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2

국제관계의 이해

국제관계의 이해. 제 10 강 . 국제관계의 새로운 쟁점 : 테러 , 인권 , 환경.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1. 국제관계의 새로운 변화. ○ 오늘날 국제관계는 과거 냉전체제로 대표되던 구질서 (old order) 가 붕괴 되고 탈냉전 이후 새로운 관계 변화 초래 - 과거 냉전체제 시기에는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양극체제가 형성 되어 국가 간 군사 · 안보적 갈등과 대립 형성

micah
Download Presentation

국제관계의 이해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국제관계의 이해 제10강. 국제관계의 새로운 쟁점: 테러, 인권, 환경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2. 1. 국제관계의 새로운 변화 ○ 오늘날 국제관계는 과거 냉전체제로 대표되던 구질서(old order)가 붕괴되고 탈냉전 이후 새로운 관계 변화 초래 - 과거 냉전체제 시기에는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양극체제가형성되어 국가 간 군사·안보적 갈등과 대립 형성 - 탈냉전 이후 국제관계는 군사·안보적 경쟁이 약화되고, 다자관계가활성화되어 경제·정보·기술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경쟁관계 심화 - 과거 국제관계를 조율하던 군사·안보 쟁점으로부터 새로운 쟁점들이 등장하여 국가 간 관계를 규율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 ○ 탈냉전 이후 세계화의확산은 과거 국가 중심의 국제관계 개념으로부터 그 개념을 달리 하는 새로운 관계 모색 - 세계화는 미국 중심의 정치적 민주화와 경제적 자유화의 확산을 초래, 국가 간 영토와 주권 개념의 약화를 가져오는 새로운 문제점 발생 - 세계화의 확산에 따른 정치·경제·사회·문화적 문제점들에 반대하는 반세계화 논리와 운동 등장 - 국가 간 양자관계를 대신하는 다자관계가 강화되는 가운데 새로운 쟁점에 따른 질서를 만들기 위한 다자적 관계 확산

  3. ○ 과거 국제관계를 조율하던 군사·안보적 쟁점 또한 크게 약화되어 다자적 관계 를 규율하기 위한 새로운 쟁점들 부상 - 2001년 9·11 테러 이후 미국과 서구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 테러방지정책 강화에 대응하여 문화적 충돌과 저항 대두 - 인권과 민주주의의 보편적 가치질서에 대응하여 역사적·문화적 가치의 차이와 특수성을 강조하는 새로운 쟁점 대두 - 서구의 경제적 발전과 탈물질주의의 확산에 따른 환경 문제의 대두와 이에 저항 하는 개발권의 충돌 야기 2. 국제관계와 테러리즘 문제 1) 테러리즘(terrorism)이란 무엇인가? ○ 오늘날 국제사회는 다양한 형태의 테러리즘 발생, 테러리즘에 대한 학자나 국가 기관들 사이의 개념적 합의는 어렵다. - 현대 테러리즘은 정치적 목적이나 폭력의 범위에 대한 명확한 한계를 구분하기 어렵고, 이념ㆍ종교ㆍ민족 간 대립과 갈등, 집단 간 이해관계에 따라 서로 상반 된 견해가 제기 예] 안중근 의사의 의거를 어떻게 볼 것인가?

  4. - 일반적으로 테러리즘은 정치·사회적으로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개인이나 집단, 공공의 재산 등에 대해 불법적으로 폭력을 사용하거나 위협을 가하는 행위 - 테러리즘은 특정 집단의 정치적 요구를 달성하기 위해 개인이나 집단, 공동체 또 는 정부에 대해 폭력을 자행하는 행위로서 살인과 파괴, 그 위협을 조직적으로 상 용하는 행위 ※ 테러리즘은 정치·이념적 성격을 띤 위협과 폭력을 활용,저강도(low-intensity) 의 전쟁효과를 수행하는 또 다른 전쟁 형태로 간주 ○ 테러리즘의 유형과 성격 변화 - 일반적으로 테러 유형은 인질, 납치로부터 항공기 납치와 격추, 암살, 폭탄 테러, 총기 난사, 생화학 테러, 사이버 테러 등 매우 다양, 최근 테러리즘의 유형은 이들 유형들이 결합되어 보다 복합적이고 혼합적인 형태로 발전 - 과거 테러의 유형은 일련의 납치, 암살, 점거, 파괴행위 등 특정한 사건을 통해 자신들의 정치적 의사를 전달하고 목적을 성취하려는데 초점 - 최근 테러의유형은 파괴 및 살상행위 자체가 목적이 되어 저비용으로 극단적인 파괴력을 노리고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삼는 등 그 유형 자체가 보다 극한적 형태로 발전 - 과거 테러리즘은 한정된 지역이나 특정한 영토 내에서 특정한 인물이나 집단을 노려 테러가 자행되는 국내테러리즘의 성격 - 최근 테러리즘은 국적을 불문하고 불특정 다수가 테러리즘의 위협에 노출되어 국제테러리즘의 성격 표출

