 실물경기변동이론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12장 실물경기변동이론 • 제1절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 제2절 노동투입의 2기간 선택문제 • 제3절 시장균형모형 • 제4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 제5절 평가 • 제6절 맺음말

  2. 제1절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표 12-1> <그림 12.1> • 투자는 변동이 가장 심하고 경기순응적 •소비는 변동이 작고 강하게 경기순응적 한국은 소비변동이 소득변동보다 큼 •순수출은 변동이 크고 약하게 경기역행적 •물가지수는 경기역행적 •노동투입과 실질임금은 경기순응적

  3. 제2절 노동투입의 2기간 선택문제 1. 소득효과 •항상부의 증가와 소득효과 - 여가 : 정상재 -  현재여가,  미래여가  N1, N2 •이자율의 변화와 소득효과 - 채권자, 채무자 상쇄

  4. 제2절 노동투입의 2기간 선택문제 2. 대체효과 •실질임금과 기간내 대체효과 - 여가의 기회비용 증가  소비가 여가보다 저렴   소비,  여가   소비, 노동 - MRS = 상대가격

  5. 제2절 노동투입의 2기간 선택문제 2. 대체효과 •실질임금과 기간간 대체효과 - 기간간 MRS = 상대가격 -  w1  N1, N2 -  w2  N1, N2

  6. 제2절 노동투입의 2기간 선택문제 •이자율의 변화와 기간간 대체효과 현재여가의 기회비용 상승  - 실질이자율 상승  N1, N2 현재여가 감소, 미래여가 증가  •노동의 한계생산의 변화는 실질임금의 변화로 이해 -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 MPL =w - 항구적 : 기간내 대체효과,저축 불변 w1 = w2 - 일시적 : 기간내 및 기간간 대체효과,저축 증가 w1 or w2

  7. 제3절 시장균형 모형 •상품수요 = 상품공급 •화폐수요 = 화폐공급 •노동수요 = 노동공급 •채권수요 = 채권공급 1. 상품시장의 균형 : 수평이동, MPL <그림 12.2>

  8. 제3절 시장균형 모형 2. 화폐시장의 균형 <그림 12.3>

  9. 제3절 시장균형 모형 3. 노동시장의 균형 •노동수요 : <그림 12.4> •노동공급 : <그림 12.5>

  10. 제3절 시장균형 모형 •노동시장의 균형 : <그림 12.6> - 노동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의 이동 노동수요곡선의 이동 : MPL, K <그림 12.7> 노동공급곡선의 이동 : r(+), 미래의 기대실질임금(-), 항상부(-) <그림 12.8>

  11. 제3절 시장균형 모형 4. 일반시장균형 r*, Y*결정  화폐수요 결정 •상품시장 균형조건 : P* 결정 •화폐시장 균형조건 : (W/P)* 결정 •노동시장 균형조건 :

  12. 제4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1. 총요소생산성이 항구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 총요소생산성: Y = AF (K,N) •상품시장 <그림 12.9> 항구적 : 소득효과 크다. → 저축이 불변, I 증가 → C, I 증가 → Yd의 이동이 Ys의 이동보다 크다. → r 상승

  13. 제4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화폐시장 - 상품시장 : r상승, 소득 증가 - 가정 : 실질화폐수요 증가 <그림 12.10> - 물가수준 하락 •노동시장  MPL 증가 - 노동수요 증가 - 노동공급 감소  항상부 증가  실질이자율 상승 - 노동공급 증가 - 실질임금, 고용 증가 : 노동수요 증가 > 노동공급 감소 <그림 12.11>

  14. 제4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2. 총요소생산성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상품시장 <그림 12.12> 일시적 : 소득효과 작다. → 저축이 증가 → Yd의 이동이 Ys의 이동보다 작다. → r 하락 → C, I 증가

  15. 제4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화폐시장 - 상품시장 : r하락, 소득 증가 - 실질화폐수요 증가 <그림 12.10> - 물가수준 하락 저축증가 → 상품시장 초과공급 → 가격인하 → 물가수준하락 •노동시장  MPL 증가 - 노동수요 증가  실질이자율 하락 - 노동공급 감소 - 실질임금, 고용 증가 : 노동수요 증가 > 노동공급 감소 <그림 12.13>

  16. 제4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요약> • MPL및 MPK를 증가시키는 기술충격이 영원하지는 않지만 • 상당기간 지속되는 경우 정형화된 사실들을 설명 가능 •화폐시장 생산이 증가할 때 r이 경기역행적 혹은 약하게 경기순응적이면 → 실질화폐수요 증가 → 물가수준 하락 •물가수준 : 경기역행적 - 수요충격 vs 공급충격 - 통계 처리방법

  17. 제5절 평가 1. 기술충격의 중요성 •솔로우 잔차 •비판 : 솔로우 잔차는 기술충격의 역할을 과장 - 노동저장 •옹호 : 기술충격을 광의로 해석 2. 실업의 해석 •자발적 실업 •비판 : 실업은 노동시장이 실패할 때 발생 - 비자발적 실업 •옹호 : 실업통계의 해석에 문제

  18. 제5절 평가 3. 화폐의 중립성 <그림 12.14> •비판 : 화폐의 중립성 - 통화의 감소는 생산에 부정적 •옹호 : 통화의 내생성 4. 임금과 물가의 신축성 •미시경제학적 기초와 부합 •비판: 임금, 물가의 경직성

  19. 솔로우 잔차 •솔로우 잔차 = 생산 증가율 – (자본소득 분배율 x 자본스톡 증가율 + 노동소득 분배율 x 노동 증가율) •솔로우 잔차

  20. <그림12.1> <다시본문으로>

  21. <그림12.2> <다시본문으로>

  22. <그림12.3> <다시본문으로>

  23. <그림12.4> <다시본문으로>

  24. <그림12.5> <다시본문으로>

  25. <그림12.6> <다시본문으로>

  26. <그림12.7> <다시본문으로>

  27. <그림12.8> <다시본문으로>

  28. <그림12.9> <다시본문으로>

  29. <그림12.10> <다시본문으로>

  30. <그림12.11> <다시본문으로>

  31. <그림12.12> <다시본문으로>

  32. <그림12.10> <다시본문으로>

  33. <그림12.13> <다시본문으로>

  34. <그림12.14> <다시본문으로>

  35. <표12.1> 2005년 기준 <다시본문으로>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