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1

제 4 장 전송손상과 전송매체

제 4 장 전송손상과 전송매체. 목 차. 전송 손상. 전송용량과 전송매체. 신호의 강도.  송신기와 수신기간 정보전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손상을 알아본다  전송매체가 제공하는 채널용량과 매체의 물리적 특성을 알아본다  신호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와 그 특성을 알아본다. 전송손상. 감쇠와 감쇠왜곡.  전송손상 (transmission impairments) 전송신호가 열이나 전자기장 혹은 전송매체의 물리적 특성 등으로 송신직전의 신호와 달라지는 현상

erek
Download Presentation

제 4 장 전송손상과 전송매체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 4장 전송손상과 전송매체 목 차 전송 손상 전송용량과 전송매체 신호의 강도  송신기와 수신기간 정보전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손상을 알아본다  전송매체가 제공하는 채널용량과 매체의 물리적 특성을 알아본다  신호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와 그 특성을 알아본다

  2. 전송손상 감쇠와 감쇠왜곡  전송손상 (transmission impairments) 전송신호가 열이나 전자기장 혹은 전송매체의 물리적 특성 등으로 송신직전의 신호와 달라지는 현상  감쇠(Attenuation) 전송신호가 거리에 따라 약해지는 현상  모든 전송매체에서 발생  유선매체의 경우 거리에 따라 처음에는 급격히 감소하다가 점차 완만히 줄어듦  무선매체의 경우 거리 뿐만 아니라 주변의 대기환경에 대해 영향을 받아 복잡한 양상  전송중에 섞이는 잡음의 상대적 크기를 줄여 감쇠 보상  아날로그전송의 경우 에러에 대한 누적 신호 증폭으로 증폭기 수 제한  디지털전송에서는 리피터로 비트정보를 다시 복원하여 재전송

  3. 전송손상 감쇠왜곡과 지연왜곡  감쇠왜곡(Attenuation distortion) 주파수 스펙트럼에 따라 감쇠의 정도가 균일하지 못하여 신호가 변형되는 현상  주파수에 따라 감쇠 정도가 다름  높은 주파수일수록 감쇠의 영향을 더 받음  무선매체에서는 거리 뿐만 아니라 주변의 대기환경에 대해 영향을 받아 복잡한 양상  디지털신호에 비해 아날로그신호에서 더 심각 (왜?)  전송매체의 주파수 스펙트럼 전체에 걸쳐 감쇠 정도를 비슷하게 보정 <그림> 음성채널(전화선)에서 감쇠곡선과 이의 보정  지연왜곡(Delay Distortion) 유선매체의 특성상 신호를 구성하는 여러 주파수 요소간의 전파속도 차이로 신호가 지연되는 현상  공기중에서는 신호의 전파속도가 모든 주파수에 걸쳐 일정  유선매체에서는 신호의 전파속도가 구성 주파수마다 다름 <그림> 음성채널에서의 개별 주파수의 지연정도 심볼간 상호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이란 ?

  4. 전송손상 잡음(Noise)  잡음 신호전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원하지 않은 신호  전송매체의 물리적인 특성에 의한 잡음과, 해,번개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한 잡음으로 구분  전송매체의 물리적특성에 의한 잡음은 통신시스템의 성능과 밀접 (예: 신호대 잡음비)  잡음 분류  열잡음(thermal noise)  주파수간 상호간섭(intermodulation noise)  누화(crosstalk)  돌발적 잡음(impulse noise)

  5. 전송손상 잡음  열잡음 전도체내 전자들의 열에 의한 불규칙한 자유운동으로 발생하는 잡음  어떤 형태의 전자장비와 매체에도 발생  모든 범위의 주파수에 대해 균일  하얀빛과 같은 형태의 주파수스펙트럼을 가지므로 백색잡음(white noise)이라 함  결코 제거될 수 없음  열잡음 외의 다른 외곡이 없는 이상적인 전송매체의 용량이 이론적으로 가능한 최대용량  주파수간 상호간섭 서로 다른 주파수 영역으로 구성되는 신호들이 동일매체를 이용할 때, 주파수들의 합, 차, 또는 배수에 해당되는 새로운 주파수요소가 만들어져 발생하는 잡음  전송과정에서 송신기와 수신기가 선형성(linearity)를 만족하지 않으면 발생  송신기나 수신기 등의 장비에 비정상적인 작동이나 지나치게 큰 입력신호를 가한 경우 발생