  5. 2) 테러리즘의 새로운 양상: 뉴테러리즘(new terrorism), 메가테러리즘(mega- terrorism) ① 테러리즘의 목적 변화: - 테러의 목적이 과거 이념적 대결구도에서 벗어나 세계화의 확산과 맞물려 이념· 종교·경제·민족·인종·환경 등 다양한 목적들을 복합적으로 표방 - 과거 특정한 정치이념이나 종교를 내세우며 정치적 소수에 의해 주도되던 테러 리즘은 탈냉전 이후 다양한 원인으로 형성된 테러단체들이 상호 연계하여 테러 활동 전개 ② 테러리즘의 행위자 변화: - 과거 국가 차원의 지원을 받는 테러리즘 감소, 탈집단화, 개인화되는 현상 표출 - 과학기술의 발전이 급속도로 추진되면서 테러에 활용되는 각종 무기체계도 경량 화·소형화됨에 따라 집단적 차원의 테러활동 약화 - 조직적 차원의 지원을 받는 개인이 중심이 되어 요인 암살이나 불특정 다수를 노린 자살폭탄테러 등 단독으로 테러 공격을 감행하는 사례 급증 ③ 테러리즘의 대상 변화: - 과거 전통적 개념의 테러는 주로 특정 인물이나 건물 또는 항공기 등이 테러 공 격의 주요 대상, 뉴테러리즘에선 그 대상이 모든 민간인 혹은 불특정 다수로 확대

  6. - 뉴테러리즘은 무차별적 대량 살상 및 파괴를 자행함으로써 과거에 지니고 있던 최소한의 도덕적 정당성마저 상실 - 테러의 대상이 불특정 다수의 모든 민간인으로까지 확대되다 보니 테러리즘은 우리의 삶을 제약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대두 ④ 테러리즘의 수단 변화: - 오늘날 정보·통신 등 과학기술의 발전은 테러의 수단과 방법에서도 첨단화 유도 - 과거 테러리즘은 인질, 납치, 암살, 폭탄테러 등 소규모 폭력성 표출, 뉴테러리즘 은 인터넷을 이용한 사이버 테러와 극단적 자살테러 등 새로운 유형으로 발전 - 뉴테러리즘은 과학기술의 발전과 급속한 확산으로 핵무기를 비롯한 생화학, 방사 능 물질 등을 테러 공격에 활용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예] 대량 살상무기가 테러의 수단으로 이용되는 슈퍼테러리즘(super terrorism) 가능성 ⑤ 테러리즘의 조직 변화: - 뉴테러리즘의 특징은 테러조직의 방대한 조직력, 막대한 자금 동원력, 그리고 초 국가적 연계망 구축 등 새로운 경향 대두 - 오늘날 테러조직은 특정 국가에 암약하며 테러활동을 전개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 어나 세계 곳곳에 지부를 개설하거나또 다른 테러조직과 연대하는 초국가적 테러 리즘 유발 - 뉴테러리즘은 마치 프리랜서 스타일의 네트워크 중심적 테러조직을 통해 다양한 테러활동 전개

