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06

제 3 장 정신건강간호의 개념적 모형 Conceptual frameworks for interdisciplinary psychiatric care

제 3 장 정신건강간호의 개념적 모형 Conceptual frameworks for interdisciplinary psychiatric care. 학습목표. 의학모형에 근거한 이상행동의 관점 , 치료과정 , 환자와 치료자의 역할을 기술한다 . 정신분석모형에 근거한 이상행동의 관점 , 치료과정 , 환자와 치료자의 역할을 기술한다 . 행동모형에 근거한 이상행동의 관점 , 치료과정 , 환자와 치료자의 역할을 기술한다 .

Download Presentation

제 3 장 정신건강간호의 개념적 모형 Conceptual frameworks for interdisciplinary psychiatric care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 3장 정신건강간호의 개념적 모형Conceptual frameworks for interdisciplinary psychiatric care

  2. 학습목표 • 의학모형에 근거한 이상행동의 관점, 치료과정, 환자와 치료자의 역할을 기술한다. • 정신분석모형에 근거한 이상행동의 관점, 치료과정, 환자와 치료자의 역할을 기술한다. • 행동모형에 근거한 이상행동의 관점, 치료과정, 환자와 치료자의 역할을 기술한다. • 간호모형에 근거한 이상행동의 관점, 치료과정, 환자와 치료자의 역할을 기술한다. • 의사소통모형에 근거한 이상행동의 관점, 치료과정, 환자와 치료자의 역할을 기술한다. • 지지치료모형에 근거한 이상행동의 관점, 치료과정, 환자와 치료자의 역할을 기술한다. • 실존모형에 근거한 이상행동의 관점, 치료과정, 환자와 치료자의 역할을 기술한다. • 사회모형에 근거한 이상행동의 관점, 치료과정, 환자와 치료자의 역할을 기술한다.

  3. 모형 : 인간행동에 대한 개념과 같이 복잡한 지식체를 조직화하는 방법. # 각 모형의 설명 # ·a certain view of the human word ; 인간세상에 대한 개념 ·a theory of madness & health ·a set of practices 실무 ·qualifications for practisioners실무자의 자격 조건

  4. 1) Medical-biologic model (1) 이론적 개념 (이상행동에 대한 의학적 견해) ① 정신장애를 하나의 신체적 질병, 문제로 간주한다. ② 질병은 신체의 한 부위에 고정되어 위치할 것이다 → 중추신경계의 문제로 간주 →LIM, CNS

  5. i.e. 정신장애(조울병, 내인성 우울증, 정신분열병)는 신경자극 전달에 이상: e.g. ⅰ) Cathecolamine ; norepinepinephrine, Dopamine, acetilcoline ⅱ) 기질적 문제, 종양 ⅲ) 유전적 문제(MR, 몽골리즘)

  6. ③ 질병은 구조적, 생물화학적, 정신적인 증상이나 증후군으로 특정지어지고 진단명을 가지고 있다. e.g. SPR: Depression: 불면증 강박적 신경증: 의식 행위 ④ 특징적인 진행과정이 있다; 회복에 대한 예후를 가질 수도 있고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e.g. SPR:

  7. ⑤ 정신질환은 신체적 치료(somatotherapy) 에 반응한다 ; 약이나 수술로 회복이 가능하다. ⑥ 신체질환과 동일한 과정을 밟는다. ⑦ 완전히 의사의 책임하에 있고 일반적 의학 실무에 따라 치료된다.

  8. ⑵ 치료적 접근 • 의사는 현 질병상태, 과거력, 사회력, 생활양식검사, 건강사정, 정신상태검사 등을 포함한 검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 • 이러한 진단적 검사와 환자의 행동 관찰과정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외래, 입원 환자에게 시행

  9. Medical Nomenclature: DSM의 변화는 정신치료에 대한 의학모형의 변화 반영 ⅰ)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enualof Mental Disorders IV(1994) (by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PA) ⅱ) ICD-10(1992((by 세계보건기구)

  10. ⑶ 간호적용 ① 병원이 치료의 모형(장소)이 된다. : 신체적 안녕에 대해서 변화를 보인다. ② 치료를 받는 환자를 간호한다. : 기질적 치료 방법 e.g. drug theraphy(부작용에 대한 관찰, 교육) ③ 생물학적 치료의 개념적 기초, 유전 연구, 생화학적 연구 및 신진대사과정 연구를 간호에 적용. e.g.M.R. : 유전 상담, 임신 상당, 특수 교육 소개, care 방법 교육

  11. ⑷ 제한점 • by Thomas Szasz(1974) →행동의 장애가 대부분 다른 사람과의 관계속에 일어나는데 반해 이 모형은 근본적으로 inner working of self만 다룸; →만약 정신 증상이 CNS질환의 발현이라면 신체질환을 가져오는 더 많은 증상이 따라야 한다. →인간은 biopsychosocialbeing(by Roy, c.)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모형에서는 psychosocialaspect가 배제되었다.

