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1

IASCL/SRCLD 2002 학회 보고 :

IASCL/SRCLD 2002 학회 보고 :. 언어의 영역특수성 (domain-specificity) 및 언어와 일반 인지의 관계 조숙환 (swcho@sogang.ac.kr) 서강대학교 (IASCL=International Congress for the Study of Child Language/ SRCLD=Symposium on Research in Child Language Disorders) - http://www.waisman.wisc.edu/srcld/index.htm. 주요 논제.

rafe
Download Presentation

IASCL/SRCLD 2002 학회 보고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IASCL/SRCLD 2002 학회 보고: 언어의 영역특수성 (domain-specificity) 및 언어와 일반 인지의 관계 조숙환 (swcho@sogang.ac.kr) 서강대학교 (IASCL=International Congress for the Study of Child Language/ SRCLD=Symposium on Research in Child Language Disorders) - http://www.waisman.wisc.edu/srcld/index.htm

  2. 주요 논제 • 언어 지식의 영역 특수성 (domain-specificity) • 언어 지식과 일반 인지의 관계 • 언어 지식의 생성 (출현)과 환경 및 유전의 영향 여부

  3. 언어지식 (language structure)과 영역특수성 (domain-specificity) 가. 언어지식 예: “인지모임은 늘 행복하다.” ㄱ. /hayngpok-ha-ta/ -> [hæŋbok…] ㄴ. [VP [V’ [NP [N’[hæŋpok…]]] ha-ta]] ㄷ. [hæŋbok…] - [+animate], [-activity] 등 ㄹ. /næil/ - */…ha-ta/

  4. 나. 영역특수성 [A] ‘인지’에 대한 진화심리학적 이론 체계의 기본 원리 ㄱ. “마음은 대량의 모듈 또는 심적 기관이라고 불리 는 특수목적적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ㄴ. “이 심적 체계는 다른 신체적 체계와 마찬가지로 진화단계에서 인류의 선조들이 당면했던 환경 에서의 중요한 정보 처리 문제들을 해결하거나 어떤 특정한 기능을 수행 하도록 자연선택에 의해 조성된 것이다.”(이정모, 2001, 641쪽)

  5. [B] 언어의 진화에 대한 부정적 입장: Chomsky (1988: 24, 22) “There is a long history of study of origin of language, asking how it arose from calls of apes and so forth. That investigation in my view is a complete waste of time, because language is based on an entirely different principle than any animal communication system.”

  6. Chomsky (1986: 24, 22):영역 특수성 “UG is a characterization of [the] innate, biologically determined principles, which constitute one component of the human mind– the language faculty.” “…for H to know the language L is for H’s mind/brain [for the language faculty, one module of this system] to be in a certain state.”

  7. SLI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두뇌손상아동- 연구 사례 • McGregor, K. , de Pampliega, I., de Gil Garbagnoli, de Ramos Meijia, F. L. G., & Reilly, R. M., 2002. “The use of word formation rules in English and Spanish speakers with SLI.”IASCL/SRCLD 2002 Proceedings. pp. 72-73. • Dromi, E. & Blass, A. 2002. “The spontaneous use of verb forms by Hebrew-speaking children with SLI.”IASCL/SRCLD 2002 Proceedings. p. 73. • Hakansson, G., Salameh, E-V, & Nettelbladt, U. 2002. “Developmental processes in Swedish-Arabic children with and without language impairment.”IASCL/SRCLD 2002 Proceedings. p. 73. • Guidetti, M., et al. 2002. “Pragmatics in children and adults with focal brain damage.”IASCL/SRCLD 2002 Proceedings. pp. 74-76. 등 이외 다수.