  7. 3) 한국의 테러리즘 위협과 대응전략 ○ 한국의 테러리즘 위협 요인 - 한국은 국제테러리즘의 위협으로부터 전혀 안전한 국가가 아니며, 오히려 다양한 외교관계 속에서 국제테러리즘의 표적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큰 국가로 분류 - 실제로 한국의 경우 이미 북한에 의한 테러 공격 이외에도 다양한 유형의 테러리 즘에 노출되어 고통을 겪고 있으며, 이에 따른 보다 철저한 대응전략 마련이 시급 ① 남북한 사이의 분단과 휴전, 그리고 현재의 군사적 대치상태는 한국이 처해 있는 테러 위협의 가장 큰 핵심요인 - 1948년 대한민국의 정부 수립 이래 한국은 북한의 무력 도발과 한국전쟁,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군사적 위협과 테러 공격에 의한 피해당사국 - 테러의 유형 또한 과거 무장간첩을 통한 요인암살과 국가시설 파괴, 항공기·선 박의 납치 및 폭파 등으로부터 최근 사이버 공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단 활용 예] 1983년 발생한 버마 아웅산 묘지의 폭탄테러 1987년 대한항공(KAL) 858기의 공중폭파 사건 - 최근 들어 북한은 해외지역을 거점으로 활용한 테러활동 강화: 해외지역에 테러 요원과 특수전 교관, 군사고문단을 파견하여 국제테러리즘 수출 - 북한은 이미 각종 핵무기와 생화학 무기 등을 개발하여 테러리즘 활용가능성 증대

  8. ② 한국의 이라크 파병과 이슬람 테러리즘의 위협 증대 - 2004년 한국은 이라크의 평화 재건을 목적으로 자이툰 부대(Zaytun Division) 파병, 증파계획 논의 중 - 이에 따라 2004년 이라크에서 김선일 씨의 납치․살해 사건, 2007년 아프가니스 탄에서 한국인 선교단의 피납․피살 사건 발생 - 최근 들어 이슬람 테러조직 요원들이 한국을 경유지로 거쳐 갔다는 첩보 입수 등 한국 또한 이슬람 테러단체의 위협으로부터 완전한 무풍지대가 아니다. ③ 한국 내 거주하는 미국인들이나 미군 및 미군기지에 대한 테러리즘 위협 고조 - 2001년 9·11 테러 직후 전세계적으로 미국과 관련된 개인이나 단체, 그리고 미군과 군사기지 등에 대한 테러리즘 확산 - 2009년 현재 주한 미군의 숫자는 대략 2만8천5백 명 정도, 서울 용산기지를 비롯하여 전국 각지에 다양한 형태의 미군 시설물 배치 - 한국 내 반미 감정이 강화되는 가운데 주한 미군의 철수를 주장하는 일부 극단 주의자 존재, 미국인 및 미군 시설물들에 대한 테러 공격의 가능성 존재 - 이러한 가운데 북한 등 한국에 대해 적대적인 국가나 반미·반한 감정을 지닌 집단들 사이의 연계활동을 통한 테러 가능성 확대

  9. ④ 한국 내 인적 교류나 외국인 근로자의 급속한 유입도 국제테러리즘의 위협 가능성 을 높이는 한 가지 요인으로 작용 - 한국은 국제적 인적 교류의 확산뿐만 아니라 동남아 및 기타 개발도상국들의 산업 연수생과 근로자들이 대거 유입 - 이들 중 반한 감정을 지닌 이슬람 국가의 국민들이나 외국인 근로자들이 한국 내 거주하며 테러활동을 지원하거나 직접 가담할 가능성 존재 - 한국 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들에 대한 인종차별과 임금체불, 그리고 강제추방 문제는 한국의 국가 이미지를 악화시키는 주요한 문제점으로 대두 - 이러한 차별 과 무시로 인해 반한 감정을 지닌 일부 이슬람계 외국인 근로자들이 해외 테러조직이나 반한단체들과 연계되어 테러를 기도할 가능성 존재 ⑤ 한국의 국제적 인적 교류가 크게 활성화됨에 따라 해외지역에서 한국인들에 대한 테러리즘의 위협도 크게 증가 - 한국 기업 및 국민들의 해외 진출이 증가함에 따라 이슬람 테러리즘의 위협이 존재하는 지역을 방문하거나 거주하고 있는 한국인들도 지속적으로 증가 예] 2006년 3월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 KBS 윤태영 특파원 피랍사건 2006년 4월 소말리아 인근 해역에서 동원호 납치 사건 2006년 6월과 2007년 나이지리아에서 대우건설 한국인 피랍사건 - 한국인들의 테러리즘에 대한 인식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며, 이들을 어떻게 계도 하고 교육시키느냐가 중요한 문제점으로 등장