  6. 전송손상 잡음  누화(혼선) 차폐가 안된 동선가닥이 인접해 있거나, 무선전송에서 안테나로 신호를 수신할 때 반사된 신호가 수신되어 발생하는 잡음  전화통화중 다른 사람의 말이 들리는 현상  돌발적 잡음 번개와 같이 예측할 수 없는 외부적 요인등으로 발생하는 잡음  단속적, 순간적이지만 잡음 정도가 큼  음성과 같은 아날로그 정보전송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디지털전송에는 큰 문제 <그림> 디지털전송에서 잡음의 영향

  7. 전송용량 서비스와 전송용량  아날로그전송에서 전송용량 결정은 전송매체가 수용 가능한 주파수대역만을 고려  디지털전송에서 전송용량 결정은 전송매체가 수용 가능한 주파수대역과 비트에러율 등을 고려  디지털전송에서 전송용량은 단위시간에 보낼 수 있는 정보의 양(정보전송율, 단위는 bps)이며, 물리적으로 하나인 전송매체가 여러 채널로 나뉘어 사용되므로 채널용량이라 함  서비스와 전송용량 채널용량은 서비스관점의 개념이므로 전송매체의 물리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서비스와도 관련 <그림> 디지털전송에서 서비스별 전송용량  고품질의 디지털신호를 얻기 위해서는 보다 넓은 대역폭 필요  채널의 대역폭은 정보전송율에 비례  넓은 대역폭은 보다 큰 비용을 수반하므로 서비스품질과 서비스비용간은 상충관계

  8. 전송용량 보드전송율(Baud rate)과 비트전송율(Bit rate)  보드전송율 전송매체상의 신호요소의 상태가 단위시간(초) 동안 변하는 횟수  단위시간 동안 전송되는 신호의 수  대개 디지털정보(신호)의 아날로그신호화 즉, 디지털변조를 전제로하므로 변조율이라고도 함  변화하는 신호요소의 갯수와 관련하므로 신호율이라고도 함  비트전송율 또는 정보전송율 단위시간에 보낼 수 있는 정보의 양(단위는 bps: bit per second)  ASK변조방식에서 신호요소의 종류가 4가지일 때, 두개의 비트가 하나의 신호요소에 대응 된다면 정보전송율은 보드전송율의 2배 <그림> 신호와 신호요소 및 보드전송율과 정보전송율

  9. 전송용량 채널용량의 결정  나이퀴스트 공식(Nyquist’s formula) 신호요소의 종류(L)와 채널의 대역폭(W)를 고려하여 채널용량(C)을 계산한 식 C = 2 Wlog2L  대역폭 또는 신호요소의 종류(L)를 늘리면 높은 전송율을 가짐  잡음없는 채널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보다 낮은 전송율이 상한선  잡음이 없는 이상적인 채널을 가정  현실에 보다 가까운 채널 용량이 되려면 잡음 고려 필요  샤논 공식(Shannon’s formula) 대역폭(W)과 신호대 잡음비(S / N)를 고려하여 채널용량(C)을 계산한 식 C = Wlog2(1+S/N)( S : 신호강도, N : 잡음강도 )  S/N비는 주로 dB단위로 나타냄 (전화용 음성채널에서 S/N비는 대략 30dB)  열잡음만을 고려 <그림> 전화음성채널에서 샤논공식과 실제 전송효율 정보를 2배로 압축하고, S/N이 35dB, 대역폭이 3,100Hz인 채널의 용량은?

  10. 전송용량 채널용량의 결정  정보전송율과 비트에러율 ( Eb / No ) 정보전송율과 비트에러율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개변수 Eb : 1비트를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동안의 에너지 양 No : 그 비트에 해당하는 신호의 주파수대역에서의 잡음강도 가령 신호전력 S이고 정보전송율이 R bps일 경우 한 비트를 보내는데 걸리는 시간 (Tb )은 Tb=1/R이고 Eb=S X Tb이므로 Eb / No =(S / R) / No  S/N비는 하나의 신호를 대상으로 하지만, Eb/ No는 한 비트를 대상으로 하므로 정보전송율과 보다 직접 연관  Eb / No가 디지털전송에서 중요한 이유는 디지털정보의 비트에러율이 이 비율에 대한 감소함수가 되기 때문임  Eb / No가 주어질 때 비트에러율을 동일하게 유지하려면, 정보전송율 R의 증가에 맞추어 신호대 잡음비를 높여야 함