  8. 사례 연구 결과(하단 요약에 있는 번호는 앞 쪽 slide 사례연구의 번호와 동일함.) • 영어, 스페인어 (5;0-7;0, SLI, DP 아동 (각 언어 당 10명, 그림 명명 과제): SLI 아동은 DP 아동 보다 형태소 어미 활용에 훨씬 심각한 어려움을 보임. (예: happy-happiness, play-played등) • 희랍어(SLI 아동15명, DP 아동 15명), SLI 아동의 자연발화 자료 중, 2,141개의 동사와 DP 아동의 2,168개의 동사를 비교분석: SLI 아동은 시제 오류 보다 agreement (주어 동사 일치규칙) 오류가 훨씬 빈번했다. (예: John played/plays at home. *내가 간다더라)

  9. 스웨덴-아랍어 이중언어 학령기 전 단계 아동 (ND 10명, SLI 10명, longitudinal data (자연발화) 중 형태-통사적 발달 양상 연구: SLI 아동은 ND 아동과는 달리, 두 언어의 발달이 불균형적임. • 38명 (5;0-8;0, 좌뇌손상 (24명), 우뇌손상 (14)), 38명 (controls), 21명 (성인) (14 좌뇌손상, 7명 우뇌손상), 21명 (controls)의 자연발화자료 분석: 좌뇌손상된 성인의 경우 모든 면에서 심각한 실어증이 관찰되었으나, 우뇌손상된 성인은 유창하지만, 화용적으로 무의미한 발화가 특징.

  10. 2. 언어 지식과 일반 인지의 관계 A. 연구 사례 • Choi, S. 2002. “The relation between semantics and cognition: A crosslinguistic study of spatial categorization from infancy to adulthood.”IASCL/SRCLD 2002 Proceedings. p. 86. • Mueller Gathercole, V. C. & Roberts, S. H. 2002. “The influence of language structure on the categorization of concrete referents.”IASCL/SRCLD 2002 Proceedings. p. 86

  11. 3. Gentner, D. 2002. “Contribution of language to conceptual development – learning relational terms and carrying out relational similarity matches.”IASCL/SRCLD 2002 Proceedings. pp. 86-87. • Bowerman, M. 2002. “Language-specific semantic puzzles in first language acquisition.”IASCL/SRCLD 2002 Proceedings. p. 87. • de Villiers, J., de Villiers, P. Broderick, K., Friedman, J. & Pyers, J. 2002. “A longitudinal study of mental state language in explanations of actions by preschoolers.”IASCL/SRCLD 2002 Proceedings. p. 87 등 이밖에 다수

  12. B. 사례 연구 결과 가. Choi, S. 2002 공간 개념의 발달 양상은 공간 개념에 관련된 각 언어 고유의 의미구조 특징에 의해 결정된다. 영어 –‘containment’ (‘in’ vs. ‘on’) 국어 –‘tightness (looseness)’ (‘끼다’vs. ‘넣다’) 0;9-1;2 아동은 처음에는 습득해야 할 언어 보다 많은 공간 개념을 범주화할 수 있지만, 언어에 노출되면서 점차적으로 습득하고 있는 언어의 의미구조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13. 나. Gentner, D. 2002:언어 (예: relational terms (예: ‘mix,’‘pay,’ etc.)와 개념 발달의 관계: ㄱ. 언어표현이 들릴 때, 이 표현으로 맥락, 상황 등 을 기억에 저장한다. ㄴ. 어떤 관계구조 (relational pattern)가 명명됨 으로써 이 구조는 반복해서 이용될 확률이 커지게 되어, 궁극적으로는 통일된 relational encoding이 발생한다. ㄷ. 어떤 relational term을 사용함으로써 총체적 관계 개념이 구축되면, 그때 우리는 이 구조에 대한 새로운 주장을 펴게 된다.

  14. 다. de Villiers, et al. 2002: 아동의 언어와 theory of mind관계 ㄱ. 아동: 30명의 정상 발달 영어 원어민 아동 (3;3-4;3) ㄴ. 방법: video를 보면서 묘사하는 elicitation ㄷ. ‘desire’묘사 (‘I want to… (non-tensed V)’) vs. ‘belief’묘사 (‘I think that … (tensed V)’) ㄹ. 통사구조 (tenseness, ‘want’ vs. ‘think’등)의 습득은 theory of mind의 발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15. 라. B. 2002. “Social pragmatic difficulties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IASCL/SRCLD Proceedings. p. 108 ㄱ. 학령기 SLI 아동의 social pragmatic skills 연구 (direct assessment & 부모, 교사의 응답) ㄴ. SLI 아동의 언어장애의 원인은 social pragmatic difficulties에 있는가? ㄷ. SLI 아동은 정상발달 아동에 비해 사회 화용적 어려움이 훨씬 많았는데, 이 어려움은 일차적 으로는 사회 지식에 대한 결핍을 제시하며, 부수적으로는 언어 장애로 인한 부수적인 결과인 것 같다.