  10. ○ 국제테러리즘의 위협에 맞선 한국 정부의 테러리즘 대응전략 - 한국은 지난 1982년 서울 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대통령 훈령 제47호를 통해 국가대테러활동지침 마련 - 한국의 테러리즘 대응체제는 크게 대테러대책기구와 테러사건 발생에 따른 대응 조직으로 구분,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대테러대책위원회 설치

  11. ① 국내외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테러리즘 위협을 방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테러방지 법의 조속한 제정 - 9·11 테러 발생 직후 국제사회는 유엔을 중심으로 테러리즘 방지와 관련된 국제 협약의 제정과 협력체제 수립을 위해 다각적 노력 전개 - 미국을 비롯하여 영국, 독일, 캐나다, 프랑스, 일본, 러시아, 뉴질랜드, 호주 등이 테러리즘과 관련된 국내법 강화, 테러리즘 관련법 정비 - 한국의 경우 9·11 테러 발생 직후 제16대 국회에서 테러방지법 상정, 회기가 공 전되어 처리하지 못하고 자동적으로 폐기 - 2008년 한나라당 중심으로 국가대테러센터와 국가사이버안전센터를 신설하는 내용의 국가대테러활동에 관한 기본법(대테러법안)과 국가사이버위기 관리법 (사이버관리법안) 대표 발의, 인권 문제를 우려한 야당 측의 반대로 법제화 실패 ② 국제테러리즘의 현황과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테러 위협을 사전에 감지 하여 체계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통합적 테러대응센터 설립 - 세계 선진국과 우리보다 경제사정이 열악한 국가들에서도 테러리즘을 방지할 수 있는 종합체계 설립 예] 미국 테러리스트위협통합센터(TTIC: Terrorist Threats Integration Center) 영국 합동테러분석센터(JTAC: Joint Terrorism Analysis Centre) 호주 국가위협평가센터(NTAC: National Threat Assessment Centre) 등 - 한국의 경우 국가대테러활동지원지침에도 불구하고, 테러리즘 방지와 대응을 위한 각종 업무가 각각의 행정부처로 분산되어 통합적 운영이 불가능

  12. - 2005년 4월 한국 정부는 국가정보원 산하에 테러정보종합센터를 설립, 테러방지 업무와 대응전략을 종합적으로 관리․운영할 수 있는 독자적 역량 부족 ③ 국제테러리즘 위협의 효과적 예방과 차단을 위해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와 다각 적 협력체제 모색 - 유엔은 2001년 9·11 테러를 국제적 범죄행위 규정, 테러리즘의 재발 방지를 위한 국가 간 협력을 촉구하는 결의안 채택 - 유엔은 2006년 세계테러대응전략(Global Anti-Terrorism Strategy)과 그 일환으로 행동계획(Plan of Action) 의결: 다자간 테러대응 협력체제 기틀 마련 - 현대 테러리즘이 초국가적 성격을 지니며 크게 확산되는 상황에서 국제테러리즘 에 대한 포괄적 정보 공유의 필요성 증대 ④ 국제테러리즘과 관련된 일련의 정보와 전략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 - 한국은 테러 발생 시 국가 차원에서 위기를 관리할 수 있는 전문인력 부족, 국제적 으로 테러리즘 관련 정보를 수집․분석할 수 있는 전문인력 취약 - 북한의 테러 위협에 대응한 군․경찰의 특수부대는 있으나, 정보의 수집․분석, 포괄적 대응전략 마련을 위한 테러 전문요원 불충분 - 하드웨어는 있으나 소프트웨어는 없는 현실 속에서 테러리즘 관련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교육시스템 개발의 필요성 증대

