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2

남북한 중등학교 지구과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김경화* ․ 김규한 120-750,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현동 11-1,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남북한 중등학교 지구과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김경화* ․ 김규한 120-750,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현동 11-1,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Comparative analysis of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 Earth-Science section. Kyung-hwa Kim*․Kyu-han Kim

Download Presentation

남북한 중등학교 지구과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김경화* ․ 김규한 120-750,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현동 11-1,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남북한 중등학교 지구과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김경화*․김규한 120-750,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현동 11-1,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Comparative analysis of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 Earth-Science section. Kyung-hwa Kim*․Kyu-han Kim Dept. of Science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20-750, Korea

  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s of South and North Korea, then gather the fundamental information sources of second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 of Korea after Unification. The earth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 of the secondary school were analyzed comparatively with the modified TIMSS curriculum frameworks: Knowledge, process skill and attitude to Sc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lot of differences in educational objectives, contents and educational method of secondary school scien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secondary school of North Korea, earth science is not provided with separate subject, but partly taught in geography & astronomy. Geography is taught by two hours per week in the first to fifth grade of secondary school and astronomy is taught sixth grade of secondary school. Especially the first, second and fifth grade geography are deeply related to earth science. Main purpose of earth science education in South Korea is to develop creative problem solver having with interest and curiosity in searching natural phenomena, with basic science concepts and inquiry process skills. However, the aim of geography education of North Korea is to cultivate communist revolutionists. The Earth Science territory of South-North Korea commonly is similar to geology- meteorology- astronomy field importance. The level of Scientific knowledge is similar to South-North Korea in the secondary school. But the difference from Scientific terminology is serious. It is suggested that the integrated science textbook development in process and attitude approach and origin of science than scientific knowledge approach is needed. Key words: comparison of curriculum and textbooks, secondary school in south-north korea, earth-science section, Knowledge, process skill & attitude to Science *E-mail: ddarong81@hanmail.net  Tel:82-2-3277-2692  Fax:82-2-3277-2684

  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통일을 대비하여 남과 북의 과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얻고 그것을 바탕으로 공통 교육과정을 만드는데 기초를 마련하기 위하여 중학교 수준의 과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중 지구과학 영역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분석하는 시각은 통일 지향의 과학 통합 연구의 필요성에 주안점을 두었다. 2. 연구 방법 2-1 연구 대상 및 절차 2-1-1 학교급별 비교 대상 북한의 학교교육은 크게 두 단계로 구분되며 기본학제와 특별학제로 되어 있다. 정규교육의 기본학제는 4-6-4(6)제로서 인민학교 4년, 고등중학교 6년, 대학 4~6년, 연구원(준박사․박사과정)으로 되어 있다. 이 중에서 북한의 중등교육과정은 고등중학교에 해당되며 12세에서 17세 학생을 대상으로 하므로 남한의 중등학교 부분과 비교 가능하다. 그러나 학습 내용상의 문제를 고려할 때 고등중학교 1-3학년은 남한의 중학교와, 고등중학교 4-6학년은 남한의 고등학교와 직선적으로 비교되어지지 않으므로 지구과학 영역 전체에 걸쳐서 상대적인 비교를 진행하였다.

  4. 2-1-2 교육과정 비교 대상 <Table 1> Comparison of curriculum in South-North Korea ※ 북한 고유 명칭으로 설명되어진 것의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영어로 번역하지 않았음 *남북한 중등학교 과학 영역의 교육과정 비교 분석 : 교육과정 운영방식, 교과 편제, 목표 및 영역별 주안점, 학습 영역 및 계열성 분석

  5. 2-1-3 교과서 비교 대상 <Table 2> Comparison of Science textbook in South-North Korea *남북한 중등학교 과학 영역의 교과서 비교 분석 : 교과서 개발 및 보급 정책,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 (판형 및 지질, 색도, 화보의 비율, 쪽수 및 쪽당 글자수), 내용 요소별 구성 비율 및 범위와 수준, 북한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 용어 분석