  11. 전송매체 유선매체와 무선매체  유선매체(Guided media) 전자파신호를 의도한 곳으로 인도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폐쇄한 물리적 경로  대표적 예로 전화선으로 사용되는 이중나선, TV 안테나선으로 사용되는 동축케이블  전송매체의 물리적특성에 따라 전송특성이 결정  보다 많은 정보를 보다 멀리 전송하려면 리피터나 증폭기 설치  전송매체의 물리적특성에 따라 전송특성이 결정 < 표 4-1> 유선매체의 전송특성  무선매체(Unguided media) 전자파신호를 의도한 곳으로 인도하지 않고 대기중의 공기나 해수면을 따라 전송하는 전송매체  무선에서는 전송매체보다는 안테나가 이용하는 주파수대역에 따라 전송특성이 결정  신호의 중심주파수가 높아지면 가용 주파수대역폭이 커져 한번에 전송 가능한 양도 증가  일반적으로 낮은 주파수신호는 전방향성을 갖고, 높은 주파수신호는 단방향성을 가짐  30MHz ~ 1GHz 라디오주파수대역과 2GHz~40GHz 초단파주파수대역으로 구분 < 표 4-2> 무선매체의 주파수대역과 전송특성

  12. 전송매체 유선전송매체  이중나선 (Twisted pair) 절연된 두개의 구리줄이 나선 모양으로 꼬여있는 형태의 전송매체  대표적 예로 전화교환기에서 일반가입자를 연결하는 전화선  케이블: 수백개에 이르는 구리선의 쌍을 서로 꼰채로 묶어 절연보호막으로 감싼 것  구리선을 꼬는 이유는 전자파신호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을 상쇄시켜 간섭을 줄이기 위함  전화망에서 전화선으로 이용될 경우 모뎀을 사용하여 약 33kbps 전송  건물내 사설교환기에 이용될 경우 디지털신호방식을 통해 64kbps 전송  전화국간을 연결하는 트렁크로 이용될 경우 4Mbps 정도까지 가능  아날로그전송에서는 일반 전화채널로 이용하고 있는 4KHz보다 훨씬 큰 약 3MHz 대역폭 제공  아날로그신호전송의 경우는 5~6km 단위로 증폭기 필요하고, 디지털신호전송에서는 2~3km 마다 리피터 필요

  13. 전송매체 유선전송매체  동축케이블 (Coaxial cable) 이중나선처럼 2개의 구리선으로되어 있으나, 보다 넓은 대역폭을 얻기 위해 이중나선과는 다른 방식으로 구성된 전송매체  대표적 예로 TV 안테나선  광섬유에 비해 경제성 높아 장거리전송, CATV, LAN 에 이용  아날로그신호전송에서는 약 400MHz 대역폭 수용하며, 수 km마다 증폭기 필요  디지털신호전송에서는 500Mbps 까지, 매 km 마다 리피터 설치 경우 800Mbps 까지 전송 가능 <그림> 동축케이블의 구조

  14. 전송매체 유선전송매체  광섬유(Optical fiber) 빛을 전송하며 머리카락보다 가늘고 유연한 실린더형의 전송매체  빛을 전달하며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만든 코어(core)와 이를 감싸며 굴절률이 다른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코팅된 클래딩(cladding)으로 구성  수십 km에 걸쳐 수 Gbps 전송 가능  작고 가벼워 이동성 좋고 설치 용이  빛을 이용하여 감쇠 적어 손실율 낮으며, 따라서 리피터 간격 100km 까지 가능 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외부 전자장의 영향 거의 받지 않아 잡음이나 누화 영향 없음  동선매체와는 달리 따서 쓸 수 없어 보안성 높음  전화국의 트렁크, 대도시망(MAN) 구축에 이용  향후 CATV, LAN, 사용량이 많은 가입자에 이용  빛의 대역은 32GHz~64GHz  빛의 전파특성은 광섬유의 크기, 구성물질 및 투입되는 빛의 종류에 따라 결정 <그림> 광섬유의 구조

  15. 전송매체 무선전송매체  라디오(Radio) 30MHz~1GHz 까지의 주파수대역을 갖는 무선매체  넓은 의미에서는 3KHz ~ 300GHz 주파수대역을 갖는 무선매체  대표적 예로 FM라디오 채널, TV 채널, 무선전화 및 휴대전화 통신을 위한 대역  신호의 전방향성으로 막대형의 안테나 사용  불특정다수를 대상으로하는 방송형 통신에 적합  50km 상공의 이온층에서 반사 적고, 기상 변화에 감쇠 적음  서로 보이는 안테나간에 이용  전송손상은 주로 다중경로에 의한 간섭에 의해 발생