  13. 3. 국제관계와 인권 문제 1) 인권(Human Rights)이란 무엇인가? ○ 오늘날 인권 문제는 국가의 내부 문제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의 규범과 국가 간 관계를 규율하는 중요한 요인들 중 하나로 등장 - 탈냉전 이후 크게 확산되고 있는 세계화 현상을 논의하지 않더라도 인권 문제는 국가 간 내부 문제와 외부 문제가 연계된 초국가적 문제로 변화 - 국제관계에 있어서도 인권 문제는 상호 협력과 지원을 필요로 하는 국제적 사안 으로 대두되어 인권 문제에 대한 인도적 차원의 해결은 물론 인권 신장을 위한 다양한 협력 유도 ○ 오늘날 인권은 인간이기 때문에 갖게 되는 당연한 권리이자, 옳고 정당한 권리로 인정 - 인권은 인간이 기본적으로 지니는 도덕적 권리이자 평생 동안 필요로 하는 인간의 존엄성으로 인식 - 윤리적차원에서 인권은 인종이나 성별, 연령, 종교, 국적, 경제력 등의 구분과 상관없이 하나의 인간으로서 평등하게 공유되는 보편적 권리 - 인권은 정치․경제․사회․문화적 삶을 영위하는 과정 속에서 자유와 평등을 누리며 인간다운 삶을 보장받는 실질적 권리

  14. 2) 국제적 인권 개념의 형성과정 ○ 국제인권 이념의 채택과 비준과정 - 1948년유엔은 세계인권선언(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을 통해 국제인권 이념을 채택: 만장일치 - 그러나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국제적 냉전체제는 이념적․정치적 갈등과 대립을 양산하여 정치체제에 따른 논쟁 지속 - 1966년유엔 총회에서 국제인권규약(International Human Rights Covenants)이 발의될 때까지 답보상태 지속 - 1966년 발의된 국제인권규약은 경제․사회․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국제 사회권규약 A)과 시민적․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국제자유권규약 B)을 나누어 제출 - 국제인권규약은 각 국가별 비준 절차를 거쳐 1976년 유엔 총회에서 공식적으로 발효 ○ 인권 개념의 구조와 국제인권장전(International Bill of Human Rights) - 1976년 발효된 국제인권규약은 각 개인이 국가로부터 간섭과 침해를 당하지 않는 소극적 권리로서의 자유권과 국가로부터 보호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적극 적 권리로서의 사회권을 구분

  15. - 시민적·정치적 자유권: 고문 및 비인간적 처우와 처벌로부터의 자유, 자의적 체포와 구금, 추방으로부터의 자유, 사상․양심․종교의 자유, 의사표현의 자유, 집회․결사의 자유 등을 포함 - 경제·사회권: 노동자, 농민, 여성, 아동, 장애인, 소수민족, 이주노동자 등 사회적 약자의 권리 증진을 목표로 한 편견 없는 권리의 보장 의미 - 국제사회는 1948년 세계인권선언과 1976년 발효된 양대 규약을 국제인권을 규율하는 중요한 행동 기준으로 삼아 국제인권장전으로 지칭 3) 인권에 대한 도전: 주권(sovereignty)과 아시아적 가치(Asian value) ○ 국제인권 규범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인권 개념이 모든 국가들에서 보편적으로 공유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 1990년대 초반부터 동아시아 지역에서 대두된 아시아적 가치 논쟁은 인권 개념 에 대한 동․서양 사이의 미묘한 인식 차이와 문화적 가치관의 충돌 야기 - 인권의 보편주의(universalism)에 대응하는 문화적 상대주의(cultural relativism)논쟁 확산 - 즉, 인권 개념은 각 국가들이 당면해 있는 정치․경제 구조와 사회․문화적 환경이 서로 다르고, 인권에 대한 전통적 인식이나 문화적 가치 기준이 상이 - 따라서 개별 국가들의 인권 상황이나 정책 또한 문화적 가치관의 차이에 따라 상대적 특수성이 반영되어야 한다고 주장 - 특히 중동과 동아시아 일부 국가들은 인권 개선을 위한 국제적 압력을 서구적 음모로 간주하여 새로운 제국주의나 정치적 간섭 및 개입으로 치부