  12. 2) Psychoanalytic model(정신 분석 모형) 1. 정신분석 모형 : Sigmund Freud(19C후반에서 20C 초반에 개발) → 이상행동의 본질에 초점

  13. (1) 이상행동에 관한 관점 • 성인기의 행동장애의 원인을 어린시절에서 찾음. • Libido(정신적 에너지) - 갈등으로 인한 불안해결에 사용. • 증상 → 갈등(original conflict)의 상징물.

  14. (2) 정신분석 치료과정 • 인격의 재구성을 위하여 자유연상과 꿈분석(dream analysis)을 사용. ① Psychic determinism: 인간의 행동은 우연적이지 않고 그것에 해당하는 정신적 사건이 있다. ② Role of the unconscious: psychic determinism의 전제와 관련 ③ Psychoanalysis: Freud가 발전시킨 가장 강력하고 신뢰할만할 무의식의 연구 방법

  15. #기본논리# 1) 극심한 고통스런 감정을 일으키는 상처를 주는 경험하에 있다. 2) 이러한 참을 수 없는 경험은 client의 ego형성에 영향을 준다. 3) 참을 수 없는 생각과 neurotic conflict에 의해서 극복하고자 하는 방어 기제가 생긴다. 4) 치료는 무의식 속에 있는 갈등의 근원을 직접 벗기는 것으로 해결한다. = client가 억압된 감정을 떼어낼 수 있다면 증상은 사라진다.

  16. #정신분석에서 사용되는 strategies# ① hypnosis: 최면 ② interpretationof dream: 꿈의 분석 ③ free, association: 자유 연상

  17. #정신분석의 단계# ⅰ) initial phase: 치료적 동맹을 맺어야 한다. ⅱ) middle phase: 전이발생을 유의해야 한다. 대상자의 퇴행을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 ※분석과정동안 client는 2가지의 기본 과정 거침 a) remembering: neurosis의 core가 형성된 초기 아동기가지 의식을 단계적으로 확장시키는 것 b) reliving: client가 분석가와 관계를 맺는 상황에서 과거 사건과 느낌을 실제적으로 재경험

  18. ※성공적 분석: neurotic conflict에 의해 차단되어온 client의 정상적인 가능성(normal potential)을 풀어주는 정도까지. i.e.. 증상의 감소가 중요한게 아니라 행복을 얻을 수 있고 타인의 행복에 기여할 수 있고 스트레스를 적절히 처리할 수 있는 client의 능력이 우선이 되어야 한다.

  19. ④ Topographyof mind ·정신작용을 사고체(a badyof thought)안에 있는 mind의 region이나 systems에 따라 분류 ⑤ Structure of the mind ·The Ego & the Id(1962a); structural model of themind ·Id: 예술적인 사람들 ·Ego: 발달해야 건강한 사람. 현실적이다. ·Superego

  20. ⑥ Drives ·생리적 자극에 의해 일어나는 정신적 긴장상태 ; 어떤 기관이 언제, 어떤 활동을 할 것인가를 결정. ·Freud; psychic energy는 drive로부터 생긴다. cathesix: 어떤 사람이나 물건에 대해 정신에너지를 집중하는 것(attachment)

  21. (3) 간호적용 • 애매모호한 점이 많으며 Nr.은 전통적으로 매우 제한된 역할을 가진다. • 정신분석을 받는 client에 대해 here-and-now의 issues와 가족에 대한 지지적 역할에 초점을 둔 보조 치료자로서의 역할 • 미국에서는 psychoanalytical oriented setting에서 일하려면 Nr.도 medical degree & psychoanalytic training이 요구됨.

  22. ① supportive role 이용하여 supportive therapy와 심리적지지 제공 ※ supportive therapy(지지요법): 환자속에 남아있는 건강한 자아 기능을 최대한 살려서 현실과 연결시키려는 치료방법. 환자의 약해진 자아를 지지해 주는 것 ⇒기본은 환자와 rapport 형성하는 것 ※심리적지지: 신뢰, 수용, 이해, 일관성 있는 태도, 감정 이입이 있어야 한다.

  23. ② 인간을 이해하는데 가장 이해가 되는 모형 ③ 인간의 행동을 근거로 그 사람의 정신, 마음을 분석한다(인간의 행동은 그 나름대로의 의미가 있다는 가정하에서).

  24. (4) 제한점 • by Feminist: → 정신분석 모형은 초기 아동기의 결정론을 강조하게 때문에 사람들의 역동적과정에 끼친 환경 체제의 영향을 과소 평가 →정신분석 모형은 퇴행과 신경증이 일어나는 사회적 상황(social context)을 불변하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 →Freud의 견해는 그가 살았던 시대의 사회적, 정치적 문화에 근거를 두고 있다.