  16. 전송매체 무선전송매체  지상 마이크로파(Terrestrial microwave) 2GHz~40GHz 까지의 주파수대역을 갖는 무선매체  강한 방향성 가지므로 전자파에너지를 집중시키기 위해 접시형 안테나 이용  송수신 안테나는 서로 잘 보이는 위치에 사용  안테나간 최대 거리는 안테나의 제곱근에 비례  장거리전송에서는 증폭기 역할의 중계탑 설치하며 동축케이블에 비해 수가 적어 경제적  전송손상은 주로 감쇠에 의하며 감쇠 정도는 거리의 제곱에 비례  이중나선이나 동축케이블에 비해 감쇠가 작기때문에 증폭기 간격 수십 km  높은 주파수 사용으로 안테나 크기가 작고 저렴  우천시 감쇠 커져 기후 변동에 변동 심함 <표 4-3> 마이크로파의 전송용량

  17. 전송매체 무선전송매체  통신위성 마이크로파(Satellite microwave) 통신위성에서 사용하기 위해 2GHz~40GHz 까지의 주파수대역을 갖는 무선매체  통신위성은 일종의 중계소로서 증폭과 주파수대역 변환 기능 가짐  위성전송에 적합한 주파수대역은 1~10GHz  현존하는 대부분의 통신위성은 4/6GHz 밴드(C 밴드) 사용  C 밴드 포화와 감쇠 극복으로 12/14GHz 밴드(Ku 밴드) 사용  위성의 효과적 기능 발휘를 위해 정지궤도 위성 사용  VSAT 서비스는 Ku밴드 이용 <그림> VSAT 서비스 구성도

  18. 신호의 강도 데시벨(Decibel, dB)  데시벨 신호의 이득(gain), 손실(loss), 상대적인 신호의 크기를 나타내는데 사용하는 단위  초기의 신호강도와 전송 후의 신호강도의 비교치 단위  원래 소리의 강도를 측정하려는 목적으로 개발  절대적인 크기가 아니라 비교되는 두 신호간의 상대적 크기를 나타내는데 이용  소리의 강도는 로그함수적으로 감소하거나 증가하므로 로그함수적으로 표현  직렬 연결된 통신시스템에서 신호의 이득과 손실을 단순한 가감산으로 계산토록 함 <그림> 사림이 인지할 수 있는 소리들의 상대적인 크기

  19. 신호의 강도 데시벨(Decibel, dB)  신호의 상대적인 강도를 측정하는 단위(dB)로서의 특성 비교되는 두 에너지 또는 신호강도의 비에 밑이 10인 대수(logarithm)을 취한 후 10을 곱한 값  대수형태를 갖는 이유는 사람의 청각이 소리 자체에 비례하지 않고, 그의 대수에 비례하기 때문  신호강도는 지수적(exponentially)으로 약해짐 신호강도가 전송매체를 지나면서 단위거리당 K dB만큼 감소하고 전송길이 d라 할 때, 전송하기 전 신호의 세기를 P(0), d만큼의 전송거리 후 신호의 세기를 P(d), 전송매체의 물리적인 특성에 의존하는 상수를 K라 하면

  20. 신호의 강도 데시벨와트(dBW), 데시벨밀리와트(dBmW)  신호의 절대적인 강도를 측정하는 단위(dBW, dBmW)로서의 특성 수신기가 수신할 수 있는 강도나 이득 또는 손실을 쉽게 계산하기 위해 전력의 절대적인 값을 측정하는 단위  dBW : 신호강도를 일(work)의 단위인 와트(Watt)로 나타낼때의 단위  dBm(또는 dBmW) : 신호강도를 일(work)의 단위인 밀리와트(miliWatt)로 나타낼때의 단위  마이크로파 응용분야에 주로 사용  W나 mW 중에서 어느것을 선택하느냐는 취급하는 신호강도의 범위에 따름

  21. 신호의 강도 데시벨밀리볼트(dBmV)  신호의 절대적인 강도를 측정하는 단위(dBmV)로서의 특성 수신기가 수신할 수 있는 강도나 이득 또는 손실을 쉽게 계산하기 위해 전압의 절대적인 값을 측정하는 단위  dBmV : 신호강도를 전압의 단위인 볼트(volt)로 나타낼때의 단위  주로비디오 응용분야에 사용

More Related