  16. ○ 인권과 주권의 문제는 개별 국가들의 국내 수준뿐만 아니라 국제적·지역적 차원에서도 논의 심화 - 최근 유엔을 중심으로 한 국제인권 규범이 제도화되는 상황에서 인권은 지역적․ 국제적 차원에서 국가 간 협력을 통해 공동으로 실천해야 할 목표이자 규범으로 작용 - 그러나 유엔이 지니는 제도적 한계는 국가 내부의 인권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강력한 개입을 꺼리고, 주권 문제와 관련된 논쟁 유발 - 인권을 옹호하는 진보적 학자들과 활동가들은 대량학살이나 난민 문제 등 개별 국가들의 심각한 인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사회의 적극적 개입 주장 -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개입이 정치화된 국제기구 내에서 영향력을 지닌 일부 강대국들의 국익을 대변해 줄 뿐이라는 비판 제기 - 인권 개선과 보호를 위한 국가 간 협력과 지역적 차원의 모범 사례로서 유럽연합 (EU)의 유럽인권위원회(European Commission on Human Rights) 제시 - 그러나 아직도 다른 많은 지역에서 인권 개선과 보장을 위한 국가 간 협력과 제도화 수준은 미약한 상황 4) 동아시아의 인권 문제와 인권협력 ○ 중국과 일부 동아시아 국가들의 아시아적 가치 논쟁 지속 - 정치체제와 관련된 인권 논쟁은 중국과 일부 동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아시아적 가치 논쟁 유발

  17. - 인권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관련된 문화적 가치관의 충돌은 결과적으로 정치체제 논쟁으로 이어지는 결과 초래 - 국제사회의 보편적 가치에 순응할 것인지 저항할 것인지에 대한 근본적 해결책이 모색되어야 할 시점 - 동아시아 차원에서 인권의 보편적 지역협력을 유도할 수 있는 협의기구나 제도화 의 필요성 증대 ○ 국제적 인권규범의 확산에 따른 동아시아의 대응 - 아직도 동아시아의 많은 국가들은 주권이라는 개념 아래 정치적으로 유린당하는 다양한 인권 문제 발생 - 1993년 아시아지역인권회의(Asian Regional Meeting on Human Rights) 이후 역내 인권협력이나 인권기구 설립을 위한 국가 간 논의와 협의 - 아세안+3를 통해 동아시아 지역의 인권 문제 해결을 위한 국가 간 입장과 방침을 듣는 협의적 논의 지속 - 2009년 아세안은 아세안 정부 간 인권위원회(ASEAN Intergovernmental Human Rights Commission) 설립에 합의 ○ 한국의 경우 지역적 차원의 북한 인권 문제와 더불어 국내적 차원에서 인권 신장 을 위한 정책적 노력 심화 - 북한의 인권 문제는 단순히 남북한 당사자들 사이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동아시 아 전역에 걸친 인권 문제 유발(예] 탈북자 문제 등)

  18. - 그러나 북한의 인권 및 탈북자 문제에 대한 동아시아 국가들의 인권협력은 미약한 수준이며, 이에 대한 지역적 차원의 협력 요망 - 한국 내 거주하는 외국인 노동자 및 결혼이민자들에 대한 인권 문제 개선: 다문화 정책과 쌍방향적 문화교류 확산 4. 국제관계와 환경 문제 1) 환경(environment) 문제의 기본 성격 ○ 오늘날 국제사회 속에서 환경 문제는 인류가 당면한 가장 심각한 위기의 문제들 중 하나로 등장 - 1960년대 이후 경제성장을 이룩한 서구 국가들을 중심으로 물질적 풍요의 이면을 비판하는 탈물질주의 확산 - 녹색당(Green Party) 등 환경보호를 위한 정치운동이 크게 확산되는 가운데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 개념의 등장 - 국가 간 환경보존을 위한 국가 간 협력방안이 모색되는 가운데 한경 문제가 국제 관계의 중요한 쟁점으로 대두