  6. 3. 연구 결과 3-1 남북한 중등학교 과학 영역의 교육과정 비교 분석 3-1-1 교육목표의 비교 <Table 3> The major aim of earth science education in South-North Korea 3-1-2 과학 교육 방법 면에서의 비교 남한은 학습자의 자율성을 중시하여 창의적인 학습 방법을 강조하는 데 반해 북한은 주어진 학습 제재에 따른 고정화된 학습방법을 제시하는 경우로 나타난다. 남한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실험 위주의 탐구 활동과 선택형 수준별 학습 및 일반인을 위한 과학적 소양을 기르기 위한 사회, 기술, 과학의 통합(STS)학습, ICT활용수업 등의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북한에서는 깨우쳐주는 교수방법-학생들의 창발성과 적극성에 의거하여 그들 자신이 사물의 본질과 법칙을 해명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독자적으로 사고, 배운 지식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교과 지도교사가 이야기나 담화 형식으로 설명하고, 학생은 토론과 논쟁에 문답식 방법을 통해 습득하는 것을 위주로 한다고 되어있다.

  7. 3-1-3 교과목 편제 및 이수 시간의 비교 <Table 4> Comparison of science curriculum in South-North Korea 3-1-4 평가 방법의 비교 남한은 제7차 교육과정 이후 평가 방법의 다양성을 꾀하는 경향이 있고 북한은 필기시험, 구술시험, 실기시험 등으로 고정화되어 있다. 남한에서는 일년에 4회 정기고사에서 지필 평가(선다형, 서술형, 단답형)와 수행평가(다양한 주제의 실험 탐구보고서나 체험활동 보고서 등) 및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다양한 평가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북한에서는 일상적인 학업 성적을 위한 평가와 지식 위주의 필답 시험, 구답 ,실기시험,문답식시험이 수행된다고 보여진다.

  8. 3-2 남북한 중등학교 과학 영역의 교과서 비교 분석 3-2-1 제재 및 삽화 분석 외형상으로 살펴본 남북한 과학교과서의 차이점은 <Table 5>와 같다. <Table 5> Comparison of science textbook in South-North Korea 남북한에서의 과학 교과서는 외형상으로는 많은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것은 경제력에 의한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이므로 주된 비교의 관점은 못된다.또 남북한 교과서에서 현저하게 차이가 나타나는 것 중의 하나는 사진, 삽화의 수준과 활용정도이며 이는 학습자의 흥미 유발과 STS적인 접근 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9. 3-2-2 사용된 어휘의 특성 비교(예시)

  10. 3-2-3 교육 내용 구성의 비교 분석 남한에서는 내용의 대부분을 탐구 활동을 강조하는 측면에서 설명보다 그래픽 사진을 통한 문제 제시를 많이 사용하고 심화 보충형 과제를 단원마다 제시하여 각 단원의 내용의 확장 및 생활에의 적용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학년별 나선형 학습 구조를 택하여 개념과 의미의 심화, 보충이 뚜렷한 계열성이 보인다. 반면 북한에서는 김일성의 교시로 출발하여 학습 의의를 제시하고 각 개념에 대한 설명 위주의 문장구성을 취하고 있으며 간단한 도표나 직접 그린 삽화를 첨부하여 개념 을 보조 설명하고 있다. 한편 학습의 제목 구성에 있어서 북한은 설명하고자 하는 개념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였으나 남한에서는 실생활과 관련된 의문문 형태의 생활술어로 제시하여 학습의 흥미를 불러일으키며 STS적인 학습으로의 시도를 하고 있는 반면, 학습의 직접적인 내용을 설명하지 못하는 애매한 표현(예: 우리 모두는 천하장사)도 나타나고 있다. <Fig. 1>에 나타낸 실험 내용 분석에 따르면 북한의 경우 중학교 수준인 고등중학교 1-3학년 과정에는 남한과 비교할 때 많은 양의 실험과 관찰이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양적인 면에서의 단순 비교가 의미 없는 이유는 남한의 실험 내용이 몇가지 개념이 복합 적인 반면 북한에서의 실험 내용은 단일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학습의 양적인 면만을 단순하게 비교할 때 남 북한 모두 지질학-천문학-기상학의 비율로 다루어지고 해양학의 비중은 다소 낮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과학의 본성이나 역사, 철학적인 접근은 미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Fig. 2>. <Fig 1> Comparison of experiment Number <Fig 2> Comparison of chapters Number