  25. 3) Behaviorist model: • 인본주의에 어긋나는 이론이다. • Joseph Wolpe, B.F. Skinner, H.J. Eysenck • 학습이론에 근거 • 정신과에서 행동 모형은 심리학과 신경생리학에 그 뿌리를 둔다.

  26. 행동주의자들에게 있어서 신경증과 정신증에 연관된 증상은 개인에게 얼마간 보상을 주고 있기 때문에 유지되는 학습된 행동의 clusters • 1902년, Pavlof가 실험(a dog & a bell)에 의해 발견한 조건반사(conditioned reflex)는 중요한 개념적 기여

  27. #조건반사의 기본 원칙# • 모든 반응은 자극에 대한 반응이다. • SOR이론: Stimuli―Organism―Response 인간은 학습에 의해서 자극에 대해 대치된 새 반응을 나타낼 수 있다.

  28. ⑴ 이론적 개념 • 치료의 초점은 생각이나 느낌이 아닌 관찰할 수 있는 행동 • 규범으로부터의 이탈은 학습이론을 이용하여 변화될 수 있는 습관적 반응: 행동규범으로부터의 이탈은 기대되지 않는 행동이 강화될 때 일어난다.

  29. ① 모든 행동은 환경으로부터 나오는 한가지 이상의 자극에 대한 반응이다. ② 인간은 특정한 자극에 대한 올바른 반응이 강화된다면 무엇인가를 할 수 있도록 조건화 되거나 형성되는 수동적인 유기체이다. ③ 인간은 다른 사람들이 통제 받기를 원하든지 원하지안든지에 상관없이 타인의 행동을 조절하고 결정할 수 있다.

  30. ④ 인간의 인격은 자극 반응의 연속이거나 습관의 유형이다. ⑤ 적응 행동과 부적은 행동 모두 강화를 통해 습득되고 지속된다. ⑥ 바람직한 적응 행동에 대해 특정한 자극과 강화를 받아들인다면 부적응 행동은 습득되지 않고 적응 행동으로 대치될 수 있다.

  31. ⑵ 치료적 접근 ⅰ) 행동치료(행동수정: Behavior modification) ·근거: 모든 행동은 그 행동의 「앞」또는 「뒤」에 일어나는 사상의 영향을 받아 동기유 발된다” → 행동을 선행하는 조건 후속하는 조건들을 연 결시킴으로써 행동의 맥락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것 → 행동 자체보다 행동의 맥락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것

  32. ⅱ) 탈감작기술(Deseneitization) → by Wolpe ; phobia환자에게 효과적이다. → 불안에 상반하는 반응이 근육의 긴장이완이 며, 불안을 일으키는 자극을 불안을 가장 적게 일으키는 자극으로부터 불안을 가장 많이 일 으키는 순서로 위계에 다라 상상을 통하여 제 시함으로써 조건형성을 깨뜨리는 것 → 3단계: 근육의 긴장이완/ 불안위계의 작성 / 체계적 감각

  33. ⅲ) 이완요법(Relaxation therapy) → Jacobson의 점진적 이완 훈련을 수정 한 방법으로 환자는 치료자의 지시에 따 라서 온몸의 근육군을 점차적으로 긴장 했다가 푸는 과정으로 구성

  34. ⅳ) 주장훈련(Assertiveness training) → 개인관계에서 야기된 불안에 유용 → 치료 중 평상시 행동모형을 확인 → 역할극과 연습을 통해 진보된 주장태도가 증 가되고 이는 행동을 변화시킴 → 자존심과 자기조절감이 증가하여 상호인간적 으로 생긴 불안을 감소시킴 ※주장: 자신의 권리를 세우고 다른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권리

  35. ⅴ) 혐오요법(Aversion therapy) ; 전기충격 등의 통증자극을 이용하여 자극에 대한 혐오를 일으키는 것 ⅵ)명목화폐제도(Token economy system) → 장기적으로 입원해있는 환자에게서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행동을 격려하기 위해 이용되는 긍정적인 강화요법: → 바람직한 행동을 보이면 명목화폐를 줌

  36. ⑶ 간호적용 • 정의: 행동치료의 원리를 적용한 행동수정간호 제공 • 환자는 일상생활에서 token economy가 포함된 처방된 schedule을 따름: • 환자는 바람직한 행동에 대해token rein- forcer로 보상받음 예) 음식물(캔디), 칭찬(언어적), 안아주는 것.

  37. 학습이론에 근거한 행동치료는 정신과 중재에 있어서 지배적인 양식이 될 수도 있다. • 행동치료 모형은 계획자와 교사로서의 정신과 간호사의 전통적 역할과 지역사회 정신의학의 추세와도 일치하는 빠르고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중재체계이다.