  19. ○ 그러나 환경 문제는 기본적으로 경제발전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국가 간 입장 차이가 비교적 명확한 쟁점 - 선진국들은 산업화와 경제개발을 통한 환경 파괴와 오염을 심각하게 비판하며 환경보전을 주장 - 경제적 후진국들의 경우 국가경제의 발전과 빈곤 탈출을 위해 지속적 개발 주장 - 국제적으로환경오염과 파괴가 단순히 한 국가 내부 문제가 아니라 인류 공동의 초국가적 문제임을 인식, 경제성장을 위한 개발 문제에 있어서 상호 이견 존재 2)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노력 ○ 환경 문제가 지니는 기본적 성격 때문에 국가 간 협력의 필요성 증대 - 1972년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세계 113개국이 모여 유엔환경회의 개최, 국제적 차원에서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자 모인 최초 회의로서 인간환경선언 채택 - 1983년 국제열대목재협정, 1985년 오존층 보호를 위한 비엔나협약과 더불어 1987년 몬트리올 의정서 채택 - 1987년세계환경개발위원회의 주창에 따라 지속가능한 성장과 환경 문제를 둘러싼 기본 논의의 확산 - 1992년 브라질 리우에서 유엔환경개발회의 개최 이후 리우선언과 함께 1993년 생물다양성협약, 1997년기후변화협약(도쿄의정서) 등 환경보호 행동원칙 체결

  20. ○ 1997년유엔환경특별총회에서 세계 185개국이 모여 환경 문제에 대한 포괄적 협의와 더불어 국제환경법 규범 탄생 - 지구 온난화, 산림 보존, 오존층 파괴, 토양 유실 및 사막화, 해양 오염, 핵폐기물 안전처리 등에 대한 포괄적 논의 - 그러나 국제환경법 규범은 완성된 법체계가 아니며, 법적 구속력이 결여되어 있다 는 문제점 존재 - 국가의 자원관리에 있어서 주권적 권리를 행사할 경우, 타국의 이해관계를 고려해 야 한다는 규정이 있으나 사실상 무의미 ○ 환경 문제와 무역관계를 연계한 국가 간 다자적 협력과 규제 지속 - 1995년 세계무역기구(WTO) 출범 이후 환경과 무역의 연계를 검토하는 무역환 경위원회 설치: 이른바 그린라운드(Green Round) 출범 - 1996년 세계무역기구 산한 무역환경위원회가 상설화되면서 몬트리올 의정서의 합의에 따라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상품에 대한 무역규제 강화 예] 오존층 파괴의 주범인 프레온가스 물질의 상품 규제 등 - 그러나 세계무역기구 내에서도 선진국과 후진국 사이의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 남북 문제의 표출

  21. 3) 국제적 환경 문제의 주요 쟁점 ① 오존층 파괴와 지구 온난화 문제 - 오늘날 국제사회의 가장 심각한 환경 문제는 지구의 오존층 파괴와 이에 따른 온난화 현상으로서 이것의 해결방법에 따른 국가 간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 - 오존층 파괴와 지구 온난화 현상은 단지 환경적 변화뿐만 아니라 인류와 생태 계의 생명을 위협하는 중요한 문제로 대두 -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진국의 입장과 후진국의 입장은 상호 모순된 충돌을 유발 - 오존층 파괴와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환경보존의 필요성을 공유하면서도 선진국들의 보상과 후진국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협력적 대안 모색 ② 환경의 남북 문제와 주권 문제 - 국제적 환경 문제는 선진국과 후진국 사이의 첨예한 의견 대립을 가져오는 국제 적 쟁점 - 선진국들은 지구환경의 오염 문제를 후진국들의 무분별한 개발 문제로 치부, 이들의 책임과 환경보호운동을 유도(예] 무분별한 채굴과 개발 중지) - 그러나 후진국들은 과거 선진국들의 산업화 과정에 따른 역사적 문제이며, 선진 국들의 보다 책임 있는 보상을 거론(예] 경제적 지원과 기술 이전)

  22. - 특히 환경 문제는 국가의 자원개발 및 영토적 주권과 연계된 국제적 사안으로 등장하여, 국가 간 이견이 대립되는 상황 표출 ③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 - 2002년 남아프리카 요하네스버그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세계정상회의 개최: 지구환경 문제의 해결을 위한 1992년 리우선언 이후 10년의 경과 검토 - 선진국들은 경제적 후진국들의 경제적 지원을 계속하되, 후진국들은 자발적 참여를 통해 국제적 환경보존에 동참 유도 - 그러나 이 회의의 결과는 상당히 부정적으로 평가: 선진국과 후진국 사이의 남북 문제를 규율하는 강제적 규약이 없는 상태에서 자발성 결여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