  11. 4.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의 목적은 남북한 중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편제, 교육 목표, 교과서, 체제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과학 용어 등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며, TIMSS틀을 수정 보완한 분석틀에 따라 양적, 질적 분석을 수행하여 중등학교 수준의 과학관련 영역의 교육 목표, 교육 내용, 용어 등에서의 이질성과 동질성을 밝혀 통일 대비 과학과 교육 방안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통일 후의 중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과 통합 교과서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남한의 7차 교육과정과 북한 1996년 교육과정안의 지구과학과 관련된 부분 및 지구과학 영역의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남북한 중학교 수준에서의 과학교육 목표에 상당한 차이점이 나타났는데 과학교육의 목표가 이렇게 상이하다는 것은 교육과정의 구성 및 교육방법의 결정 및 평가에까지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됨을 고려할 때 탈이데올 로기적 관점에서의 남북한이 합의된 과학 목표설정이 우선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둘째,남북한 중학교 수준에서의 과학교육의 양적인 부분에서는 차이점이 나타난다. 수업 시수나 내용의 양적인 면과 교육과정 편제, 학년별 시수 배분, 과학 교과의 내용 등을 검토할 때, 중등학교 수준에서 수업 시수는 북한 이 많고, 교양 과목을 제외한 전체 수업 시수에 대한 과학 교과의 수업 시수 비율도 높은 편이다. 셋째,북한의 고등중학교에서는 ‘지구과학’이 별도로 개설되어 있지 않으며, 지구과학에 관련된 과목은 ‘천문학’과 ‘지리’이다. 북한에서 ‘지리’는 고등중학교 1-5학년에서 주당 2시간씩 지도되고 있으며 1-2학년에서는 지구과학 해당 부분이 전체 수업 내용의 반 정도를 차지하고 5학년에서는 고등학교 수준의 내용이 지도되고 있다. ‘천문학’은 1996년 고등중학교 교육과정에 처음으로 설정된 과목으로 추정되며 고등중학교 6학년에 해당되는데 내용 수준은 우리나라 중학교 수준과 고등학교 수준이 동시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남북한 중학교 수준에서의 과학교육의 질적인 부분에서는 별다른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는다. 북한의 교과서는 분과형, 남한의 교과서는 통합형을 선택하고 있으며 북한의 고등중학교 1-3학년은 남한의 중학교 수준으로, 북한의 고등중학교 4-6학년은 남한의 고등학교 수준으로 판단된다. 다섯째,남북한 과학 용어와 삽화 및 인쇄의 차이는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었는데 남한의 경우 한자나 외래어로 표기하는 용어들이 많은 반면, 북한의 경우에는 한글로 된 용어들이 가장 많았다. 또 교과서 제작에 있어서 북한의 인쇄 및 삽화에 있어서 그 수준이 매우 떨어지며 단위 쪽 당 다량의 내용을 삽입하고 남한 교과서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사진자료, 만화 및 쪽 당 여백 등을 볼 수 없다. 지구과학 영역이 특히 많은 양의 사진과 삽화자료가 필수적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북한의 경우는 적절한 양과 질을 소화해내지 못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12. 참고문헌 권완도(2000). 북한의 고등중학교 과정 화학교과서 분석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논문 김일성(1977). 사회주의 교육에 관한 테제(조선 로동당 중앙위원회 제 5기 제 4차 전원회의에서 발표), 평양. 노석구(1995). 남북한 초․중등 교과서의 화학내용 비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진원(1995). 한국과 북한의 자연 교과서 비교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우훈식(2002). 남북한 중학 과학교육 과정 및 화학 부분에 대한 자료 분석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양락(1999). 남북한 중등학교 지구과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연구,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지. 이은영(1999). 한국과 북한의 중등과학 교과서 비교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장세석(2000). 북한의 고등중학교 교육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주연, 한만길, 황규호(1995). 남북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분석 모형 개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과정 연구위원회, pp. 41-43. 전영오(1992). 북한 물리교과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돈형, 김재영, 노석구, 이양락, 전영석 (1998). 남북한 중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1-82, 195-230. 한국교육개발원(1994). 남북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 통합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한만길(1997). 통일시대 북한 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Robitalle, D. F., Knight, C. M., Schimit, W. H., Britton, E., Raizen, S. and Nicole, C., (1993). Curriculum Frameworks for Mathematics and Science (TIMSS monograph,1), Pacific Educational Press, pp.85-98.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