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2

다발성골수종의 새로운 약제 벨케이드 (Velcade ® )

다발성골수종의 새로운 약제 벨케이드 (Velcade ® ). 고려대학교 안암 병원 종양혈액내과 김 병수. 다발성 골수종 . 다발성골수종 발병 기전. 시대에 따른 치료 발전. 1990 년대 보존 치료법의 발전 : 적혈구 조혈인자. 1962 Prednisone + melphalan. 1999 thalidomide 최초보고. 2003 Thalidomide 인가. 멜팔란. 2000 년대 자가이식 2 회 시행. 1990 년대 골수파괴성 전처치요법 + 자가이식.

issac
Download Presentation

다발성골수종의 새로운 약제 벨케이드 (Velcade ®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다발성골수종의 새로운 약제 벨케이드 (Velcade®) 고려대학교 안암 병원 종양혈액내과 김 병수

  2. 다발성 골수종

  3. 다발성골수종 발병 기전

  4. 시대에 따른 치료 발전 1990년대 보존 치료법의 발전: 적혈구 조혈인자 1962 Prednisone + melphalan 1999thalidomide 최초보고 2003 Thalidomide 인가 멜팔란 2000년대 자가이식 2회 시행 1990년대 골수파괴성 전처치요법+ 자가이식 벨케이드미국 인가2003EU 인가 2004.4

  5. 다발성 골수종 치료의 흐름

  6. 다발성골수종의 연령별 발생 빈도 진단 당시의 나이 이 시기의효과적인 치료는? 고용량 치료 가능 55 60 65 70 나이

  7. 기존 항암치료 100 생존율 % 50 중앙생존기간= 24 - 30 개월

  8. 벨케이드(VELCADE®) • 최초로 임상에 적용된 프로테아좀 억제제 • 암 치료의 새로운 기원 • 종양의 생존과 성장에 심대한 효과

  9. Mechanism of Action of VELCADE The 26S proteasome is alarge protein complex that degrades tagged proteins 1 Bortezomibis a reversible inhibitor of the chymotrypsin-like activity of the 26S proteasome 2 Inhibition of the 26S proteasome prevents proteolysis of tagged proteins which can affect multiple signaling cascades with the cell 3 Nonclinical studies showed bortezomib to be cytotoxic to a variety of cancer cell types 4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 2003. Adams J. Drug Discov Today. 2003;8:307-315.

  10. 다발성 골수종에서 벨케이드 치료 시점? 유도 재발 관해 M-단백

  11. 불응성 다발성 골수종에서 벨케이드 치료 성적 • With Doxorubicin1 24 명 환자…..77% 전체반응율(OR) • With Thalidomide2 56 명 환자…..70% 전체반응율 • With Melphalan3 18 명 환자 (escalating dose)……67% 전체반응율 • Ortowsky R. ASH 2003, abstract 1639 • Zangari, ASH 2003, abstract 830 • Berenson, EHA 2004, abstract 1216

  12. 재발성 골수종에서 3상 임상 시험: 벨케이드 vs. 고용량 덱사메타존 Induction 벨케이드 1.3 mg/m2 IV push D1, 4, 8, 11 q 3 week cycle (total 8 cycles) 덱사메타존 40 mg PO D1-4, 9-12, 17-20 q 5 week cycle (total 4 cycles) Maintenance 벨케이드 1.3 mg/m2 IV push D1, 4, 8, 11 q 5 week cycle (total 3 cycles) 덱사메타존 40 mg PO D1-4 q 5 week cycle (total 5 cycles) TTP 6.2 mon, 1yrSR% 80%, RR 38% TTP 3.5 mon, 1yrSR% 65%, RR 18%

  13. 처음 진단된 다발성 골수종에서 벨케이드 치료 성적 • Alone or with dexa1 32명환자 : 88% 전체반응율 (22% CR/near CR, 42% PR) 6주기 완료 후 • PAD (velcade, adriamycin, dexamethasone) 2 21명 환자: 95% 전체 반응율 (57% CR/near CR) 4주기 완료 후 • Jagannath, ASH 2004. Abstract • Cavenagh, ASH2004, Abstract

  14. 벨케이드의 장점 • Safe combinations at meaningful doses • Melphalan, Thalidomide, Doxil, Adriamycin, Dexamethasone, Adria/Dex • Significant efficacy front-line • Single agent, w Dex, w Adria/Dex • Front-line toxicity profile • Mostly Grade 1 and 2 • Neuropathy in 35% • No impact on bone marrow harvesting or engraftment reported thus far-data needs to be closely examined

  15. 55 오심 44 설사 16 변비 27 * 구토 Grade 1-2 25 식용부진 Grade 3 40 혈소판감소증 21 Grade 4 빈혈 19 호중구감소증 41 피료 31 말초신경병증 22 발열 19 두통 0 20 40 60 80 100 % Incidence 주요 부작용(N=202) *One patient reported Grade 4 vomiting; this value is equivalent to <1%.Adapted from data in Richardson P et al. N Engl J Med. 2003;348:2609-2617.

  16. 벨케이드 사용환자에서 혈소판수 변화 혈소판수 1 1 4 8 11

  17. VELCADE 보험 약가고시 일자 : 2005년 1월 15일시행 일자 : 2005년 2월 1일 약제 상한 금액 : 1,144,673원 • 허가 사항두 가지 이상의 치료를 실시한 후에도 질병이 진행하는 다발성 골수종 • 의료 보험 요양 급여 기준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시 요양급여를 인정하며, 허가사항 범위이지만 동 인정기준 이외에 투여한 경우에는 약값의 100분의 100을 본인부담토록 함가. 대상환자 다음 표준 치료 중, 2가지 이상에 실패한 환자 1)Anthracycline 복합화학요법 (VAD 등) 2)Stem-cell transplant (조혈모세포이식술) 3) Alkylating agent(MP 등) 치료※ 표준치료 실패의 정의기존 치료 중 악화되거나, 치료 완료 후 60일 이내에 진행된 경우나. 평가방법-매 2~3주기마다 평가하여 부분 관해 이상의 효과가 있는 경우, 다음주기 급여인정 -부분관해 이상의 효과가 지속되는 경우, 최대 8주기까지 급여인정

  18. 향후 과제 • 어느 시점에서부터 치료에 적용될 것인가? • 가장 효과적인 병합요법은 무엇인가? • 이식 전처치 요법으로서의 효과적인 사용은 무엇인가?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