  38. 정신과 병동뿐만이 아닌 다양한 환경에서 이용 • 임상 예) 신체질환자(당뇨, 고혈압) 교육시킬 때 →금연 ·신체불구자 ·만성 통증 환자 ·아이들 교육

  39. ※ 행동의 증강 a) 긍정적 강화(positive reinforcement) ; 환자가 어떤 적절한 행동을 한 뒤에 그 가 좋아하는어떤 것을 주는 것. 예) 칭찬, 자유 놀이, 시간 주는 것, 음식, 특혜 • 긍정적 강화물(positive reinforcer) → 환자가 바람직한 행동을 했을 때 그것을 보 상하는 것. → 강화의 행동발생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후속 자극.

  40. b) 부정적 강화(negative reinforcement) ; 환자가 어떤 바람직한 행동을 할 때 그가 싫어하는 것 제거해 주는 것. c) 부정적 강화물(negative reinforcer) ; 부정적 강화시에 제공되는 것.

  41. c) 긍정적 강화와 부적 강화의 공통점 ; 어떤 행동의 발생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 d) 긍정적 강화와 부적 강화의 차이점 ;바람직한 행동을 하면 바람직한 것을 얻게 되는 것은 긍정적 강화이고 바람직한 행동을 하면 싫 어 하는 것을 제거해 주는 것이 부정적 강화이다. ex) 꾸중, 구속

  42. ※부적응 행동의 약화 a) 상반행동의 강화 ; 문제 행동에 상반되는 다른 행동을 찾아 적절 히 강화하는 방법. b) 소멸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이 더이상 강화될 수 없 도록 이제까지 주어지던 강화를 중단하는 일. → 그러면 그 행동의 발생률이 낮아지다가 결국 없어짐.

  43. c) 긍정적 처벌(positive punishment) ; 싫어하는 것을 부과함으로써 그릇된 행동을 감소시키는 것 d) 부정적 처벌(negative punishment) ; 보상을 철회함으로써 그릇된 행동을 감소시 키는 것

  44. ★ 처벌 시 유의점 ⅰ) 가장 효과적인 벌을 가장 부드러운 형태로 준다. ⅱ) 벌의 기준을 확실하고 명확해야 한다. ⅲ) 그릇된 행동을 벌하는 동안에도 바람직한 상 반 행동을 찾아 반드시 강화해 준다. ⅳ) 벌이 어느 정도 효과를 나타내면 점차 벌 대 신에 다른 정적 강화의 방법으로 대치.

  45. e) 타임-아우트(time-outs) → 벌의 일종 → 그릇된 행동을 하는 환자를 일시적으로 다른 장소에 잠시 격리시켜 두는 방법 → 환자가 부적응 행동을 한 다음에 받게 되 는 정적 강화의 기회를 차단함으로써 그 행동이 강화되지 않도록 하려는 것.

  46. ★ 타임 아웃 활용 시 필수 조건 ⅰ) 문제 행동이 발생하는 장소에는(병실)그 문제 행동을 강화하고 있는 요소가 있다는 확증이 있 어야 한다. 예) 환자가 떠나기 싫어할 정도로 재미있는 곳일 때 ⅱ) 환자가 일시 격리되어 있을 장소에는 강화 자극 들이 없어야 한다. 예) (복도, 빈방) 동생과 싸우는 아이를 벌하려고 장 난감이나 TV등이 있는 가두는 경우

  47. ⑷ 제한점 • 사람들의 권리, 존엄성, 자유에 관한 윤 리적 문제 • 인간감정과 행동을 단순하게 설명 • 권위적인 치료자-환자 관계

  48. 4) Social-Interpersonalmodel • mental illness를 개인 안에서 생기는 기전이나 불 안, 자아강도, libido같은 개인의 성격역동의 측면 에서만 설명한 것에 대한 불만에서 비롯됨. • mental distress와 dysfunction에 대한 인간 반응 을 설명하기 위해 Sociology model과 Social inter- personal model을 합성 • 3학파: ⅰ) Sociocultualschool ⅱ) Interpersonal-psychiatric school ⅲ) General systems theoryschool

  49. ⑴ 이론적 개념 i) Sociocultural school: KaiErikson(1962) • 정신질환은 다양한 의미있는 타인(significant others)들에 의해 강요된 행위규칙을 위반하는 특정 행동 • 정신의학의 초점을 일탈자와 audiance사이의 interplay에 둔다―사람과 social context. • 증상이라고 불리는 행동들은 사회적 상황내에 서 고려될 때만 의미를 가진다.

  50. ii)Interpersonal-psychiatric school • Adolf Meyer / Harry Stack Sullivan(1953) • 유기체와 personal environment사이에 퍼져 있는 상호 작용 강조 • Freud는 내적 정신경험을 강조하는데 반해 이 이 론에서는 사회적 또는 상호관계의 경험 강조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