  16. 3. 지식의 생성 (출현), 환경, 유전 가. Chomsky, Noam (1965, 1981, 1995) 나. Tomasello, Michael (1999, 2002). “First steps toward a usage-based theory of language acquisition” IASCL/SRCLD 2002 초청강연 다. Bishop, Dorothy Oxford 대 연구팀 (2001, 인쇄중) & Bishop (IASCL/SRCLD 2002 초청강연)

  17. 가. Chomsky: language as a ‘biological organ’ ㄱ. Tom says that John likes himself. (himself = John, but NOT Tom) ㄴ. [S1 Tom…[S’ that [S2 John…himself]]] ㄷ. 영이는 순이가 자기를 비판하고 있다고 말한다. (자기= 영이, 또는 순이) ㄹ. [S1 영이…[S’고 [S2 순이가 자기를…]]] ㅁ. 선험지식 = NP (N), VP (V), S, c- command, governing category

  18. 나. Bishop et al. (인쇄 중) ㄱ. 피험자: 20명 SLI 아동, 19명 청각장애아동, 정상아동 ㄴ. 자극: ‘John says that Tom likes himself’와 같은 long-distance binding 구조 ㄷ. 결과: SLI 아동은 정상발달 아동 보다 수행결과 가 매우 저조했으나, 청각장애아동은 정상발달 아동과 거의 비슷한 수준. ㄹ. (i) 소리지각과 통사구조 이해 능력과의 독립성 (ii) 그러나, modular account의 가능성 배제함. 대신, ‘limited processing capacity’로 설명 가능.

  19. 다. Tomasello (2002):Usage-Based Theory psycholinguistic unit (예: usage-based 표현 ‘Please…,’‘How are you,’…), abstract structures (타동사성, 절, 주어…), communicative functions (질문, 대답, 명령…))은 다음과 같은 usage-based model에 의해 발달된다 (‘발생빈도’의 역할 중요). ㄱ. usage-based events (언어사용 맥락 (환경)) ㄴ. 특정 표현의 반복을 통한 entrenchment (방어), distributional analysis, imitative learning (analogy), preemption (선취) ㄷ. usage-based syntactic operations

  20. ‘빈도’ 연구 사례 (Tomasello, 2002): 2;0 영어 • 455개의 말 중, 78%가 sampling 시작후 6주째에 아동이 자발적으로 발화했던 말. • 아동이 발화한 말 중 18%는 그 이전에 자발적으로 사용했던 구조의 부분적 변형이었음 (예: “Where’s X”구조의 ‘X’자리에 새로운 표현을 추가로 사용) • 아동의 발화 내용 중 그 이전에 스스로 사용했던 구조와 거의 다른 구조는 4% 정도에 불과함. 그러나, 이 새 구조 역시 옛 구조를 토대로 발화했을 가능성이 큼 (예: ‘I want X’ ->‘I want tissue lounge’) • 완전히 새로운 구조는.5%였는데, 이 구조는 담화 맥락을 토대로 구축했을 가능성이 큼.

  21. 참고문헌 이정모. 2001. 인지심리학. 서울: 아카넷. Chomsky, Noam. 1986. Knowledge of language: Its nature, origin, and use. NY: Praeger. Chomsky, Noam. 1988. Language and problems of knowledge: The Managua lectures. Cambridge, MA: MIT Press. Chomsky, Noam. 1981. Lectures on government and binding. Dordrecht: Foris Publications. Chomsky, Noam. 1995. The minimalist approach. Cambridge, MA: MIT Press. Frazier Norbury, C., Bishop, D. V. M., & Briscoe, J. (in press). “Does impaired grammatical comprehension provide for an innate grammar module?”Applied Psycholinguistics.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